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chip _ Nov 25
  • NXP, 아비바 링크스·키나라 인수 완료…5억5천만불 투자

    2025.11.03by 배종인 기자

    NXP가 10월24일 아비바 링크스를 현금 2억4,300만달러에, 10월27일 키나라를 현금 3억700만달러에 각각 인수하며, 산업·IoT·자동차 엔드 마켓 경쟁력 확대에 나섰다.

  • 전기연구원, 창립 49주년 미래 도약 다짐…“전기로 세상을 이롭게” 비전 선포

    2025.11.03by 배종인 기자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창립 49주년을 맞아 “전기로 세상을 이롭게”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 최태원 SK 회장, “AI 병목 메모리·인프라·설루션으로 해결”

    2025.11.03by 배종인 기자

    SK그룹 최태원 회장은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국내 최대 AI 행사 ‘SK AI 서밋 2025’에서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하며, AI 수요 폭증에 대응할 SK의 비전과 실행 전략을 제시했다. 최태원 회장은 AI 확산의 걸림돌인 ‘수요-공급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K가 집중할 세 가지 분야로 △메모리반도체 공급 △AI 인프라 구축 △AI 기술의 적극적 활용을 제시했다.

  • 곽노정 SK하이닉스 CEO, “‘풀 스택 AI 메모리 크리에이터’로서 고객 기대 이상 가치 제공할 것”

    2025.11.03by 배종인 기자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CEO)은 3일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AI 시대를 선도할 새로운 비전 ‘풀 스택 AI 메모리 크리에이터(Full Stack AI Memory Creator)’를 발표하며, 글로벌 메모리 시장의 미래 방향을 제시했다. 곽노정 CEO는 “지금까지 SK하이닉스는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적시에 공급하는 ‘풀 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 역할을 해왔다”며 “앞으로는 공동 설계자(Co-Architect), 생태계 기여자(Eco-Contributor)로서 AI 메모리를 창조하는 크리에이터로 진화하겠다”고 강조했다.

  • 정재헌 SKT CEO, “국가대표 AI 사업자로서 AI 3대 강국 도약 총력 다할 것”

    2025.11.03by 배종인 기자

    정재헌 SK텔레콤 CEO는 3일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AI 인프라 구축 로드맵을 발표하며, 국가대표 AI 사업자로서 대한민국의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정재헌 CEO는 이날 키노트 연설을 통해 울산 AI 데이터센터(DC) 확장,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에지 AI 및 AI-RAN 기술 협력 등 ‘AI Infra의 Now & Next’ 전략을 공개했다.

  • SK, 엔비디아와 HBM4·AI 팩토리 등 AI 생태계 확장

    2025.11.03by 배종인 기자

    SK그룹이 엔비디아(NVIDIA)와 손잡고 국내 제조업 생태계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한다. 이는 아시아 최초로 엔비디아의 옴니버스(Omniverse) 플랫폼을 활용한 제조 AI 클라우드 상용화 사례로, 국내 스타트업과 공공기관에도 개방해 제조 AI 생태계 육성에 나선다.

  • 삼성전자, 엔비디아와 AI 반도체 동맹 진화…HBM4 공급 눈앞

    2025.11.03by 배종인 기자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의 GPU를 5만개 이상 도입해 AI 팩토리 인프라를 확충하고, 엔비디아에 대한 HBM4 공급도 거의 확실한 단계에 이르며, AI 생태계에서 양사 협업을 강화한다.

  • “한국에 AI 팩토리 조성, 26만개 GPU 공급”

    2025.11.03by 배종인 기자

    세계 최대 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의 젠슨 황(Jensen Huang) CEO는 31일 2025년 APEC 경주 엔비디아 기자간담회에서 국내 언론과 간담회를 통해 AI 산업의 미래와 한국의 역할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황 CEO는 이날 간담회에서 “향후 1년간 26만 개의 GPU를 한국에 배치할 계획”이라며 “이는 AI 모델 학습과 추론을 위한 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 삼성, SK, 현대, 네이버 등 국내 주요 기업들과 협력해 AI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 노보센스, 차세대 모터 제어 기술 웨비나 개최…고효율·정밀 제어 솔루션의 미래를 논하다

    2025.11.02by 명세환 기자

    글로벌 에너지 절약 규제가 강화되고 전기차, 로봇, 자동화 장비 등 첨단 산업이 빠르게 확장되면서 고효율·저전력 모터 제어 기술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이러한 산업적 변곡점에서 아날로그 및 혼합 신호 반도체 전문기업 노보센스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NOVOSENSE)가 '모터 제어 솔루션'을 주제로 개최하는 기술 웨비나는 단순한 정보 공유를 넘어, 시장의 요구에 대한 기업의 전략적 대응과 미래 비전을 가늠할 수 있는 핵심적인 이정표를 제시한다. 이번 웨비나는 모터 구동의 기본 원리부터 실제 시스템 설계 및 최적화 전략에 이르기까지, 자동차 및 산업 자동화 분야 엔지니어들에게 실질적인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 노보센스의 차세대 솔루션을 소개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