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로 검색하여 1536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2021.05.26by 이수민 기자
SEMI의 최신 200mm 팹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월간 8인치 팹 생산량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17% 성장, 웨이퍼 약 660만 장 생산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2024년까지 5G, IoT 장치에 대한 수요를 맞추기 위해 전력 및 아날로그 반도체, MOSFET, MCU, 센서 등을 생산하는 200mm 팹이 22개 신규 건설될 것으로 보..
2021.05.26by 배종인 기자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가 필요하다.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센서들이 수집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해 IoT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액추에이터를 움직이며, IoT를 구현 할 수 있는 것이다.
2021.05.25by 강정규 기자
마이크로칩이 C 프로그래밍에서 암호화에 이르는 다양한 임베디드 디자인 주제에 대해 자사 제품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온라인 교육 과정 등록 및 지원을 개시했다. 마이크로칩 유니버시티 과정은 IoT, 블루투스 같은 통신 프로토콜, USB 및 CAN, 부트로더 및 FPGA를 사용한 고속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모범 사례를 제공..
2021.05.24by 배종인 기자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실질적인 구현을 위해서는 물리적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가 반드시 필요하다. 액추에이터는 일반적으로 유압식, 공압식, 전기식, 기계식의 4가지로 분류되며, 유압식은 물이나 기름과 같은 액체의 힘으로 실린더나 유체 모터를 구동해 기계를 작동시킨다. 공압식은 액체 대신 압축가스를..
2021.05.20by 배종인 기자
전자제품과 IoT의 차이점은 바로 ‘커넥티비티’로 전자제품들은 각각의 기기들이 서로 통신함으로써 비로서 사물인터넷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커넥티비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로 우리가 알고 있는 Wi-Fi, 이더넷, 블루투스 등의 기술이 있으며, 반도체 메이커들은 커넥티비티를 더욱 확장할 수 있는 반도체 칩 제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2021.05.18by 이수민 기자
대규모 IoT 장치의 구축과 관리는 정기적인 FOTA 및 SOTA 업데이트에 기반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온세미컨덕터는 보쉬 IoT 스위트에 자사 IoT 플랫폼을 통합했다. 현재 RSL10 센서 개발 키트와 RSL10 스마트 샷 카메라가 보쉬 IoT 스위트 생태계 내에서 지원 중이며, 향후 다른 플랫폼이 추가될 예정이다.
2021.05.17by 배종인 기자
사람의 개입이 없어도 사물 간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고 작동하는 시스템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고 한다. 건강관리, 전원, 가스, 주차장, 가전 등 사물인터넷은 알게 모르게 우리 삶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본지는 5회에 걸쳐 사물인터넷을 가능하게 하는 첨단 기술에 대해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2021.05.13by 이수민 기자
힐셔가 자사의 cifX PC 카드 제품군을 확장했다고 밝혔다. 해당 제품군은 IPC, HMI, 로보틱스 같은 PC 기반 제어 기능에 실시간 통신을 추가한다. cifX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품군은 실시간 이더넷과 필드버스 시스템을 모두 지원한다.
2021.05.28by 이수민 기자
무선 기술의 발달로 IIoT 디바이스 채택이 증가하는 추세다. 셀룰러 기술은 신호만 있다면 어디서나 작동하며, 여러 지역의 다양한 공급자와 운영자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포괄적인 표준화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확장이 쉬우며, 칩셋, 모듈 등 IIoT 디바이스 제조사의 광범위한 생태계를 통합한다. SIM 카드가 필요하단 불편함도 eSIM 기술 ..
2021.05.06by 이수민 기자
디지키 일렉트로닉스가 디지 인터내셔널로부터 2020년 우수 글로벌 유통업체 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디지 인터내셔널은 고객에게 우수한 가치를 제공하고 IoT 시장의 전반적인 발전에 공헌해 온 파트너에게 매년 우수 글로벌 유통업체 상을 수여한다. 디지키의 이번 수상은 4년 연속이다.
2021.04.22by 이수민 기자
IoT 시장이 연간 두 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하며 2022년 1조 달러를 돌파할 전망이다. 이러한 성장이 예상됨에도 공급 업체와 기업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에 따르면 대다수가 인프라 침해를 우려하고 있었다. 이에 FIDO 얼라이언스가 FIDO 디바이스 온보드(FDO) 프로토콜을 전 세계에 공개했다. FDO 프로토콜은 디바이스가 클라우드 및 사내 관리 플랫..
