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chip _ Nov 25
  • 5G 핵심 CUPS기술로 트래픽 자체 해결

    2019.12.25by 최인영 기자

    KT가 5G 핵심기술인 CUPS 기술을 기업전용 5G망에 국내 최초로 적용함에 따라 5G망 구축의 간소화와 기업 맞춤형 B2B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CUPS 기술을 적용한 5G망에서는 신호 처리와 트래픽 처리를 분리할 수 있어 기업은 사업장에 트래픽 처리 장치만 구축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기업 내부 5G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자체 대응할 수 있다.

  • 모헤닉, 경형 전기차 플랫폼으로 차량 개조시장 진출

    2019.12.24by 최인영 기자

    전기차와 전동 전기차 플랫폼을 개발하는 모헤닉 모터스가 0.5톤 전기상용차에 적용 가능한 플랫폼을 개발해 국내 전기자동차 개조 시장 진출에 나선다. 라보·다마스 시장에 우선 진입한 후 경형트럭 및 승합차 모델에도 적용할 예정이다. 전기 구동 시스템을 탑재해 1회 충전 주행거리 120Km 이상, 최고속도 100Km/h를 구현한다.

  • 저비용·초고속 '무선백홀'로 도심 인터넷 속도 향상

    2019.12.23by 최인영 기자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활용해 인터넷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저비용·초고속의 60GHz 대역 무선백홀 이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된다. 망 구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유선망 설치가 어려운 시골지역, 고밀집 도심지, 스마트시티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 5G 스몰셀화의 대안으로서의 가치도 부상하고 있다.

  • 피보탈·KB, 애자일 데이터·디지털 혁신 MOU

    2019.12.23by 최인영 기자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 전문 기업 피보탈 소프트웨어가 애자일 데이터·디지털 혁신을 위해 KB국민은행과 MOU를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혁신의 원동력인 애자일 방법론 및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역량 내재화를 꾀한다.

  • 반도체·스택공급사를 위한 Z-Wave 규격 공개

    2019.12.23by 최인영 기자

    실리콘랩스와 Z-Wave 얼라이언스가 모든 반도체 및 소프트웨어 스택 개발사들을 위해 회원사들의 비준을 받은 멀티소스 무선 표준에 해당하는 Z-Wave 규격을 2020년 3분기에 공개한다. 반도체 및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이를 통해 스마트홈 표준 발전에 기여하는 동시에 sub GHZ Z-Wave 무선 디바이스와 소프트웨어 스택 개발 및 공급을 할 수 있게 된다.

  • 드림텍, 나무가 인수 '카메라·3D ToF' 사업 나서

    2019.12.23by 최인영 기자

    종합전자부품 제조기업 드림텍이 카메라 모듈 전문기업 나무가를 인수하며 카메라 모듈 및 3D ToF 사업에 진출한다. 이번 주식매매계약 체결을 통해 드림텍은 광학지문모듈 사업과 VCSEL 패키징 역량을 갖춘 드림텍과 나무가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 5G 도입에도 LTE 서비스 여전히 강세

    2019.12.23by 최인영 기자

    2019년 국내 LTE 서비스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158.53Mbps, 업로드 속도는 42.83Mbps를 기록하며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상용 와이파이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333.51Mbps, 공공 와이파이의 경우 394.76Mbps로 측정되며 지난해보다 각각 9%, 11.5%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5G 서비스 도입에도 여전히 LTE가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고 있었다.

  • '19년 국내 IT 서비스 시장, '18년보다 성장세 둔화

    2019.12.23by 이수민 기자

    2019년 국내 IT 서비스 시장은 디지털 기술 기반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작업이 기업 전반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IT 서비스 시장 구조 변화가 가시화되면서 전년 대비 3.3% 성장할 전망이다. 장기적으로는 주요 산업에서 등장하는 단일 프로젝트 규모 축소로 대규모 사업의 감소 추세가 지속되면서 시장 성장세 조정 양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매니지드 서비스 시장은 클라우드의 도입 확대로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는 증가하겠지만, 전이 속도가 가속화되면서 이로 인한 시장 성장세 조정 양상이 나타날 전망이다.

  • 로열티 없는 스마트홈 제품 연결표준 개발된다

    2019.12.21by 이수민 기자

    아마존, 애플, 구글, 지그비 얼라이언스는 스마트홈 제품 간에 호환을 증대하고 설계에 보안을 탑재한, 로열티 없는 연결성 표준의 개발 및 도입을 추진하기 위한 공동 위원회를 발표했다. IP를 통한 커넥티드 홈 프로젝트를 통해 위원회는 IP를 기반으로 스마트홈 기기, 모바일 앱, 클라우드 서비스 간에 통신을 가능케 하고, 기기 인증을 위한 특정 IP 기반 네트워킹 기술 세트를 정의할 계획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