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e4ds Tech Day

로봇’로 검색하여 554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 [김예지의 IT 인사이트] [연재기획-통신은 소통의 역사다⑥] 5G는 현재진행형이다

    2024.07.12by 김예지 기자

    [편집자주] 통신의 역사는 인간의 연결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역사입니다. 선사 시대부터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통신의 기능은 소통과 약속의 수단으로 작용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888년 조선시대 전기통신이 최초 도입됐으며, 해방 후 1980년대 통신사업과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정보화 시대가 개막했습니다. 이제 5G, 6G 시대를 맞아 차세대 통신이라 꼽..

  • ETRI, 혁신적 나노기술 6종 공개

    2024.07.04by 배종인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3일부터 사흘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나노코리아 2024’에 참가해 최근 연구개발중이거나 연구성과로 도출된 △촉감센서 집적형 로봇 △근골격·심혈관 등 의료분야 △뉴로모픽 인공지능 기술 등 우리 삶과 밀접한 나노 관련 기술 6개와 3개 사업 등 총 9개 부분에 걸쳐 일반에 공개했다.

  • 위로보틱스, 천안시 보행보조 웨어러블 로봇 ‘윔’ 체험 세미나 성료

    2024.07.03by 김예지 기자

    위로보틱스와 지자체가 협업해 전국민의 보행운동 개선에 도움이 되는 웨어러블 로봇의 효과를 소개하고, 1인 1로봇 시대 전국민 윔(WIM) 체험 기회를 제공했다.

  • ​엔비디아, 옴니버스 클라우드 센서 RTX 발표...물리 AI 시뮬레이션 영역 확장

    2024.07.02by 권신혁 기자

    센서 기술은 수십억 달러 규모의 성장 산업을 구성하고 있다. 이는 자율 주행 차량, 휴머노이드, 산업용 매니퓰레이터, 모바일 로봇, 스마트 공간 등에 물리적 세계를 이해하고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 LG전자, 공감지능(AI) 로봇 ‘클로이’ 월 66만원 구독 서비스 시작

    2024.07.01by 김예지 기자

    한국로봇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서비스 로봇 시장은 지난 2022년 기준 약 1조 원 규모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0%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LG전자가 구독경제 트렌드에 맞춰 AI 로봇 솔루션 ‘클로이’를 경험하도록 구독 서비스를 시작했다.

  • [김예지의 IT 인사이트] [연재기획-통신은 소통의 역사다 ⑤] 광대역 LTE 시대, 치열해진 주파수 확보 전쟁

    2024.06.28by 김예지 기자

    [편집자주] 통신의 역사는 인간의 연결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역사입니다. 선사 시대부터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통신의 기능은 소통과 약속의 수단으로 작용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888년 조선시대 전기통신이 최초 도입됐으며, 해방 후 1980년대 통신사업과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정보화 시대가 개막했습니다. 이제 5G, 6G 시대를 맞아 차세대 통신이라 꼽..

  • 조달청, ‘K-로봇’ 공공조달시장 진입·판로지원 확대

    2024.06.27by 배종인 기자

    조달청(청장 임기근)이 7월 중 반려로봇과 실내 배송로봇에 대한 신규 다수공급자계약을 추진하며, 미래 첨단산업 육성과 인구·사회 구조 변화에 대응을 위해 ‘K-로봇’에 대한 공공조달 진출을 강화한다.

  • 2030년 지능형 로봇 100만대 보급 잰걸음

    2024.06.27by 배종인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강경성 1차관 주재로 제2차 첨단로봇 경제 TF를 개최하고 지능형 로봇 백만대 보급을 위한 차질 없는 정책 수립에 나섰다.

  • 삼성전자, 착용형 로봇 등 특허 231건 나눔

    2024.06.24by 배종인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와 삼성전자가 ‘2024년도 산업통상자원부-삼성전자 기술나눔 공고’를 통해 나눔기술들을 공개하고 6월25일부터 8월6일까지 신청 기업을 접수한다.

  • [김예지의 IT 인사이트] [연재기획-통신은 소통의 역사다 ④] 점점 빨라지고, 서로 연결되는 21세기 통신

    2024.06.14by 김예지 기자

    [편집자주] 통신의 역사는 인간의 연결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역사입니다. 선사 시대부터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통신의 기능은 소통과 약속의 수단으로 작용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888년 조선시대 전기통신이 최초 도입됐으며, 해방 후 1980년대 통신사업과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정보화 시대가 개막했습니다. 이제 5G, 6G 시대를 맞아 차세대 통신이라 꼽..

