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깃렙, CNCF 쿠버네티스 서비스 제공업체 자격 획득

    2020.09.11by 명세환 기자

    최근 쿠버네티스를 채택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고, 데브옵스 인력이 쿠버네티스를 활용하여 업무를 자동화하고 있다. 하지만 기업 마다 컨테이너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 기술 격차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깃랩이 CNCF로부터 쿠버네티스 인증 서비스 제공업체 자격을 획득하고 본격적인 지원에 나선다.

  • 中企 스마트공장 위한 AI 제조 플랫폼 'KAMP' 나온다

    2020.09.10by 이수민 기자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 보급이 늘고 있다. 하지만 제조데이터가 여전히 개별 스마트팩토리에 머물러 있어 분석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중기부는 AI 제조 플랫폼 구축에 협력할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로 NHN-KT 컨소시엄을 선정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코로나 끝나도 업무용 PC는 재택근무에 적합해야 한다

    2020.09.10by 이수민 기자

    다수의 기업이 재택근무를 실행하고 있거나 실행한 적이 있으며, 앞으로 재택근무 PC로 데스크톱이 아닌 노트북을 구매할 계획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제 기업들은 원활한 원격근무 환경을 위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플랫폼, 인프라, 프로세스와 도구를 지속해서 구축하고, 이를 어떻게 기업문화에 융화시킬지 고민해야 한다.

  • 5G 네트워크 가상화 상용화 위한 글로벌 동맹 결성

    2020.09.10by 이수민 기자

    SKT, 삼성전자, HPE, 인텔이 5G 네트워크 가상화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5G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부터 표준 프로세스 수립, 가상화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기술 개발까지 폭넓게 이뤄짐에 따라 글로벌 이통사 누구나 5G 네트워크에 가상화 프로세스 도입을 손쉽게 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 전기차 배터리 생산 품질 관리, 딥러닝 솔루션이 필요

    2020.09.10by 명세환 기자

    전기차 배터리는 가혹한 상황에서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전제된다. 잘못 생산된 배터리 셀 하나만으로도 전체 배터리 팩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품질 제어가 제때 이루어지지 못하면 많은 불량품이 생산될 수 있다. 이에 코그넥스가 전기차 배터리의 품질 보장 및 수명 연장을 위한 제조공정 자동화에 적용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머신비전 솔루션을 제안했다.

  • 맥심, 아날로그 IC 정보 제공 앱 출시 "주문도 가능"

    2020.09.10by 강정규 기자

    맥심이 에센셜 아날로그 모바일 앱을 출시했다. 앱을 통해 시스템 구축 엔지니어는 모바일로 최신 맥심 아날로그 IC 정보를 확인하고 제품도 주문할 수 있다. 앱을 통해 맥심은 애플리케이션 노트 및 블로그 콘텐츠, 교육 동영상 및 평가 키트, 데이터시트 등을 제공한다.

  • 텔레다인 e2v, 조명 상관없는 2MP MIPI 모듈 선봬

    2020.09.10by 강정규 기자

    텔레다인 e2v는 초점이 사전에 맞춰진 산업용 2MP 콤팩트형 광학 모듈을 출시했다. 모듈에는 2.8μm 저노이즈 글로벌 셔터 픽셀을 탑재한 텔레다인 e2v의 스내피 200만 화소 CMOS 센서가 장착됐다. 패스트 셀프익스포저 기술이 적용돼 조명 상태가 변해도 빠른 이미지 처리가 가능하다.

  • 인피니언, SiC 기반 서보 드라이브 평가 보드 공개

    2020.09.09by 명세환 기자

    인피니언이 CoolSiC MOSFET MADK 보드를 출시했다. 최대 7.5kW 모터용 MADK EVAL-M5-IMZ120R-SIC 평가 보드는 서보 드라이브를 위한 3상 인버터 보드다. 테스트 패드를 통해 모든 아날로그 및 제어 신호를 쉽게 액세스할 수 있으며 정밀한 측정을 위해서 신호는 전원 부분과 분리된다.

  • ADI, DSP 기반 오디오 기기 개발 가속하는 시스템 출시

    2020.09.09by 강정규 기자

    ADI가 다양한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개발을 가속하는 오디오 시스템을 출시했다. 이 시스템은 SHARC 오디오 모듈 메인 보드, 오디오 프로젝트 핀 보드, A2B Class-D 증폭기 모듈로 구성되며, 오디오 FX 프로세서,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 MIDI 합성기, 그 밖의 DSP 기반 오디오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