2025.07.16by 배종인 기자
사단법인 한국전자파학회(KIEES, 학회장 이재성) EMC 기술연구회(위원장 안승영)는 지난 10일 KAIST 문지캠퍼스에서 ‘EMC KOREA 2025’(이엠씨 코리아 2025)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AI시대 EMC 기술 혁신을 주제로 개최됐으며, AI 기술이 EMC 분야에서도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현 추세를 반영해 AI 관련 2개 세션이 마련됐다. 또한 파워(POWER) EMC 세션, 오토모티브(AUTOMOTIVE) EMC 세션 등에서 12명의 연사가 발표했다.
2025.07.08by 배종인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세계 최초로 지상 기지국과 위성 기지국, 통합 단말, 6G 코어로 구성된 테스트베드를 통해 도심교통항공(UAM)이 실제로 도시 사이를 비행하면서 끊김없이 지상망과 위성망에 연결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6G 핵심원천 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으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KAIST 등 국내 대표 통신 및 연구기관이 공동 참여했다.
2025.02.25by 배종인 기자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전자반도체공학부 곽준영 교수팀과 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 강기범 교수팀은 함께 저전력 뉴로모픽 컴퓨팅을 위한 산화지르코늄(ZrO2) 멤리스터 기반 스위치 소자를 개발하며, 향후 인공지능(AI) 하드웨어의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활용이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 차세대 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사업 #KIST 기관고유사업
2024.12.24by 배종인 기자
안승영 KAIST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교수가 ‘2024 e4ds Analog Day’ 행사에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의 EMI/EMC 대응 케이스 스터디 Q&A’이라는 주제로 발표하며, 전기차 실제 시스템에서 전자파를 실제 응용해 EMI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밝혔다.
2024.12.23by 배종인 기자
김지성 KAIST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교수가 ‘2024 e4ds Analog Day’ 행사에서 ‘전원시스템 EMI 원인 및 대책’이라는 주제로 발표하며, EMC 설계를 위해서 개발 과정에 적극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2024.07.18by 권신혁 기자
모든 전자제품의 주요 기반 기술로 EMI/EMC가 필수이며, 최근 자동차의 전동화와 각종 IT 디바이스의 소형화, 5G·6G 통신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등으로 전자파 환경에서의 노이즈가 증가하면서 EMI/EMC 필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2024.02.21by 배종인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KAIST와 양자대학원의 공동 운영을 위한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양자기술’ 전문인력 양성을 본격 추진한다.
현대차·기아가 KAIST와 함께 고도화된 자율주행차에 쓰일 라이다 센서를 개발하기 위해 ‘현대차그룹-KAIST 온칩 라이다(On-Chip LiDAR) 공동연구실’을 대전 KAIST 본원에 설립했다.
2024.01.11by 배종인 기자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와 KAIST(총장 이광형) 신소재공학과 서동화 교수 공동연구팀이 높은 효율과 안정성을 가진 고순도의 그린수소 생산용 이기능성(Bifunctional) 수전해 촉매를 개발했다.
2023.12.07by 성유창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KAIST 공동 연구팀이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메탈전지(Lithium metal battery)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