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2by 권신혁 기자
AI 솔루션이 우리 일상 생활 속으로 스미고 있다. 공공 인프라뿐 아니라 가전 제품과 주거 공간 인프라에서 AI 기술이 탑재되면서 AI 디바이스 시장이 확장되고 있다. 이에 전세계 IT 지출이 지속해서 커질 것으로 전망되며 AI 인프라 시스템 지출 또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24.07.11by 김예지 기자
삼성전자의 최초 AI 폴더블폰 ‘갤럭시Z폴드6’와 ‘갤럭시Z플립6’이 베일을 벗었다. 두께·무게·배터리 등 사양이 개선됨과 함께, 갤럭시 S24 시리즈에 탑재됐던 온디바이스 AI 기능이 폴더블 폼팩터와 만나 혁신을 이뤘다는 소개다.
2024.06.21by 권신혁 기자
AI PC와 온디바이스 AI 스마트폰 등의 출시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엣지 AI 디바이스 수요가 커지고 있다. 특히 IoT는 PC와 스마트폰에 일시적으로 가려져 있지만 온디바이스 AI 성장의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2024.06.21by 김예지 기자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25년 온디바이스 LLM(거대언어모델)을 도입한 가전 출시를 목표한다. 가전에 적용된 온디바이스 AI는 기기에서 데이터 처리를 하기 때문에 수행이 빠르고 보안을 확보한다는 장점이 있다. 삼성전자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빅스비 음성 지원에 LLM을 경량화 한 AI 모델을 도입해 올해 7월 탑재할 것으로 예측된다.
2024.06.18by 권신혁 기자
최근 가전과 IoT 제품 등 일상 주변의 디바이스 등에 AI 기능이 탑재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이러한 엣지 디바이스에서의 AI 시스템은 엣지단에서 AI를 수행하는 칩을 둠으로써 메인 모듈 혹은 프로세서가 상시 켜져 있을 필요성이 줄어들어 전력 효율을 도모할 수 있다.
2024.06.14by 권신혁 기자
국내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육성 기조는 2019년부터 본격 가동되기 시작했다. 1%대의 세계 시장 점유율에 불과한 한국 팹리스 산업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는 2030 반도체 비전 및 글로벌 스타팹리스 육성 사업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해 지원해 왔다. 육성 기조와 산업 생태계 지형 변화 등으로 국내 팹리스 기업들의 기술력에 큰 발전이 이뤄지고 있다. 유망 스타트업들의 전시 행사인 NextRise 2024에서 국내 팹리스 기업들의 기술력을 탐구해봤다.
2024.06.05by 성유창 기자
‘엣지 디바이스 및 온 디바이스 AI를 위한 레이더 센싱 기술’ 웨비나에 앞서 발표자인 최재영 인피니언 코리아 전력&센서 시스템 사업부 매니저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2024.06.03by 김예지 기자
29일 한국산업지능화협회가 출범한 ‘산업 AI 기술위원회’ 출범식에서 산업 AI 관련 기술 교류 및 업계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가천대학교 조영임 위원장의 소개 및 AI 국제표준화 동향을 기조로, 강사로 참여한 연사들은 산업 데이터 활용 측면을 강조했다.
2024.05.22by 권신혁 기자
미국 엣지 AI 반도체 회사인 암바렐라(Ambarella)가 21일 차량 내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위한 차세대 산업용 AI 시스템온칩(SoC) CV75AX를 발표했다.
2024.05.20by 권신혁 기자
AI PC와 온디바이스 AI를 중심으로 첨단 소비자향 제품시장이 재편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Arm 기반 윈도우와 마이크로소프트(MS)의 AI PC 로드맵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가운데 PC시장에서 x86 CPU 생태계에 퀄컴을 중심으로 Arm 기반 AI 칩셋이 침공하고 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