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7by 배종인 기자
휴머노이드 로봇이 제조업, 의료, 서비스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가운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Infineon Technologies AG)가 고효율 전력 반도체, 지능형 MCU, 첨단 센서, 안정적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 등 핵심 솔루션을 제시하며, 로봇이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과 협력하는 동반자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를 위해 인피니언은 OptiMOS™와 StrongIRFET™ 파워 MOSFET을 비롯한 다양한 전력 반도체 솔루션 및 AI 가속기를 내장한 MCU, 3D Time-of-Flight(ToF) 센서, RADAR 및 압력 센서 등을 제공한다.
2025.11.26by 김다슬 기자
로볼리전트가 원익로보틱스와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 협력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로볼리전트의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 ‘ROBIN’과 원익로보틱스의 로봇 핸드 ‘Allegro Hand’를 통합해 정밀 조작 능력과 동작 지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양사는 글로벌 시장에서 협력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2025.11.24by 배종인 기자
인공지능(AI)이 물리적 세계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피지컬 AI(Physical AI)’ 시대가 도래하면서 제조와 물류 산업이 가장 먼저 변화의 파고를 맞고 있는 가운데, 피지컬 AI가 대중소 기업간 자동화 격차를 해소 할 수 있는 핵심 열쇠로 급부상하고 있다.
2025.11.17by 김다슬 기자
레인보우로보틱스가 개발한 AI 기반 4족보행 로봇 'RBQ 시리즈'가 '2025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에 선정됐다. 동역학 기반 보행과 강화학습 기반 AI 보행을 유연하게 전환하며 주변 환경 인식과 자율주행 기능도 주목할 만하다.
2025.10.28by 김다슬 기자
레인보우로보틱스가 '2025년 제1차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의 1단계 수행기관으로 선정되며 삼성서울병원과 함께 의료용 이동형 양팔 로봇 개발에 착수했다. 총 175억 원 규모의 과제로, 단순 자동화 기능을 넘어 수술 맥락을 실시간 인식·예측할 수 있는 자율 보조 기능 구현이 핵심이다.
2025.09.22by 배종인 기자
레인보우로보틱스는 AI 자율 로봇 소프트웨어 기업 플라잎(PLAiF)과 공동 개발한 양팔로봇 기반 자동차 헤드램프 조립 자동화 솔루션을 오는 9월27일부터 10월2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국제 로봇 학술대회 CoRL 2025 및 Humanoids 2025에서 최초로 시연한다.
2025.08.27by 배종인 기자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Infineon Technologies)가 인피니언의 마이크로컨트롤러·센서·스마트 액추에이터 기술과 엔비디아 젯슨 토르(NVIDIA Jetson Thor) 시리즈 모듈을 결합해 OEM 및 ODM이 확장 가능하고 정밀한 로봇 시스템을 빠르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 협력에서 인피니언은 엔비디아 홀로스캔 센서 브리지와 완벽하게 통합되는 PSOC Control C3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공급한다. 해당 제품은 젯슨 토르 모듈과 결합되어 실시간 추론 성능과 확장성을 제공하며, FOC(field-oriented-control) 알고리즘을 통해 소음 감소와 안정적인 토크 출력을 실현해 휴머노이드 시스템의 진동을 최소화한다.
2025.06.27by 배종인 기자
한때 혼다의 ‘ASIMO’, 소니의 ‘QRIO’로 세계를 놀라게 했던 일본이 산업화 실패와 전략 부재로 인해 미국, 중국, 유럽의 후발주자들에게 선도권을 내주는 형국으로 나타났다.
2025.06.23by 배종인 기자
최근 발간된 시장조사기관 옴디아(Omdia)의 기술 분석 보고서 ‘휴머노이드 로봇 및 체화 지능(embodied intelligence)’에 따르면, 한국이 미국·중국과 함께 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을 주도할 핵심 3대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2025.05.29by 배종인 기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한국기계연구원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 의료로봇연구실 신민기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링키지-와이어 복합 구동 방식과 부족구동 메커니즘을 적용해 절단 장애인이 간단한 명령으로도 다양한 물체를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는 초경량 로봇의수를 개발하고, 실제 사용자 대상 시험 평가를 완료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