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chip _ Nov 25
  • 벨로다인, 나브야 무인셔틀에 라이더 센서 지원

    2020.03.13by 최인영 기자

    벨로다인 라이더가 자율주행 시스템 업체 나브야와 다년간 판매계약을 체결하고 자율주행 무인 전기셔틀에 라이더 센서를 지원한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정밀한 실시간 위치 파악 및 물체 감지가 가능한 벨로다인 센서를 장착한 나브야의 무인 전기셔틀을 세계적으로 확대 공급할 계획이다.

  • NXP, Argus와 차량용 이더넷 '사이버 보안 솔루션' 개발

    2020.03.13by 최인영 기자

    차량 간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이더넷망 통신을 보호하는 사이버 보안 솔루션에 대한 기술력에 대한 관심도 커져가고 있다. NXP와 Argus는 NXP S32G를 기반으로 이더넷망을 보호하는 통합 솔루션을 개발했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ADAS를 비롯해 다양한 이동성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게 됐다.

  • ​코로나19 팬데믹에 12개국 과학기술정책 수장들이 모였다

    2020.03.13by 최인영 기자

    코로나19 확산이 WHO에 의해 팬데믹으로 선포된 가운데 과기정통부 장관을 비롯한 미국, 호주, 브라질, 캐나다, 독일, 인도, 이탈리아, 일본, 뉴질랜드, 싱가포르, 영국 등 12개국 과학기술 장관 및 자문들이 유선회의를 개최했다. 최근 현황 공유 및 관련 정보 추출을 위해 인공지능 프로그램 등을 도입하고 매주 협력회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 DNA·Big3 분야 투자 확대로 글로벌 시장 선제공격 나서

    2020.03.12by 최인영 기자

    데이터 3법 개정에 맞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데이터 수집·활용 생태계 지원을 강화하는 동시에 5G·AI 융합서비스 및 미래차 기술 고도화, 시스템 반도체 분야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정부 연구개발 예산 24조원을 투입해 혁신인프라와 3대 신산업 성장을 가속화한다.

  • SKT, 공공주택단지 IoT 플랫폼에 보안서비스 결합

    2020.03.12by 이수민 기자

    SK텔레콤은 공동주택단지 IoT 플랫폼 스마트홈 3.0에 ADT캡스의 보안 서비스를 결합한 캡스 스마트빌리지를 출시했다. 캡스 스마트빌리지는 기존 스마트홈 기능과 경비시스템을 결합하여 기존에 관리실을 방문해 해결해야 했던 단지 내 출동·순찰 요청, 장기 부재 시 세대 방범 강화 요청, 방문 차량 예약관리, 커뮤니티 예약관리 등을 전용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 ST, 차량용 오디오 증폭기 IC 'FDA901 Class D' 공개

    2020.03.12by 최인영 기자

    ST가 알프스 알파인과 차량용 오디오 증폭기 IC를 출시했다. 신제품 FDA901 Classs D 칩은 잔류잡음과 왜곡률을 낮추는 동시에 피드백 기술로 달성한 평탄한 주파수 응답과 낮은 EMI 레벨을 충족한다. 오디오 신호의 드롭아웃을 최소화해 고순도 오디오 성능을 제공한다.

  • 웨어러블 데이터 기반 진료에서 모바일 면허증에 이르는 ‘DNA’ 본격 육성

    2020.03.12by 최인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DNA 사업 육성을 위해 홈케어 알고리즘 개발 및 내원 안내, 홈케어 건강관리, 주류에 대한 스마트 주문 및 결제, 민간기관 등의 고지서 모바일 전자고지,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관광택시 중개 플랫폼, 생체신호를 이용한 위험감지 서비스 등 7개 과제에 대한 규제 샌드박스를 추진했다.

  • MCU와 MPU에 클라우드 연결 가능한 임베디드 IoT 솔루션 출시

    2020.03.12by 최인영 기자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가 코어, 커넥티비티, 보안, 개발환경, 디버그 기능 등에 관한 설계를 담은 IoT 솔루션을 공개했다. 클라우드 애그노스틱, 턴키 및 풀스택 임베디드 개발 솔루션을 통해 개발자는 프로젝트 비용을 낮추는 동시에 개발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 ​모싸, 오픈체인 프로젝트에 플래티넘 회원사로 참여

    2020.03.12by 이수민 기자

    모싸가 리눅스 재단이 추진하는 오픈체인 프로젝트에 플래티넘 회원사로 참여한다. 오픈체인 프로젝트는 공급망 전반에 걸쳐 보다 간단하고, 일관되게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준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픈소스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잠재적인 오류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솔루션을 보다 효율적으로 시장에 출시할 수 있도록 준수 프로세스, 정책 또는 교육이 필요한 비즈니스 업무 흐름상의 변곡점을 정의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