2021.04.21by 강정규 기자
마우저가 가전제품, 전기 제품, 개인위생 장비, IoT 에지 및 산업 자동화 장치 등 에너지 효율적이며 공간이 제한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실리콘랩스의 EFM32PG22 MCU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MCU는 EFR32xG22 무선 SoC와 핀, 소프트웨어 호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설계 시 확장 가능한 임베디드 플랫폼을 활용하여 제품 개발을 단순화하고..
2021.04.20by 이수민 기자
맥심이 자사의 신경망 MCU, MAX78000을 IoT 애플리케이션용 AI 기업인 아이집의 비주얼 웨이크 워드(VWW) 모델에 적용했다고 밝혔다. 저전력 네트워크는 빌딩 에너지 관리 및 스마트 보안 카메라 등 인체 감지용 배터리 구동식 IoT 시스템의 작동 시간을 늘린다. MAX78000 저전력 신경망 가속 기반 MCU는 기존 소프트웨어 솔루션 대비 1/1..
2021.04.14by 강정규 기자
마우저가 NXP의 i.MX 8M Plus 평가 키트를 공급한다. 이 키트는 i.MX 8M Plus 임베디드 멀티 코어 이종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위한 완전한 평가 플랫폼을 제공한다. i.MX 8M Plus 프로세서는 i.MX 제품군 중 최초로 IoT 및 IIoT 애플리케이션 에지에서 고급 머신 러닝 추론을 위한 전용 NPU를 탑재했다.
2021.03.28by 이수민 기자
IIoT 애플리케이션이 신뢰할 수 있는 IoT 시스템에서 보안이 강화된 IoT 시스템으로 진화 중이다. 보안이 강화된 IoT 솔루션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심지어 IoT 클라우드 서비스를 포함하는, 수많은 개별 요소들로 구성된다. 적합한 하드웨어를 선택하면 BOM을 줄이고 부품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적합한 보안 인프라는 시간이 흘러도 비용이 크게 들지 ..
2021.03.25by 이수민 기자
IoT 기술의 발달로 기업과 기관은 기존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수십에서 수백만의 IoT 노드가 지속해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일은 쉽지 않다. 조직은 높은 효율과 빠른 응답을 구현하기 위해서 자동화된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구축해야 한다. 리티 알고리즘으로 구동하는 시스템이 채택하는 것은 이를 실현하는 방..
2021.03.22by 이수민 기자
인터넷 연결로 자사 제품의 기능을 높이고, 기존에는 없었던 서비스를 창출하여 비즈니스 모델의 다각화를 시도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여기에 첫발을 내디딘 것은 IT 기업들이며, 제조 기업들 역시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 중심에는 IoT 플랫폼이 있다. IoT 플랫폼이란, 각종 센서와 단말기 등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2021.03.16by 강정규 기자
차세대 IoT 시스템은 초소형, 저전력, 고성능을 지향한다. 설계자가 산업용, 소비자, 의료용 IoT 시스템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솔루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도록 맥심 인터그레이티드는 에센셜 아날로그 이피션트 파워 IC 3종을 출시했다.
2021.03.12by 강정규 기자
LG유플러스와 GS건설이 AI 및 무선통신 인프라를 건설 현장에 적용한 ‘스마트건설 기술’의 검증에 성공했다. 양사는 2020년 11월부터 서초그랑자이 건설 현장을 시범 현장으로 선정하고, 건설 현장 특화 무선통신, 실시간 근로자 위치 확인, AI 영상분석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 타워크레인 안전 솔루션, IoT 헬멧 등을 실증했으며, 이를 연내에 상용화할 ..
2021.03.10by 이수민 기자
LTE-M/NB-IoT 모뎀과 GPS 기능을 통합한 노르딕의 nRF9160 저전력 SiP가 미국의 스타트업, 큐브 트래커의 C7004 큐브 GPS 추적 장치에 채택됐다. 큐브 GPS는 추적물의 소재지를 주기적으로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로 전송하는 약 70×40×16mm 크기의 장치로, GPS 업데이트 간격에 따라 10일에서 60일 정도 배터리 수명..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