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e4ds Tech Day

KT’로 검색하여 1225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 SKT, 통신·AI 집중 본격화

    2021.10.12by 배종인 기자

    SK텔레콤(대표이사 박정호)이 SK스퀘어와의 분할을 통해 통신, 인공지능 등 디지털인프라에 집중하며, AI·디지털인프라 서비스 회사로 탈바꿈한다.

  • SKT, ‘디지털트윈 얼라이언스’ 출범

    2021.09.30by 배종인 기자

    SK텔레콤(대표이사 박정호)가 20개 파트너사와 디지털트윈 구독 서비스 공급에 합의를 해 비용 부담으로 디지털트윈에 어려움을 겪었던 중소 제조업체들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SKT, 디지털 헬스케어 클라우드 시장 공략

    2021.09.30by 배종인 기자

    SK텔레콤(대표이사 박정호)이 GE헬스케어 코리아(대표이사 사장 김은미)와 손잡고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선점에 나선다.

  • SKT, ‘AI 유토피아’ 방안 모색

    2021.09.16by 배종인 기자

    우리나라 AI 스타트업 대표들이 SKT가 개최한 ai.x 2021 컨퍼런스에서 AI유토피아를 모색했다.

  • ​KT, 엡실론 1.7천억에 인수 "글로벌데이터 역량 확보"

    2021.09.09by 이수민 기자

    글로벌데이터는 국내외 고객과 해외통신사에게 PoP, IDC, 해저케이블 등 해외인프라에 기반을 둔 국제 전용회선, 이더넷, VPN, SD-WAN 등의 IT 플랫폼과 솔루션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해당 시장은 2025년까지 100조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KT는 말레이시아 쿠옥그룹이 보유한 글로벌데이터 기업, 엡실론의 지분 100%를 1억4,500만..

  • SKT, AI로 대화 편의성 향상

    2021.09.07by 배종인 기자

    SK텔레콤(대표이사 박정호)이 AI로 더 똑똑해진 T전화로 전 국민 대화 편의성을 높였다.

  • KT엔지니어링-월드파워텍, 에너지 사업 영역 확장 협력

    2021.09.06by 이수민 기자

    KT엔지니어링은 지난 3일 월드파워텍과 ‘중소형 발전용 스팀터빈'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기후 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한 그린 뉴딜 정책이 국내외에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양사의 에너지 사업 역량을 결합해 새로운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 ​KT, 수도권 IDC 백본망에 '기존 10배' 네트워크 증설

    2021.09.03by 이수민 기자

    KT는 수도권 6개 IDC(용산, 목동1·2, 강남, 분당, 여의도)를 연결하는 ‘원(One) IDC’ 인터넷 백본망에 테라급 네트워크를 증설했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IDC 백본망 용량 대비 10배 늘어난 수치다. 테라급 네트워크 구축으로 KT 수도권 IDC 이용 기업은 인터넷 접속망을 100기가 단위로 확장할 수 있게 됐다.

  • KETI·KTNET, 페이퍼리스 업무 혁신 ‘맞손’

    2021.09.02by 배종인 기자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원장 김영삼)과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대표이사 차영환)이 종이서류 없는 디지털 기업환경 조성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 SKT·포스코, AI 산업안전·품질검사 ‘맞손’

    2021.08.30by 배종인 기자

    SK텔레콤이 세계적 철강기업인 포스코와 AI 기반 산업안전 및 품질검사 분야 협력을 위해 손을 잡았다.

  • SKT, 수중통신망 이용 실시간 해양 감시

    2021.08.26by 배종인 기자

    SK텔레콤(대표이사 박정호)이 수중 기지국과 센서 노드를 활용해 세계 최초로 수중 통신망 기반의 실시간 해양 감시에 나선다.

  • 고양 드론앵커센터 "韓 드론 생태계 마중물 될 것"

    2021.08.20by 명세환 기자

    SK텔레콤이 고양시와 한국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조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고양시는 내년 9월까지 경의중앙선 화전역 인근 부지에 고양 드론앵커센터를 건축한다. 센터에는 실내 드론 비행 체험장이 조성되며, 드론 관련 기업과 기관이 입주한다. SKT는 센터 입주 기업과 기관이 겪을 수 있는 기술장벽 극복을 위한 멘토링을 지원한다.

