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5.28by 이수민 기자
근거리 무선통신 국제 표준인 블루투스의 개발을 주관하는 블루투스 SIG가 디지털 조명 인터페이스 연합(DiiA)과 상업용 조명 시장 확장을 위해 협업을 결의했다. 이번 통합으로 양사의 파트너들은 자사의 상업용 조명 제품에 두 IoT 표준을 통합 적용하여 다양한 IoT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2020.05.28by 명세환 기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VL53L3CX를 출시하며 자사의 플라이트센스 ToF 거리측정 센서 역량을 확대했다고 밝혔다. VL53L3CX는 ST의 특허 기술인 히스토그램 알고리즘으로 실시간 얼룩 보상이 가능하여 정확도가 높고, 다수 객체의 거리측정이 가능하다.
LG유플러스와 GS건설이 무선통신기반 스마트건설 기술 검증 및 사업화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AI 영상분석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건설현장 특화 무선통신 인프라 마련, 건설 안전 솔루션 검증 및 사업화 등에 협력한다.
2020.05.27by 이수민 기자
SK텔레콤과 한국오므론제어기기가 코로나19 방역 로봇을 개발했다. 방역로봇에는 5G, AI 등 ICT 기술과 로봇 자율주행, IoT 센싱 등 공장 자동화 제어 기술이 적용됐다. 양사는 이번에 개발한 코로나19 방역로봇을 자사 시설에 우선 도입 후 2020년 하반기에 공식 출시할 계획이다.
2020.05.25by 이수민 기자
삼성전자가 식약처로부터 심전도(ECG) 측정 앱을 허가받았다. 이번 허가로 사용자는 지난 4월 혈압 측정 앱 허가를 받은 삼성 헬스 모니터 앱을 통해 혈압뿐 아니라 심전도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앱은 심장의 전기 활동을 분석하여 동리듬과 심방 세동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표시한다.
2020.05.21by 강정규 기자
마우저가 ADI의 ADcmXL1021-1 진동 센서를 공급한다. ADcmXL1021-1은 산업 및 운송 장비에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나 고장 가능성을 조기에 모니터링하여 수리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감지 시스템이다.
2020.05.21by 이수민 기자
고속 타입의 OP Amp는 배선 등의 부하 용량으로 인해 발진하기 쉽다. 이에 로옴이 BD77501G 고속 OP Amp를 개발했다. BD77501G는 이상 검출 시스템 등에서 요구되는 고속 증폭에 대응함과 동시에, 배선 등의 부하 용량에서 발진하지 않는다.
2020.05.19by 이수민 기자
삼성전자가 위상검출 자동초점 기능을 지원하는 1.2μm 화소 기반의 5천만 화소 모바일 이미지센서인 아이소셀 GN1을 출시했다. 각 화소에 두 개의 포토다이오드가 있어 5천만 화소의 경우, 1억 개의 포토다이오드가 받아들이는 빛을 이용해 1억 화소 수준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2020.05.18by 이수민 기자
ETRI가 이황화몰리브덴(MoS)을 활용하여 고감도 습도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 ETRI가 개발한 습도 센서의 감도는 66,000% 이상으로, 기존 센서보다 660배 이상 민감하며, 감지 시간은 0.5초로 기존 상용 센서보다 최대 12배 빠르다.
2020.05.03by 이수민 기자
올해에만 제조업 및 4대 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1,500대의 로봇이 보급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0년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을 공고했다. 실행계획에 따라 3대 제조업 중심 제조 로봇 확대 보급, 4대 서비스 로봇 분야 집중 육성 등이 이뤄진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