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옴, 컬러 유니버셜 디자인에 적합한 청록색 LED 개발

    2020.06.09by 이수민 기자

    로옴이 1608 사이즈 청록색 LED인 SMLD12E2N1W와 SMLD12E3N1W를 개발했다. 日 컬러 유니버셜 디자인 협회 인증을 취득한 두 LED는 로옴의 SMLD12BN1WT86, SML-D15YW, SML-D15DW와 배색해서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에폭시 수지 채용품 대비 수명이 약 20배 길며, 실리콘 수지 채용품 대비 몰드 강도가 약 25배 세다.

  • "드론 배송 가시화되나?" 산업부-ETRI-GS, 제주서 실증

    2020.06.09by 명세환 기자

    산업부와 ETRI와 GS는 제주에서 드론 활용 유통물류 혁신 실증 시연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GS 편의점 앱을 통해 주문된 식음료를 드론 배송거점인 GS칼텍스 주유소에서 적재하여 5~6분 내로 배송하고 복귀하는 서비스를 시연했다. 정부는 지난해 4월부터 드론 배송 서비스의 조기 상용화를 목적으로 수요기업과 함께 도서 산간지역에서 실증사업을 진행 중이다.

  • 원격으로 설비 전원 제어 가능한 SG-3061TIL 보드 출시

    2020.06.09by 강정규 기자

    시스템베이스가 원격 전원 제어 보드 SG-3061TIL을 출시했다. SG-3061TIL은 네트워크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릴레이 포트를 연결,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 서버 모듈이다.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6개의 접점 릴레이 포트를 제공해 신호 전달, 회로 개폐 기능을 제공한다.

  • 고속 회로 저전력화하고 고해상도 성능 구현하는 "연속시간 델타-시그마 ADC 구조"

    2020.06.08by 이수민 기자

    오늘날 통신시스템은 고속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기 위해 플래시, 파이프라인, SAR ADC 등의 나이퀴스트 ADC 회로 구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연속시간 델타-시그마 ADC 구조는 저전력 측면에서 강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DWA 제거를 통한 칩 사이즈 감소와 제작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 KETI, 섬유와 일체화된 전극 구조체 개발로 "플렉서블 배터리 상용화 난제 극복"

    2020.06.08by 이수민 기자

    KETI가 전극 물질과 섬유 소재를 일체화한 새로운 전극 구조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Sn@Ni 섬유 전극은 PET 고분자 직물과 전도성 금속인 니켈층을 일체화시킴으로써 기계적 변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했다.

  • "코로나19 대응 솔루션 개발 빨라진다" KT, 스타트업 등에 유동인구 빅데이터 90% 할인 제공

    2020.06.08by 강정규 기자

    KT는 교육·연구기관, 중소·벤처기업, 스타트업 등에 유동인구 기반 빅데이터를 6월 8일부터 30일까지 최대 90% 할인 제공한다고 밝혔다. KT 빅데이터 솔루션인 빅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이번 데이터는 코로나19 발생 전후 1년 동안의 통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이용자는 전국 주요 시군구의 관광분석 빅데이터, 상권분석 빅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 [인터뷰] "블루투스 LE가 IoT 기기의 잠재력 끌어낸다"

    2020.06.08by 이수민 기자

    블루투스는 4.0 버전부터 본격적으로 IoT 기기까지 지원하게 됐다. 5.0 버전에 이르러선 성능이 높아져 각종 산업 환경에서도 사용하기 적합해졌다. 블루투스 LE 및 블루투스 메시의 등장도 이를 가속하고 있다.

  • KRnet 컨퍼런스 2020, 코로나19에 최초로 온라인 개최

    2020.06.05by 강정규 기자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 9개의 유관기관이 공동 주관하는 KRnet 컨퍼런스 2020이 오는 22일부터 23일까지 이틀간 웨비나로 개최된다. 90여 개의 기술 세션 강연 및 토론이 진행될 예정인 이번 행사에는 IT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4명의 기조연설자가 AI 시대가 불러온 위기와 기회를 전망한다.

  • SKT, 디지털 엑스레이 기술로 영상의료시장 진출한다

    2020.06.05by 이수민 기자

    SK텔레콤이 나노엑스의 2대 주주가 됐으며, 국내외 독점 사업권을 확보해 한국 내 생산공장을 설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나노엑스는 반도체 기반 디지털 엑스레이 발생기의 상용화와 양산에 근접한 유일한 기업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