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30by 이수민 기자
다쏘시스템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록히드마틴이 도입했다. 앞으로 록히드마틴은 항공 사업 부문과 로터리 및 미션 시스템 사업 부문에서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의 3D 설계 소프트웨어, 3D 디지털 목업, PLM 솔루션 등을 활용할 계획이다. 록히드마틴은 또한 설계 영역을 넘어 차세대 항공기 및 헬리콥터 제조 과정의 디지털화를 위해 다쏘시스템과 다년간 협력할 예정이다.
2019.10.30by 최인영 기자
온세미컨덕터가 운전자 지원 애플리케이션용 이미지 센서인 AR0132AT의 출하량이 1억 개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특히 스바루는 자사의 ADAS인 아이사이트를 위해 온세미컨덕터의 1.2메가픽셀 CMOS 센서를 채택했다. 온세미컨덕터와 스바루는 가까운 미래에 안전성을 개선하고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 목표를 달성한다는 공통 비전에 따라 카메라 기반 ADAS 기술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할 예정이다.
2019.10.30by 이수민 기자
4차 산업혁명 및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자동차 시장에선 친환경화·지능화·서비스화 등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정부는 미래자동차 국가비전 선포식을 열고 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하였다. 정부는 자동차 OEM 및 부품 업체, 통신·소프트웨어·반도체 업체, 자동차 관련 노조, 학회 등과 총 21회의 간담회를 가진 후, 2030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했다.
2019.10.30by 이수민 기자
KT가 AI 전문기업으로 변신하겠다고 밝혔다. KT는 앞으로 4년간 3,000억 원을 투자하고, AI 전문인력 1,000명을 육성할 계획이다. KT는 현재 홈 위주의 AI 사업을 글로벌, 산업·에너지, 오피스, 교육 분야로 확대할 계획이다. 감성·언어, 영상·행동, 분석·판단, 예측·추론 영역에서 20여개의 AI 원천기술을 공개했다. KT는 AI 전문인력 양성과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AI 코딩교육 확대로 대한민국 AI 경쟁력 향상에도 이바지한다는 방침이다.
2019.10.29by 이수민 기자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은 정부와 대한전기협회가 IEC 국제표준을 충족하는 한국표준 개발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2011년부터 개발이 시작됐다. KEC는 2018년 공고 이후 산업계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3년간의 유예기간을 거친 뒤 2021년 도입을 앞두고 있다. 전기설비 분야와 발전설비 분야로 나뉘어져 있던 기존의 판단기준을 하나로 통합한 KEC는 공통사항, 저압전기설비, 고압·특고압 전기설비, 전기철도설비, 분산형 전원설비, 발전용 화력설비, 발전용 수력설비로 정리했다. 또한 향후 확장성을 고려한 번호 체계로 구성했다.
2019.10.29by 이수민 기자
무선 전력 전송(WPT)은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해 선 없이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WPT 기술은 다양한 산업, 의료, 소비자 및 자동차용 애플리케이션에 빠르게 채택되고 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의 자율성이 증가하면서 무선 충전이 갖는 편의성과 견고성이란 장점은 이동성에 의존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더욱 크다. TI의 C2000 MCU는 다양한 시장에 맞춰 시스템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유연성은 물론 전력 스테이지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고해상 PWM를 제공한다.
2019.10.28by 이수민 기자
삼성전자가 중국 베이징 789예술구 미파크(Mee Park)에서 HDR10+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삼성전자와 중국의 TV·라디오 전문 테스트 기관 TIRT가 공동 주최했다. 세미나에는 TCL, 샤오미, 스카이워스, 콘카, 창홍 등 TV 제조사를 비롯해 화웨이, NEC 등 휴대폰 제조사까지 다양한 업계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해 HDR10+ 기술에 관한 관심을 드러냈다.
2019.10.28by 이수민 기자
클라우드와 에지 컴퓨팅의 확산, 5G의 탄생, 그리고 AI 및 애널리틱스 분야의 성장은 기업의 운영 방식은 물론 고객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인텔은 파트너들이 데이터 중심 시대의 기회를 포착하고 잘 활용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인텔 파트너 얼라이언스 프로그램의 새 세부 내용과 인텔 파트너 유니버시티 트레이닝 플랫폼, 인텔 솔루션 마켓플레이스를 공개했다.
2019.10.28by 이수민 기자
단일 이더넷 케이블로 데이터 및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PoE 기술이 채택되고 있다. 이제는 기존 이더넷 인프라에서 잠정표준 PD를 새로운 IEEE 802.3bt 2018 표준 호환 전력 디바이스와 동시에 구현해야 한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IEEE 802.3bt 2018 표준에 적합한 PoE 인젝터와 미드스팬을 제공한다. 시스템 개발자용으로 잠정표준 및 IEEE 호환 PD가 스위치 및 케이블 교환 없이 최대 90W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PSE 칩셋들도 출시했다. 현재 마이크로칩의 IEEE 802.3bt 2018 호환 PD69208M·PD69204T4·PD69208T4 PSE 관리자, PD69210 PoE 컨트롤러 등은 대량 구입이 가능하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