  • SKT, 기업 위한 스마트팩토리-클라우드 서비스 강화

    2021.08.17by 이수민 기자

    SK텔레콤은 16일, 밸류컴패니언, 보쉬렉스로스코리아와 스마트팩토리 구축의 원스톱 지원을 위한 전문팀을 만든다. 전문팀의 원스톱 지원을 받을 첫 기업은 건강기능식품 기업, 네이처텍이다. 네이처텍은 전문팀을 통한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2단계 구축으로 생산설비 자동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게 됐다. 추가로 SKT는 AI 기반 차세대 클라우드 관리플랫폼, 클라우드 레..

  • ​KT-한화/기계, 5G 로봇 기반 스마트팩토리 구축한다

    2021.07.28by 이수민 기자

    KT, 한화/기계는 스마트팩토리 신규상품 출시 및 제조 분야 디지털 전환 사업협력 추진을 주요 내용으로 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양사는 5G에 기반을 둔 스마트팩토리의 사업 주도권을 확보하고, 제조 분야 DX 사업 경쟁력을 지속해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협동 로봇 신규상품 출시, 신규상품 활용 자동화 시스템 구축 및 고객사 공동 발굴·사업화, 대..

  • 초공간 6G 망 핵심 '위성통신' 생태계 키울 포럼 출범

    2021.07.22by 이수민 기자

    6G 망의 핵심인 지상-위성 통신망 통합에 대비해 위성통신 산업 저변 확대 및 소통을 위한 위성통신 포럼이 출범했다. 위성통신 포럼에는 KTSat, 한국항공우주산업,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AP위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20여 개 회원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의장사로 KTSat이 선임됐다.

  • KT, 2021 '메타버스' 스마트국토엑스포 온라인 참가

    2021.07.20by 명세환 기자

    올해 13회째를 맞는 스마트국토엑스포 행사가 ‘또 하나의 대한민국, 디지털 트윈국토가 미래를 디자인하다’를 주제로 오는 21일부터 23일까지 3일간 메타버스 기반 온라인 플랫폼에서 개최된다. KT는 여기서 지오마스터 모빌리티 플랫폼, 원내비 내비게이션, AI 인포테인먼트, 제주도 차세대 교통 시스템, 무인 비행체 교통관리까지 다섯 가지 서비스와 사업을 소개..

  • SKT-성신콤프레샤, 원격 컴프레서 관리 솔루션 만든다

    2021.07.15by 이수민 기자

    제조업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컴프레서의 관리를 지능화하는 구독형 서비스가 나온다. SK텔레콤은 12일, 성신콤프레샤, 솔텍시스템과 스마트 컴프레서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3사는 컴프레서 운영 및 유지 보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애로 사항을 AI와 클라우드 기술로 개선할 계획이다.

  • ​"2년 3개월 만에 단독" KT, 5G SA 서비스 시작

    2021.07.15by 이수민 기자

    5G 단독모드(SA)는 5G망만 단독 사용해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현재 서비스 중인 비단독모드(NSA)에 비해 단말의 배터리 사용 시간이 길고, 반응속도가 빠르다. KT는 15일부터 5G SA 상용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우선 삼성 갤럭시S20, S20+, S20 울트라 3종 단말부터 제공하며, 추후 제조사와 협력해 적용 단말을 확대할 계획..

  • 서울시, 5G C-ITS 실증사업 마무리, 이달 말 상용화

    2021.06.09by 이수민 기자

    SK텔레콤이 서울 시내 차량과 보행자, 교통 인프라 등 모든 것을 5G로 연결하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 C-ITS 실증사업을 이달 말 마무리 짓고 상용화에 돌입할 계획이라 밝혔다. 서울시와 SKT는 C-ITS를 통해 확보한 정보를 민간 내비게이션 제공업체에 5G로 제공하고, 이들 업체는 자사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해당 정보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도록 ..

  • 삼성 Neo QLED 어떤 환경서도 ‘최적 사운드’

    2021.06.08by 명세환 기자

    삼성 Neo QLED가 업계 최초로 독일 인증기관 VDE(Verband Deutscher Elektrotechniker)의 ‘공간 최적화 사운드(Spatial Sound Optimization)’ 기술을 인증 받으며, 소비자들에게 최적의 음향 환경을 갖춘 시청 환경을 제공하는 성능을 인정받았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