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23by 김지혜 기자
삼성전자가 삼성 노트북9 올웨이즈의 대용량 배터리 탑재 모델 2종(모델명 900X5N-X , 900X5N-L)을 추가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시한 삼성 노트북9 올웨이즈 신모델은 66Wh대용량 배터리를 적용하여 한 번의 충전으로 최대 23시간(모바일 마크 07 기준) 연속 사용이 가능하다. 기존 30Wh 용량 대비 두배 이상 커졌다.
2017.01.16by 김지혜 기자
LG전자가 올해 출시할 전략 스마트폰에 최고 수준의 안전 설계와 테스트를 이중으로 적용한다. LG전자는 뛰어난 내구성으로 호평을 받은 ‘LG V20’에 이어 ▲히트 파이프 채택 등 대폭 향상된 방열성능과 ▲국제 기준 배터리 테스트 및 극한 조건을 동시에 적용한 ‘복합 환경 검사’로 안전성에 초점을 맞춘 제품을 오는 2월 MWC서 선보일 계획이다.
2016.10.19by 신윤오 기자
온세미컨덕터가 차세대 리튬 이온 배터리 전력 제품 개발을 위한 고집적 싱글칩 파워 뱅크 솔루션을 출시했다. LC709501F 토탈 리튬 이온 배터리 솔루션은 간단한 FET 선택을 통해 최대 30 와트(W)까지의 최대 충전/방전 용량을 제공할 뿐 아니라 5V, 9V 및 12V의 넓은 전력 및 전압/전류 출력 작동 범위도 제공한다.
2016.10.11by 김수지 기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소형화된 무선 배터리 충전 칩셋을 새롭게 출시했다. 공간 절약, 밀폐 포장 및 간소화, 제품 출시 기간 단축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제품으로 초소형 스포츠용 웨어러블, 건강 측정기, 의료용 센서, 리모컨과 같은 제품을 타깃으로 한다. 이 칩셋은 ST의 충전 송신기 컨트롤러 STWBC-WA와 무선 배터리 충전 수신기 STWLC04가 짝을 이루며, 현재 판매 중인 다른 칩셋들에 비하면 더 작은 코일로 최고 1W까지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수신기 측 코일의 직경은 11mm, 송신기 측은 20mm에 불과하기 때문에 보다 작고 슬림한 폼팩터를 구현할 수 있다.
2016.09.01by 홍보라 기자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고집적 고전압 다양한 배터리 타입용 동기식 스텝다운 배터리 차저 컨트롤러(제품명: LTC4013)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LTC4013의 입력 범위는 최대 60V까지 가능해 범위가 넓으며, 온도 보상 3/4 단계 충전 알고리즘을 사용해 12V 및 24V 납축전지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LTC4013은 직렬 연결된 리튬 기반의 배터리 스택을 입력 공급 전압에 가까운 플로트 전압으로 충전할 수도 있다. 모드 핀은 플로트 전압과 충전 알고리즘을 정의한다. 충전 전류는 ±5%까지 정밀하게 레귤레이트 되며, 최대 20A까지 단일 저항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외부 부품 선택에 따라 다름).
2016.08.15by 장은성 기자
국내 배터리 전문기업 디바이스몰이 블랙박스용 보조배터리 ‘블랙가디언’의 출시를 발표했다. 블랙가디언은 블랙박스의 구동 시간을 연장하는 동시에 자동차 배터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블랙박스용 보조배터리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 녹화 시간이 24시간에서 48시간가량으로 짧아 이보다 주차 시간이 긴 사용자들의 불만이 많이 발생하였다. 주차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소비자의 경우 블랙박스의 구동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저전압차단모드를 해제하고 상시전원으로 사용하는데, 이 경우 자동차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등의 2차 피해가 발생한다.
2016.08.05by 신윤오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한전 개방형 충전소 착공식을 열고 총 2천억 원 규모의 한전 주도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방안'을 발표했다. 구축 방안에는 개방형 충전소를 연내 총 150개 부지에 급속 충전기 위주로 300기를 구축하고 대규모 플래그십 충전소를 연내 5개소를 만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아파트형 충전소는 공모, 평가, 선정을 거쳐 4천개 내외 단지에 완속 3만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2016.08.04by 김수지 기자
리튬이온전지의 성능을 높일 새로운 분리막이 개발됐다. 기존 이온 통로로만 쓰이던 분리막을 화학작용에도 관여하게 만든 ‘화학적 기능성막’이다. 전지 성능을 떨어뜨리는 불순물을 화학작용으로 걸러낼 수 있어 고성능 리튬이온전지 제조에 기여할 전망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의 김병수 교수와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이상영 교수 공통 연구팀은 기능성 나노셀룰로오스가 도입된 ‘화학적 기능성막’을 개발했다. 기능성 나노셀룰로오스는 나무에서 얻은 셀룰로오스를 합성한 분자체를 통해 기능화시킨 물질이다. 이 덕분에 분리막도 화학작용에 참여해 불순물을 걸러내는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2016.07.15by 홍보라 기자
KT링커스(대표이사 이강근)-환경부(장관 윤성규)가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도로변 공중전화부스를 활용한 전기차 급속충전 사업을 시작한다. KT링커스는 15일(금)부터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과 공동으로 서울, 성남, 대구, 순천 지역 공중전화부스에 전기차 급속충전기 9기를 설치하고 급속 충전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2016.07.14by 장은성 기자
아나로그디바이스(한국 대표이사 양재훈)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저전력, 고성능 Radio 트랜시버를 출시했다. 새롭게 출시된 트랜시버를 사용하면 재시도 횟수와 패킷 손실을 줄이면서도, 더욱 안정적인 무선 Radio연결이 가능하며 배터리 수명까지 늘어난다. ADF7030-1은 수신기의 감도가 매우 뛰어나고 신호 간섭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대기 모드(sleep mode)에서 업계 최저 전류 특성을 포함한 저전력 모드를 제공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ADI의 최신 Radio 기술로 설계된 이 트랜시버는 사물인터넷(IoT) 기기, 스마트 미터기, 보안 및 건물 자동화, 산업 제어, 무선 센서 네트워크 사용자들에게 적합한 제품이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