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chip _ Nov 25
  • SK텔레콤-삼성전자-카카오, AI 동맹 맺고 코로나 대응

    2020.12.23by 이수민 기자

    SK텔레콤, 삼성전자, 카카오가 AI 동맹을 맺고 관련 기술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3사는 이번 동맹으로 각 사가 가진 핵심 역량을 모아 미래 AI 기술 개발, 사회적 난제 해결을 위한 AI 활용 방안 연구, AI 기술 저변 확대를 공동 추진한다.

  • 스마트팩토리 기반 BM 창출할 '제조 클러스터' 모집

    2020.12.22by 이수민 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스마트팩토리 기반 선도형 디지털 클러스터 지원사업을 공고하고, 올해 12월 23일부터 내년 2월 1일까지 선도기업과 전후방 가치사슬이 밀접한 협업기업 등 희망 사업자의 신청을 받는다. 이번 디지털 클러스터는 개별공장 중심의 스마트화 지원을 넘어 스마트팩토리 간 데이터 및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연결을 통해 공동 자재관리부터 수주?생산 및 유통?마케팅 등 글로벌 수준의 다양한 협업 BM 창출과 확산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 2021년 메모리 가격, DRAM 오르고 NAND 떨어져

    2020.12.22by 이수민 기자

    DRAM 산업은 2020년,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요 부진으로 공급이 1.6% 과잉됐다. 2021년에는 PC 및 모바일 수요 개선과 서버 수요 회복으로 공급이 0.5% 부족해질 전망이다. NAND 산업 또한 수요 약세와 공급 증가로 2.1% 공급 과잉이 전개됐다. 2021년에도 NAND 업황은 업체 간 투자 확대와 캐파 증대로 공급 과잉이 3.8% 많아질 전망이다.

  • "데이터 처리, 어디서 해야 효율적?" 에지 컴퓨팅이 떠오른다

    2020.12.21by 이수민 기자

    클라우드 컴퓨팅은 실시간 처리가 필요한 각종 IoT 서비스를 수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갈수록 커져가는 데이터 볼륨과 네트워크 트래픽에 따른 서버의 과부하 문제, 모든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개인정보 침해 문제 등도 고민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가 발생한 장소나 가까운 곳에서 실시간으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에지 컴퓨팅이 주목받고 있다.

  • 韓 식품 검사 분야에 최적화된 AI 머신비전 개발된다

    2020.12.21by 이수민 기자

    코그넥스코리아와 CJ올리브네트웍스가 식품 검사용 AI 머신비전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식품 제조 공장에 설치된 비전 시스템에서 이미지를 수집하고 데이터를 분석해, 불량검사, 제품식별, 제조 일자 확인 등 기존에 사람이 맨눈으로 하던 검사 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고성능 비전 장비를 공급하고, 관련 서비스를 개발하는 등 사업 활성화를 위해 협력한다.

  • 임베디드 시스템에 최적화된 AI 모델 개발하려면?

    2020.12.20by 이수민 기자

    거의 모든 산업에서 디지털화가 가속하며 많은 기업이 AI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진행할 각 산업계 전문가의 AI 지식과 경험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매스웍스는 딥러닝 프레임워크와의 연동성을 높인 매트랩 등으로 AI 모델 개발에 드는 엔지니어의 시간과 노력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 MEMS 가속도계로 기계 장비 가동 중단 최소화하기

    2020.12.19by 이수민 기자

    기계 장비를 사용하는 모든 분야에서 가동 중단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예방 정비가 갈수록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이는 기계 장비의 진동 패턴 감지와 분석으로 이뤄진다. MEMS 센서는 압전 센서보다 분해능이 높으며, 드리프트와 감도 특성이 뛰어나다. SNR 또한 우수하며 DC에 가까운 수준의 저주파 진동도 감지할 수 있다.

  • 차세대 EV 배터리 구현, 소재부터 SW까지 신경써야

    2020.12.18by 이수민 기자

    전 세계 전기차 시장 규모는 2020년 250만대 수준에서 2030년 3,000만대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EV 시장의 성장에 따라 배터리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노후 배터리에 대한 교체 수요 역시 늘어날 전망이다. 마이스포럼은 17일, 배터리 전문가 6명을 초청하여 '2020 차세대 배터리 최신 기술세미나'를 개최하고 관련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 불법드론 실시간 추적하고 대응하는 '드론캅' 개발 추진

    2020.12.18by 명세환 기자

    380억 원이 투입되는 2021년도 과기정통부 무인이동체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이 확정됐다. 내년 사업 규모는 올해 대비 41% 증가했다. 이 중 88억 원이 불법드론 대응기술 개발과 비가시권 장거리 비행 드론 통신기술 개발 등에 투자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