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4.07by 김자영 기자
삼성전자가 4일부터 9일까지 밀라노에서 열리는 ‘밀라노 가구 박람회(Salone delmobile Milan)’에 참가해 라이프스타일 TV 더 프레임과 QLED TV 신제품을 선보인다. 신제품을 선보이며 스크린 에브리웨어(Screen Everywhere)라는 미래 TV의 비전을 제시한다는 입장이다.
삼성전자는 세계적인 건축가 자하 하디드의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 및 디지털 컨설팅업체 '유니버설 에브리싱'과 협력해 디자인 스튜디오를 열었다. 주제는 새로 출시된 갤럭시 S8로, 디자인에 담긴 철학과 비하인드 스토리를 공개했다.
2017.04.06by 김지혜 기자
삼성SDS가 블록체인 플랫폼과 솔루션을 내놓으면서 새로운 시장 개척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삼성SDS는 6일 잠실 삼성SDS타워에서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Nexledger(넥스레저)와 블록체인 신분증(DI))와 지급결제(SGP) 서비스를 언론에 공개했다.
2017.04.05by 신윤오 기자
삼성전자가 창의적 조직문화 확산을 위해 추진하는 C랩(Creative Lab)의 스핀오프 제도를 통해 올해에도 5개 우수 과제의 스타트업 창업을 지원한다. 삼성은 2015년에 9개, 2016년에 11개 등 지금까지 총 25개의 C랩 출신 스타트업 기업을 지원했다. 이번에 스타트업 기업으로 출범하는 5개 과제는 키즈, 뷰티 등 다양한 생활 분야에 IT 기술을 접목한 아이디어로 눈길을 끌고 있다.
2017.04.04by 김자영 기자
삼성전자가 초 프리미엄 TV인 QLED TV 소셜 미디어 캠페인 ‘자신만의 색을 찾아 보세요(Find Your Color)’를 시작한다. 지난 3월에 글로벌 출시된 삼성 QLED TV는 컬러 볼륨 100%와 10억개의 색을 표현한다. 이 캠페인은 참여자가 공식 홈페이지에서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등 자신의 SNS 채널에 로그인을 하면 참여자가 과거에 올린 사진들의 색을 바로 분석해 가장 어울리는 색을 추천해 준다.
2017.04.03by 김자영 기자
삼성전자 QLED TV 전 제품이 UHD 얼라이언스의 프리미엄 UHD인증을 받았다. UHD얼라이언스는 TV 제조사, 헐리우드 영화사, 콘텐츠 배급사 등 50여개 회원사로 구성되었다. 소비자들이 평가하는 핵심적인 성능 (UHD 해상도, HDR, 최고 밝기와 넓은색 영역 등)을 분석해 통과한 제품에 프리미엄 UHD 인증을 부여한다. TV 뿐만 아니라 UHD 블루레이 플레이어, 영화와 드라마 등 콘텐츠의 성능도 평가한다.
?삼성 사운드바 사운드는 기존 사운드바와 달리 사운드바 본체에 서브 우퍼를 내장한 원바디 스타일이다. 특히 원마운트를 활용해 TV에 바로 걸 수 있어 벽에 구멍을 뚫지 않아도 되고, 원케이블 기능으로 TV와 사운드바 전원을 한번에 작동시켜 TV와의 일체성을 강화했다.
삼성전자가 ‘갤럭시 S8’? ‘갤럭시 S8+’ 공개 직후인 4월 1일부터 역대 최대 규모의 사전 체험존을 운영한다. 전국 디지털프라자, 하이마트, 전자랜드, 이동통신사 대리점 중 삼성 모바일 전문 체험형 매장으로 특화된 3천 여곳의 S?ZONE에서 ‘갤럭시 S8’? ‘갤럭시 S8+’를 전시한다.
2017.04.03by 김지혜 기자
LG유플러스가 삼성전자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 S8’의 출시에 앞서 대규모 체험단 모집, 중고폰 가격 보장 프로그램 도입, 신규 제휴카드 출시 등 본격적인 고객 맞이에 나선다. 오는 7일부터 11일까지 타사 고객을 대상으로 갤럭시 S8을 한 달 동안 경험해볼 수 있는 대규모 유플러스 체험단을 모집한다.
2017.03.30by 김지혜 기자
삼성전자가 현지시간 29일 미국 뉴욕 링컨센터(Lincoln Center)에서 '삼성 갤럭시 언팩 2017'을 열고,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 S8'과 '갤럭시 S8+', 360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기어 360' 신제품을 공개했다. 이날 공개한 '갤럭시 S8'?'갤럭시 S8+'는 화면의 몰입감을 극대화한 '인피니티 디스플레이(Infinity Display)'를 탑재하고 베젤을 최소화한 '베젤리스(Bezel-less) 디자인으로 완전히 새로운 스마트폰 디자인을 선보였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