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체의 3차원 위치측정, 3D 홀 센서가 가장 적합해"

    2020.08.26by 이수민 기자

    자동차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에서 자동화, 원격 제어, 예지보전 등을 접목하는 사례가 늘면서 물체의 움직임과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의 활용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면서 자기 센서의 채택도 늘어나고 있다. 인피니언에서 자동차용 센서 반도체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박주일 상무를 만나 자기 센서의 특징과 활용성, 향후 전망 등에 관해 물었다.

  • 마이크로칩, 4Mbit 직렬 EEPROM '25CSM04' 공개

    2020.08.26by 강정규 기자

    직렬 EEPROM은 디바이스의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는 사용자별 데이터 세트를 저장한다. 마이크로칩은 기존 제품보다 밀도를 2배 높인 4Mbit 직렬 EEPROM 25CSM04를 출시했다. 새로운 4Mbit 직렬 EEPROM은 낮은 대기 전류, 짧은 섹터 소거 및 다시 쓰기 시간으로 NOR 플래시를 대체할 수 있다.

  • 키사이트, 獨 기업 2곳과 ADE 플랫폼 개발 위해 맞손

    2020.08.26by 명세환 기자

    키사이트는 독일의 IPG 오토모티브, 노르드시스와 함께 차량 내 모든 ADAS 관련 센서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동기화하고 에뮬레이션하는 자율주행 에뮬레이션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다년간 이어질 협력 체제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 엘리먼트14, KOA 수동소자 제품 1,500종 공급 나서

    2020.08.25by 강정규 기자

    엘리먼트14는 24일, KOA의 수동소자 제품 1,500종을 공급하는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KOA는 전 세계 칩 레지스터 시장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 후막 레지스터, 션트/전류 감지 레지스터, 와이드 터미널 레지스터, 고전압 레지스터, 박막 칩 레지스터, 슈퍼 프로텍션 레지스터 등이 있다.

  • 韓 전파모델, mmWave·THz 통신 국제표준에 적용되나

    2020.08.24by 강정규 기자

    국립전파연구원이 8월 10일부터 2주간 온라인으로 열린 ITU-R SG3 회의에서 국내에서 개발한 전파모델을 국제 표준으로 제출하며 차세대 통신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전파모델이란, 전파의 경로 손실과 다중경로로 전달되는 전파의 특성 등을 모델화한 것으로, 기지국 위치 및 출력 설정 등에 활용된다.

  • 해외유입 코로나19 확진자 수 예측 기술 개발됐다

    2020.08.24by 이수민 기자

    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과 이재길 교수 연구팀이 향후 2주간의 코로나19 해외유입 확진자 수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해외 각국의 확진자 수, 사망자 수, 코로나19 관련 키워드 검색빈도, 한국으로의 일일 항공편 수, 한국으로의 로밍 고객 입국자 수 등 빅데이터에 AI 기술을 적용해 해외유입 확진자 수를 예측한다.

  • ST 코리아, STM32 디스커버리 데이 온라인으로 개최

    2020.08.24by 이수민 기자

    ST 한국지사가 오는 9월 1일부터 4일까지 'STM32 디스커버리 데이 온라인 트랙 2020'을 개최하며 전원 및 통신 분야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주요 STM32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행사는 무료로 진행된다.

  • 마우저, 자사 재고와 연동된 저항기 색상 계산기 제공

    2020.08.24by 강정규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저항기 색상 코드 계산기를 포함하여, 회로 설계 과정 전반을 지원하는 기술 자료 및 도구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저항기 색상 코드 계산기는 색상 순서를 기억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하고, 부품의 저항과 허용 오차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드롭다운 목록을 제공한다.

  • 中企 소부장 기술 상용화 지원 R&D 과제 31개 선정

    2020.08.24by 명세환 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대학·연구소의 소재·부품·장비 분야 핵심기술을 이전받은 중소기업에 이전기술 후속 상용화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는 테크브릿지 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 지원과제를 1차로 31개 선정했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