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by 배종인 기자
슈퍼마이크로(Super Micro Computer, Inc.)는 24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빌딩 블록 솔루션(Building Block Solution)’을 중심으로 한 통합 인프라 전략을 밝혔다. 이날 발표를 담당한 김성민 슈퍼마이크로 코리아 상무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냉각 시스템, 소프트웨어까지 아우르는 풀스택 솔루션을 제공하며 고객 맞춤형 AI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10.21by 배종인 기자
AI·클라우드·5G 등 첨단 IT 인프라 시장을 선도하는 슈퍼마이크로컴퓨터(Super Micro Computer, Inc.)가 데이터센터 빌딩 블록 솔루션(Data Center Building Block Solutions, DCBBS)을 공식 출시하며,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성 및 구축 속도를 혁신했다.
2025.10.16by 배종인 기자
샌디스크(SanDisk)의 PCIe® Gen5 기반의 고성능 엔터프라이즈 SSD인 ‘SANDISK® SN861 NVMe™ SSD’가 오픈 컴퓨트 프로젝트(Open Compute Project, 이하 OCP)로부터 공식 OCP 인증™을 획득하며, 데이터센터용 NVMe SSD 규격을 충족함은 물론, 제품의 효율성, 개방성, 확장성, 지속 가능성 등 핵심 기준을 만족했다.
2025.10.15by 배종인 기자
AMD가 2025 OCP 글로벌 서밋에서 차세대 AI 데이터센터를 위한 오픈 랙 기반의 AI 인프라 시스템 ‘Helios’를 공개했다. Meta가 제안한 2025년형 Open Rack Wide(ORW) 사양을 기반으로 설계된 Helios는 업계 전반의 개방형 인프라 혁신을 가속화할 핵심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2025.10.14by 배종인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가 최근 발표한 ‘Optimizing Efficiency as Data Centers Shift to 48V Power’에 따르면 48V 아키텍처와 폴리머 커패시터를 중심으로 한 고효율 전력 관리 솔루션이 데이터센터의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가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린 오픈 컴퓨트 서밋(OCP)에서 AI 데이터센터를 위한 새로운 전력 관리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AI 연산 수요 증가에 대응해 12V부터 48V, 800VDC까지 확장 가능한 전력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AI 컴퓨팅 기술의 선두주자 엔비디아(NVIDIA)가 차세대 AI 플랫폼 ‘블랙웰(Blackwell)’을 통해 새롭게 발표된 인퍼런스MAX v1 벤치마크에서 최고 성능과 효율성을 보였다고 밝혔다. 엔비디아 GB200 NVL72 시스템에 500만달러를 투자하면 7,500만달러의 토큰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15배의 ROI를 기록했다.
2025.09.30by 배종인 기자
글로벌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전문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권지웅)이 데이터센터 쿨링 시장을 본격 겨냥한 고성능 컴퓨팅(HPC) 및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리퀴드쿨링(Liquid Cooling) 솔루션 공급을 통해 차세대 AI 데이터 센터 시장 확대에 나선다.
2025.09.26by 배종인 기자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Infineon Technologies) 김용진 상무는 지난 9일 개최된 ‘2025 e4ds Tech Day’ 행사에서 ‘AI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효율적인 전력 관리 솔루션을 위한 인피니언의 차세대 전력 반도체’를 주제로 발표하며, “AI 시대 전력 혁신을 위해서는 전력 변환 구조 단계마다 효율을 높여 전체 손실을 줄이는 것이 급선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실리콘카바이드(SiC)와 갈륨나이트라이드(GaN) 같은 와이드밴드갭 소자를 핵심으로 내세웠다.
2025.09.01by 배종인 기자
SK텔레콤과 SK에코플랜트는 AWS, 울산광역시와 함께 국내 비수도권 최대 규모의 AI 전용 데이터센터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의 기공식을 8월29일 울산에서 개최했다. SK는 국내 최대 AI 데이터센터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 AI 허브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