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by 배종인 기자
글로벌 차량 소프트웨어 솔루션 기업 벡터 코리아(Vector, 지사장 장지환)는 2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Vector TechDay Korea 2025’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Christof Ebert 벡터 이사는 ‘GenAI from Requirements to Testing’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발표했다. Christof Ebert 벡터 이사는 “SDV에서 우선 속도와 기능 안전성을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며 “속도만으로는 부족하다. 전통적 가치와 최신 기술을 결합해 효율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5.08.21by 배종인 기자
글로벌 IT 리서치 기업 가트너(Gartner)가 2025년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의 주요 거브테크(GovTech) 트렌드를 발표하며, AI 기술을 중심으로 한 정부 혁신 방향을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의 주요 정부들은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맞춤형 시민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AI 에이전트 도입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5.08.12by 배종인 기자
AI 경량화 및 최적화 기술 전문 기업 노타(Nota AI)가 국내 최초로 비전언어모델(VLM) 기반의 실시간 영상 관제 솔루션 ‘NVA(Nota Vision Agent)’를 코오롱베니트와 협력해 코오롱인더스트리 김천2공장에서 8개 시나리오 기반 PoC를 성공적으로 상용화하며 산업 AI 시장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2025.07.15by 배종인 기자
글로벌 IT 시장 분석기관 가트너(Gartner)가 11일 ‘전 세계 생성형 AI 모델 2023-2029 전망, 25년 2분기 업데이트’ 보고서를 통해 올해 전 세계 최종 사용자 기준 생성형 AI 모델 지출 규모가 14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2025.06.02by 배종인 기자
최근 Anthropic이 선보인 ‘클로드 코드(Claude Code)’가 기존 개발 업무를 혁신하고, 효율성을 크게 높여줄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개발자들이 자신들의 역할과 가치에 대해 고민하게 만드는 위기감도 동시에 불어넣어 인간 개발자와 AI 도구가 향후 어떤 방식으로 융합돼 협업할지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2025.05.16by 배종인 기자
옴디아(Omdia)가 최근 발표한 ‘AI in Manufacturing’에 따르면 AI 기반 제조 혁신은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지만, AI 도입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품질 확보, 인프라 개선, 조직 내 AI 기술 이해도 향상이 필수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2025.04.28by 배종인 기자
옴디아(Omdia)가 최근 발표한 ‘자동차 산업의 대전환기 반도체가 이끄는 변화의 방향’ 리포트에 따르면 차량용 반도체와 AI의 효과적인 통합을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서 복합적인 산업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04.21by 배종인 기자
한국IBM은 21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기업 비즈니스 환경을 위한 에이전틱 AI(Agentic AI) 솔루션과 차별화된 IBM의 AI 전략을 소개했다. 이날 발표를 담당한 이지은 한국IBM 최고기술책임자(CTO) 전무에 따르면 IBM이 개발한 에이전트 AI는 단순히 업무 자동화를 넘어서, 기업 내 다양한 시스템과 외부 파트너를 자유롭게 연결하는 ‘개방성’과 최신 머신러닝 기술과 축적된 전문 지식을 집약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운영 모델의 혁신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IBM은 왓슨x 플랫폼을 활용한 AI와 자동화를 전사 프로세스 전방에 활용하고 있으며, 2023년 1월 이후 약 2년간 35억달러의 생산성 향상을 이뤘고, 자유 현금 흐름은 127억달러로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04.18by 배종인 기자
데이터, 분석, AI를 위한 하이브리드 플랫폼 기업 클라우데라(Cloudera)가 서울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에서 국내 파트너들과 고객사를 대상으로 ‘파트너 데이 2025 Korea’를 개최하며, 올해 주요 전략과 기업용 AI 시장 트렌드를 발표했다.
2025.04.03by 권신혁 기자
Arm은 2025년 상위 하이퍼스케일러에 출하되는 컴퓨팅의 약 50%가 Arm 기반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Arm 네오버스 출시 6년 만에 데이터센터 생태계의 확장성과 비용 효율성에 큰 변화를 가져온 결과라고 1일 설명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