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SIM 필요 없는 셀룰러 IoT 기기 상용화 가시권

    2020.09.08by 강정규 기자

    LG유플러스는 소니 반도체 이스라엘, 엔티모아, G&D와 함께 SIM 카드 없는 통신 기술인 iUICC의 상용화 인증을 완료했다. iUICC는 SIM을 기기에서 음성과 데이터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통신 칩셋의 기능으로 구현한 기술이다. SIM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나 부품이 필요 없어 셀룰러 IoT 기기의 크기를 지금보다 줄일 수 있다.

  • 일렉트로비트, 시높시스 ARC FS IP 전용 SW 출시

    2020.09.08by 명세환 기자

    일렉트로비트가 시높시스의‘디자인웨어 ARC EM/HS FS 프로세서 전용 ‘EB 트레소스 클래식 오토사 소프트웨어를 출시했다. 이 소프트웨어는 자동차 반도체 기업,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제조사가 오토사 표준을 기반으로 전장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히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공한다.

  • 진동으로 전력 생산하는 자동 공진 튜닝 에너지 하베스터 개발됐다

    2020.09.07by 이수민 기자

    KIST 송현철 박사 연구팀이 설치 환경에 따라 스스로 고유진동수를 조절하여 공진을 맞추는 자동 공진 튜닝 에너지 하베스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에너지 하베스터 내부에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추를 부착했다. 주변의 진동을 감지하면 추는 스스로 다른 위치로 이동한다. 추의 위치가 변한 에너지 하베스터는 외부의 진동과 같은 진동수를 갖게 되어 다양한 진동과 공진할 수 있다.

  • 삼성전자-한샘, 리모델링 사업 맞손 "가구와 가전 융합"

    2020.09.07by 강정규 기자

    삼성전자와 한샘은 공동사업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리모델링 사업 확대와 리테일 판매 연계를 위한 공동사업 발굴, 그리고 스마트홈 솔루션 구현 등 폭넓은 상호 협력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 中企 개발한 안전 제품, 출시 전 해외 실증 간편해진다

    2020.09.07by 이수민 기자

    생기원이 운영하는 스마트 안전 리빙랩이 유럽 리빙랩 네트워크, 엔롤에 정식으로 가입했다. 생기원의 스마트 안전 리빙랩은 비즈니스 모델 개발부터 사용자 중심 실증 및 인증까지 포함하는 종합적인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향후 엔롤 네트워크와의 연계를 통해 신제품 출시 전 해외 고객 대상 실증 및 피드백 반영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 클라우드 통해 3D 설계도 공유하는 협업 솔루션 공개

    2020.09.04by 이수민 기자

    삼성SDS가 3D 설계 데이터의 현장 공유 및 비대면 협업을 지원하는 '넥스플랜트 3D 엑설런스 솔루션'을 최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솔루션을 활용하면 3D 설계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공유할 수 있어 발주처-시공 현장-파트너 간 협업이 가능하다.

  • 10nm 공정에서 제조된 인텔 '타이거 레이크' CPU 첫선

    2020.09.04by 이수민 기자

    인텔이 온라인 기자 간담회를 열고 노트북용 11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코드명 타이거 레이크를 공개했다. 타이거 레이크는 인텔이 새로 도입한 10nm 슈퍼핀 공정에서 처음으로 제조된 CPU로, 최대 4코어 8스레드, 캐시 12MB, 3.0GHz 기본 클럭, 4.8GHz 싱글 코어 터보 클럭, 4.3GHz 전체 코어 터보 클럭을 지원한다.

  • 韓 제안한 통신 보안 표준 8건, ITU-T 국제표준 채택

    2020.09.04by 강정규 기자

    8월 24일부터 9월 3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된 ITU-T SG17 회의에서 한국 주도로 마련한 정보통신 보안 관련 국제 표준 8건이 채택됐다. 양자암호 통신 표준의 개발을 전담하는 과제 그룹도 신설됐다.

  • 턱스크·입스크 가려내는 5G AI 방역 로봇 실증 시작

    2020.09.04by 명세환 기자

    LG유플러스와 퓨처로봇과 넷온이 5G 기반 AI 방역 로봇 사업 MOU을 체결했다. 3사가 개발하는 5G 방역 로봇은 자율주행으로 건물 내부를 이동하며, 얼굴 인식과 온도측정을 통해 마스크 착용 여부 및 체온을 확인한다. 다중얼굴인식 기술이 적용되어 최대 10명의 얼굴까지 동시에 인식하며, 0.3초 이내로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딥러닝 기반 분석을 통해 턱스크, 입스크 등도 판별할 수 있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