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04by 이수민 기자
KT는 조달청과 재난망 A, B 본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12월 21일 오후에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재난안전통신망 본 사업 착수보고회'에 참석해 재난망 A, B 사업의 본 사업 착수 보고를 진행했다. KT는 착수보고회에서 PS-LTE 표준 통신망 완성, 재난망 목표 커버리지 확보, 24시간 365일 안정적 운영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제시하고 재난현장 통합지휘체계를 수립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전체 사업 중 A, B 사업을 수행하는 KT는 재난망 운영센터를 구축하고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2019.01.02by 이수민 기자
SK텔레콤이 5G 상용망과 생중계 솔루션을 활용한 TV 생방송에 성공했다. SK텔레콤은 1월 1일 0시 전후 서울 종로구 보신각에서 신년 카운트다운, 타종 행사, 인터뷰 등을 총 3차례 11분간 실시간 방송했다. 중계에는 SK텔레콤 생중계 솔루션 ‘T 라이브 캐스터’가 쓰였다. T 라이브 캐스터는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영상을 5G, LTE 등을 통해 TV, 개인방송 등 다양한 채널에서 실시간 중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19.01.01by 이수민 기자
LG유플러스는 셋톱박스 일체형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자유롭게 IPTV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포터블 IPTV ‘U+tv프리’를 출시했다. ‘U+tv 아이들나라’, ‘넷플릭스’, ‘U+tv 골프?야구’, ‘U+아이돌Live’ 등 가족 구성원 연령대별 취향을 고려하고, 흥미를 끄는 콘텐츠 출시가 늘어나면서 가족 모두가 보는 TV에서 개인화된 TV의 필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에 LG유플러스는 기존 셋톱에 설치된 IPTV 플랫폼을 이동형 TV에 탑재하고, 자사가 제공하는 고성능 기가 와이파이 환경을 통해 안방, 거실, 부엌 등 집안 어디든 기존 화질 그대로 IPTV를 시청할 수 있는 U+tv프리를 개발했다.
2018.12.31by 이수민 기자
KT는 기존 문자메시지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메시지 서비스(RCS) ‘채팅(Chatting)’을 출시했다. RCS는 데이터 기반의 메신저 형 서비스로, 기존 단문 메시지(SMS)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에 그룹 채팅 등의 기능을 더한 차세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다. KT는 27일부터 2019년 6월 30일까지 데이터 차감 없이 무료로 채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2018.12.28by 이수민 기자
LG유플러스는 연말연시 트래픽 증가에 대비해 신년맞이 타종행사, 해돋이 등으로 인파가 몰리는 서울 보신각, 대전시청, 강릉 정동진, 부산 용두산 공원, 울산 간절곶, 경북 호미곶 등 주요지역에 이동기지국과 중계기 15대를 배치했다.
2018.12.26by 이수민 기자
LG유플러스가 3GPP 표준 규격 기반의 실제 네트워크에서 5G 단말로 활용 가능한 최대 속도를 검증, 국내 최초로 1.33Gbps 이상의 속도를 구현했다. 1.33Gbps는 LTE 서비스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인 133.43Mbps에 비해 최대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이동통신사들이 5G를 제공 중인 3.5GHz 주파수 대역에서 LG유플러스가 할당 받은 80MHz 대역폭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이론적 최고 속도에 육박한다.
KT는 무인 로봇카페 ‘비트’에 5G 네트워크를 적용했다. 비트에서는 바리스타 로봇이 주문을 받고 커피를 제조한다. 비트에 설치된 5G 네트워크는 커피 주문 접수는 물론 FHD급의 고화질 지능형 CCTV 영상으로 관제센터에 24시간 로봇의 상태정보를 송수신하는 데 쓰인다. KT는 향후 바리스타 로봇에 음성 인식과 AI 기능을 더해 나갈 계획이다.
2018.12.21by 이수민 기자
아랍 주파수 대역 관리 그룹(Arab Spectrum Management Group, ASMG)이 초고속 모바일 서비스에 3.3~3.8GHz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도록 결정한 것에 대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환영한다고 20일 밝혔다. 이 조치로 아랍권 전역에 5G 통신에 적합한 조정 주파수 대역을 배정하여 초고속 5G 네트워크 구축을 가속화할 수 있게 됐다.
2018.12.20by 이수민 기자
LG유플러스는 ‘네트워크’, ‘서비스’, ‘마케팅’ 3대 핵심 가치를 통해 5G 시장 성장을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하현회 부회장은 5G 시장 성장 주도를 위한 핵심 요소로 선도적인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고객 기대를 뛰어넘는 서비스 제공, 생활의 변화를 만들어가는 마케팅 3가지를 제시했다. 그리고 지금까지 무선 시장은 속도와 기술 중심의 일방향 2차원 대용량 동영상 서비스가 주축을 이뤘다면, 5G 시대에는 속도와 기술에 가치를 더한 융합서비스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초고화질 실감형 미디어 서비스로 경쟁 양상이 바뀔 것으로 내다봤다.
SK텔레콤은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스마트제조혁신센터에서 5G 스마트팩토리 확산 전략을 발표하고 5G 다기능 협업 로봇, ‘5G 스마트 유연생산 설비, 5G 소형 자율주행 로봇, AR스마트 글래스, 5G-AI 머신비전 등 5G와 첨단 ICT를 접목한 솔루션 5종을 시연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