  • [기고]김필수 대림대 교수-“AI의 공포가 현실로…AI 탑재 자동차, 이대로 괜찮은가”

    2024.06.10by 편집부

    필자가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영화와 같이 완전한 인간과 같은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적용은 시간이 걸릴 것이나 당장 탑재할 수 있는 대상으로 자동차가 떠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 [김예지의 IT 인사이트] [연재기획-통신은 소통의 역사다 ③] 세계 최초 휴대전화, 부의 상징이었던 벽돌폰

    2024.05.31by 김예지 기자

    [편집자주] 통신의 역사는 인간의 연결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역사입니다. 선사 시대부터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통신의 기능은 소통과 약속의 수단으로 작용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888년 조선시대 전기통신이 최초 도입됐으며, 해방 후 1980년대 통신사업과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정보화 시대가 개막했습니다. 이제 5G, 6G 시대를 맞아 차세대 통신이라 꼽..

  • 독수리 눈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카메라 나왔다

    2024.05.30by 배종인 기자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나노입자 연구단 김대형 부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연구팀과 송영민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팀이 공동으로 새 눈의 구조와 기능을 모방한 물체 감지 특화 카메라를 개발하며, 물체 감지가 필요한 무인로봇, 자율주행차, 드론에서 적용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미래기술교육원, AI 로봇·휴머노이드 기술 세미나 개최

    2024.05.22by 김예지 기자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은 6월 27일 'AI 로봇/휴머노이드 개발을 위한 혁신 기술과 산업 적용방안 세미나 - 생성형 AI와 휴머노이드가 산업에 미칠 변화'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가넷홀에서 온, 오프라인으로 병행 개최한다고 밝혔다.

  • 6월부터 공동주택 로봇배송 실증

    2024.05.21by 배종인 기자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와 한국토지주택공사(사장 이한준)가 공동주택 내 로봇배송 기술 개발을 위해 단계별 공동주택 내 실증을 지원한다.

  • 마우저, AMD/자일링스 Kria K24 SOM 공급

    2024.05.20by 배종인 기자

    최신 전자부품 및 산업 자동화 제품을 공급하는 글로벌 공인 유통기업인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가 AMD/자일링스(Xilinx)의 크리아(Kria™) K24 SOM(System-on-Module)을 공급한다. K24 SOM은 신용 카드의 약 절반 크기로 맞춤 구현이 가능한 징크 울트라스케일+(Zynq™ UltraScale+™) ..

  • 유니버설 로봇-미르, 덴마크에 600평 로봇 공학 허브 개설

    2024.05.17by 김예지 기자

    ‘유니버설 로봇(Universal Robots)’과 모바일 산업용 로봇(AMR) 기업 미르(MiR)는 14일(현지시각) 덴마크 오덴세에 20,000평방미터(약 600평) 규모의 새로운 본사 개소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 [김예지의 IT 인사이트] [연재기획-통신은 소통의 역사다 ②] 해방 전후 전기통신, 잿더미 속에서 일군 성과

    2024.05.17by 김예지 기자

    [편집자주] 통신의 역사는 인간의 연결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역사입니다. 선사 시대부터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통신의 기능은 소통과 약속의 수단으로 작용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888년 조선시대 전기통신이 최초 도입됐으며, 해방 후 1980년대 통신사업과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정보화 시대가 개막했습니다. 이제 5G, 6G 시대를 맞아 차세대 통신이라 꼽..

  • 유블럭스, ‘고정밀 위치추적 기술’ 잔디깎이 로봇 시장 석권

    2024.05.07by 배종인 기자

    위치 추적 및 무선 통신 기술 분야의 세계적 선도기업인 유블럭스(u-blox, 한국지사장 손광수)가 고정밀 위치추적 기술로 잔디깎이 로봇 시장을 석권하며, 향후 이 분야에서만 1억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기대가 모아진다.

  • 이물질 삼켰을 때 ‘바로’ 꺼내는 기관지 내시경 로봇

    2024.05.02by 배종인 기자

    음식이나 이물질 삽입 등으로 영·유아나 노약자의 기도가 폐쇄되는 사고가 발생할 때, 관절이 있는 내시경 로봇으로 이물질을 즉각 빼낼 수 있는 기관지 내시경 로봇 시스템이 국내 최초로 개발돼 부작용을 줄이고 의료인력 투입을 최소화하는 등 환자에게 빠르고 정확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