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chip _ Nov 25
  • 인텔, 3세대 제온 플랫폼용 보안 기능 세트 새로 공개

    2020.10.16by 김동우 기자

    인텔은 3세대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플랫폼(코드명 아이스레이크)에 대한 새로운 보안 기능 세트를 공개했다. 인텔은 ‘보안 우선 서약에의한 선도적이고 인증된 인텔 소프트웨어 가드 익스텐션(SGX)을 아이스레이크(Ice Lake) 플랫폼 전 영역에 제공한다. 이와 함께 인텔 토털 메모리 인크립션(TME), 인텔 플랫폼 펌웨어 레질리언스(PFR), 새로운 암호화 가속기를 지원한다.

  • SKT, 5G 모세혈관 "프론트홀" 고도화 본격 추진한다

    2020.10.16by 김동우 기자

    SK텔레콤은 광케이블 매설하기 어려운 지역에도 5G 서비스 제공을 위해 5G 무선 프론트홀 장비를 도입한다고 15일 밝혔다. SKT는 10월 초 경남 진주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5G 상용망에 5G 무선 프론트홀 장비를 구축했다. 이후 진주를 시작으로 광케이블 선로 공사가 어려운 구도심 지역부터 우선 설치하고 도서 지역과 내륙 산간 지역 등으로 확대 중이다.

  • 스위칭 레귤레이터 토폴로지별 노이즈 수준 이해하기

    2020.10.16by 이수민 기자

    시스템 설계 엔지니어들은 어떤 DC/DC 컨버터가 어느 단자에서 특히 노이즈가 높은지 이해해야 한다. 그래야 설계 단계에서 미리 적합한 필터를 구상하고 거기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인터뷰]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전원부터 출발해야"

    2020.10.15by 이수민 기자

    전자제품을 설계하는 엔지니어가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일까? 바로 전원이다. 안정적인 전원이 뒷받침되어야만 설계한 제품이 제 성능을 낼 수 있다. 크래카의 박경진 대표에게 효과적인 전원 설계와 안정적인 전원 관리를 위해 관련 엔지니어가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하는지를 물었다.

  • ETRI-DGIST, 새로운 전고체 이차전지 전극 구조 개발

    2020.10.15by 김동우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공동연구팀은 활물질 간 원활한 리튬이온 확산 특성을 규명해 새로운 형태의 전고체 이차전지용 전극 구조를 설계했다고 발표혔다. 전고체 이차전지는 배터리 전극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로 고체를 활용하는 차세대 전지다. 한 번 사용하고 나면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 달리, 이차전지는 스마트폰 배터리처럼 방전되어도 충전해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또 고체 전해질은 자칫 화재가 날 수 있는 액체 전해질보다 안전하며 바이폴라형 이차전지를 구현하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충전 한 번에 1,000km 달리는 EV 리튬공기전지 개발돼

    2020.10.15by 이수민 기자

    한 번 충전에 1,000km를 달릴 수 있는 전기차 전지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UNIST와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공동연구팀은 리튬공기전지 내부의 유기 물질을 세라믹 소재로 바꿔 그동안 상용화 난제로 지적돼 온 전지 수명 저하 문제를 해결했다고 밝혔다.

  • 비트웨어, RFSoC 기반 데이터 수집 카드 출시

    2020.10.15by 강정규 기자

    비트웨어가 자일링스의 Zynq UltraScale+ RFSoC을 사용한 데이터 수집 카드, RFX-8440을 출시했다. 이 PCIe 카드는 자일링스의 3세대 버전 RFSoC가 가진 독특한 성능을 활용해 5G, LTE 무선, 위상 배열 레이더 및 위성 통신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필수인 6기가 헤르츠 이하의 모든 스텍트럼을 커버한다.

  • 안리쓰, 신호 품질 분석기-R MP1900A PCIe RX 강화

    2020.10.15by 강정규 기자

    안리쓰코퍼레이션은 신호 품질 분석기-R MP1900A PCI Express1 RX에 강화된 기능을 출시했다고 14일 밝혔다. 신호 품질 분석기-R MP1900A 시리즈는 PCI Express 4.0/5.0, USB3.2/4, Thunderbolt 등과 같은 고속버스 인터페이스와 400 및 800GbE와 같은 차세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계 및 검사하는 데 필요한 멀티채널 비트 오류율(BER) 측정 기기이다. 이번에 강화된 분석기 기능은 PAM4 PPG MU196020A의 고품질 웨이브폼 성능을 PCIe RX테스트를 위한 최신 고속, 대용량 PCI Express 표준으로 업그레이드이다. 그 결과 데이터 센터 및 기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PCIe Gen 6(PAM4 32 Gbaud) 제품을 계획하고 개발하는 ..

  • 신소재 R&D에 데이터와 AI 도입된다 "허브 구축 확정"

    2020.10.15by 이수민 기자

    데이터와 AI를 소재 연구에 접목하여 실험과 이론에 의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신소재 개발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과기정통부는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열고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허브 구축 및 활용방안을 확정하고 본격 추진한다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