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2by 배종인 기자
임춘택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는 9일 ‘2025 e4ds Tech Day’ 기조연설을 통해 “세계 에너지 투자는 이미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 옮겨가고 있으며, 전기·전자 기술과 결합한 전기화 흐름이 산업 판도를 바꾸고 있다”고 밝혔다.
2025.09.12by 배종인 기자
인공지능반도체포럼은 10일 ‘자동차 AI 시장 선점의 관건 - 반도체 경쟁력, 무엇이 중요한가?’라는 주제로 제12회 인공지능반도체포럼 조찬강연회 진행했다. 이날 발표를 담당한 박원주 보스반도체 CSO는 자동차 산업은 5년 뒤 시장을 보고 움직인다며 자율주행과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가 AI 혁신의 중심이라고 밝혔다.
2025.09.11by 배종인 기자
키사이트 코리아(Keysight)는 10일 키사이트 월드 테크 데이 2025 기자 간담회를 통해 6G를 중심으로 한 차세대 기술 혁신과 이를 지원하는 키사이트의 역할을 소개했다. 발표를 담당한 이선우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코리아 사장은 연결과 컴퓨팅의 급격한 진화가 산업 전반의 구조를 바꾸고 있다며 6G로 향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트윈 기반 설계·에뮬레이션·검증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2025.09.03by 배종인 기자
헥사곤은 3일 서울 AT센터에서 ‘HEXAGON 라이브 이노베이션 서밋 코리아 2025’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문장희 헥사곤(Hexagon) NBD 팀장은 Leica Absolute Tracker ATS 800의 기술적 혁신과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소개하며, 측정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2025.09.03by 배종인 기자
헥사곤(Hexagon)은 3일 서울 AT센터에서 ‘HEXAGON 라이브 이노베이션 서밋 코리아 2025’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홍석관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사장은 ‘헥사곤 데이터로 완성되는 스마트 제조’라는 주제로 발표하며, 제조 산업의 디지털 전환(DX)과 자율화(AX) 간 핵심 관계를 설명하고, 현실적 접근 방안을 제시했다.
2025.09.03by 배종인 기자
헥사곤(Hexagon)이 3일 서울 AT센터에서 ‘HEXAGON 라이브 이노베이션 서밋 코리아 2025’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림분춘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아세안·태평양·인도 지역 사장이 ‘정밀 측정과 스마트 디지털 트윈의 미래(The Future of Precision Measurement and Smart Digital Twins)’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발표하며, 정밀 측정에서 스마트 디지털 트윈으로의 제조업 미래를 제시했다.
2025.08.26by 배종인 기자
글로벌 차량 소프트웨어 솔루션 기업 벡터 코리아(Vector, 지사장 장지환)가 2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Vector TechDay Korea 2025’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Kai Jansen 벡터 Field Application Engineer가 ‘The “All-Ethernet Vehicle” - Vision or Soon to Be Reality?’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Kai Jansen 벡터 FAE는 “10Base-T1S·서비스 지향 아키텍처로 미래 자동차 네트워크를 혁신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25.08.26by 배종인 기자
글로벌 차량 소프트웨어 솔루션 기업 벡터 코리아(Vector, 지사장 장지환)는 2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Vector TechDay Korea 2025’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Christof Ebert 벡터 이사는 ‘GenAI from Requirements to Testing’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발표했다. Christof Ebert 벡터 이사는 “SDV에서 우선 속도와 기능 안전성을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며 “속도만으로는 부족하다. 전통적 가치와 최신 기술을 결합해 효율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5.08.25by 배종인 기자
청정수소 확대에 있어 핵심적인 수소 균등화 비용을 낮추기 위한 기술, 경제적 최적화를 위해 디지털 트윈 기술이 시장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