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피니언, 비접촉 스마트카드 보안 솔루션 SLC3x 출시

    2019.12.10by 이수민 기자

    IC칩을 내장한 스마트카드 솔루션이 점차 비접촉 다기능 기술로 전환되고 있다. 인피니언은 다양한 스마트카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40nm 보안칩 솔루션 SLC3x를 출시했다. 모든 SLC3x 디바이스는 32비트 Arm 시큐어코어 SC300 듀얼 인터페이스 보안 암호화 컨트롤러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인피니언의 디지털 보안 기술과 3세대 솔리드 플래시 기술을 결합했다.

  • 60년 만에 현실된 자율주행, 5G 기반 C-ITS로 완성될까?

    2019.12.10by 최인영 기자

    최근 5G를 기반으로 한 C-ITS 구축을 위해 이동통신사들은 물론 벤더사들도 적극 나서고 있다. V2X 기술을 근간으로 하는 C-ITS는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요구하기 때문에 LTE 대비 50배 빠른 5G를 필요로 한다. 빅데이터, IoT, AI, 로봇 등의 기술을 아우르는 자율주행 자동차는 5G 통신만으로 명확한 상황인지와 판단을 내릴 수 있을까?

  • 타다 금지법 논란, 자율주행차량에도 영향 미친다

    2019.12.10by 이수민 기자

    타다 금지법 논란이 여론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타다는 수도권 지역에서 사업 중인 렌터카 기반 승차 공유 서비스로, 여객법 개정으로 서비스 지속 위기에 놓였다. 정부는 타다 운영 모델은 불법성 논란과 택시와의 갈등으로 지속 가능성과 확장성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보고 타다를 제도 안으로 끌어들일 방침이지만 신산업 육성에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라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 인더스트리 4.0 시대, 하드웨어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

    2019.12.10by 이수민 기자

    공격적으로 인더스트리 4.0 솔루션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공장에 첨단 기술을 어느 수준으로 통합할지, 그리고 인터스트리 4.0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이버 보안을 어떻게 구현할지 결정해야 한다. 미래의 인더스트리 4.0 아키텍처가 어떤 모습을 갖게 되든지, 최종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저마다 추구하는 디지털화 정도에 따라서 단계적인 접근법과 효과적인 사이버 보안 전략이 필요하다.

  • U+, 5G 인빌딩 장비로 1Gbps 다운속도 구현

    2019.12.10by 최인영 기자

    LG 유플러스가 건물 내부 구조, 인테리어 재질, 주거공간 등을 고려해 사용자 커버리지를 예측해 주는 인빌딩 설계 전문 툴 아이비웨이브를 실내 환경에 설계해 5G 다운로드 속도를 향상시켰다. 5G 인빌딩 장비를 통해 1Gbps 이상의 다운로드 속도를 구현함으로써 서비스 속도를 평균 37% 향상시켰다.

  • 정부가 8대 혁신 성장 사업으로 선정한 스마트 팩토리, 공장의 새로운 패러다임 될까?

    2019.12.10by 최수림 연구원

    공급자 중심의 대량 생산의 기존 공장에서 다양한 고객의 요구 사항을 반영한 5G 활용 스마트 팩토리의 기대 효과와 발전 방향은?

  • ETRI, 트래픽 폭주에도 지연 시간 늘지 않고 데이터 손실 방지하는 DetNet 기술 개발

    2019.12.10by 이수민 기자

    ETRI가 통신망에 트래픽이 몰려도 지연 시간이 늘지 않고 데이터 손실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시간확정형 네트워킹(DetNet) 기술을 활용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원거리에서 연결된 기기 간 데이터 전달 시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예측할 수 있고, 데이터 손실이 없어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 SKT-삼성重, 5G 기반 모형선박 시험 운항 성공

    2019.12.10by 이수민 기자

    SK텔레콤과 삼성중공업이 거제조선소 인근 해역에서 5G 기반 원격관제가 가능한 모형선박 시험 운항에 성공했다. 이번에 실시한 운항 테스트는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에 구축한 5G망을 이용해 조선조 인근 해상으로부터 약 250km 떨어진 대전 원격제어센터에서 동시에 이뤄졌다.

  • 양자 컴퓨터 상용화 앞당겨지나? 인텔, 양자 컴퓨팅 시스템 제어 SoC '호스 리지' 발표

    2019.12.10by 이수민 기자

    인텔 랩이 풀 스택 양자 컴퓨팅 시스템을 가속할 극저온을 이용한 제어 칩, 호스 리지를 발표했다. 인텔은 실리콘 스핀 큐비트와 초전도 큐비트 시스템을 포함한 양자 하드웨어 개발 초기 단계에서 양자 컴퓨터 상용화를 가로막는 요소가 바로 상호 연결과 제어 전극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네덜란드 델프트 공과대학의 큐텍과 협력하여 개발한 호스 리지는 인텔의 22나노 공정에서 핀펫 기술로 제작됐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