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26by 이수민 기자
인간 중심적인 스마트 공간에 초점을 맞춘 가트너가 기업들이 주목해야 할 2020년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를 발표했다. 2020년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는 두 가지 종류의 기술들로 이루어져 있다. 초기 상태에서 벗어나 보다 폭넓은 영향력과 활용 사례를 보이는 혁신적인 잠재력을 갖춘 신기술들 및 급격한 성장세를 자랑하며 향후 5년 내 정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들이다. 가트너가 제시하는 2020년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는 초자동화, 다중 경험, 전문성의 민주화, 인간 증강, 투명성 및 추적성, 자율적인 에지, 분산형 클라우드, 자율 사물, 실용적 블록체인, 그리고 AI 보안이다.
2019.10.25by 이수민 기자
산업용, 자동차 및 범용 애플리케이션에 두루 적용할 수 있는 이더넷 PHY 제품이 출시됐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2종의 이더넷 물리층(PHY) 트랜시버 제품을 출시했다. DP83825I 저전력 10/100Mbps 이더넷 PHY는 150m 케이블 도달 거리를 제공하며, DP83869HM 기가비트 이더넷 PHY는 구리선과 광섬유 매체를 지원하며 최고 125°C의 고온에서도 작동이 가능해 가혹한 환경에서도 속도와 신뢰성을 제공한다.
2019.10.25by 이수민 기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즉시 사용 가능한 LoRa 개발 팩 P-NUCLEO-LRWAN2과 P-NUCLEO-LRWAN3을 각각 99달러에 출시했다. 개발 팩 2종은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 설계자, 취미 개발자, 학생 등이 LoRa 장거리 저전력 무선 IoT 커넥티비티를 이용해 추적, 포지셔닝, 미터링 등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한다. 두 팩은 ST의 STM32 누클레오 평가 보드를 활용하며, 게이트웨이 및 엔드노드 보드, 펌웨어, 툴 등 LoRaWAN 개발 체인을 제공한다.
2019.10.24by 이수민 기자
우주용 애플리케이션은 점점 단순한 데이터가 아닌 가공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다. 또 제한된 다운링크 대역폭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더욱 우수한 컴퓨팅 성능을 필요로 한다. 마이크로칩은 이에 내방사선 폴라파이어 FPGA를 출시했다. 최대 5배의 컴퓨팅 스루풋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1.5배의 성능, 3배의 논리 소자 및 SERDES 대역폭을 제공한다. 6배 높은 임베디드 SRAM를 제공하며,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대다수 인공위성과 다수의 심우주 사업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100kRad 초과치의 TID 노출도 견딘다.
2019.10.23by 이수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19 IoT 진흥주간을 23일부터 25일까지 개최한다. 올해로 6회째를 맞는 IoT 진흥주간은 일상과 산업에서의 IoT 활용 사례를 경험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다. 이번 IoT 진흥주간은 ‘사물인터넷, 5G로 빨라지고 AI로 똑똑해지다’를 주제로 전시회, 컨퍼런스, 쇼케이스, 직무설명회 등 10개의 행사들이 이어진다. 23일부터 25일까지 코엑스 1층 A홀에서 열리는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에는 국내외 150여개 기업이 참가한다.
2019.10.22by 이수민 기자
힐셔가 센서에서 클라우드까지 OT와 IT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인 netFIELD의 출시를 발표했다. netFIELD는 데이터 생성에서 데이터 집계 그리고 클라우드 기반 관리 포털을 통한 디바이스 및 데이터 관리에 이르기까지 공장 디지털화를 가속화하는 netX 기반의 다양한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한다. 힐셔는 또한 TSN 솔루션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힐셔는 현재 LNI 4.0, IIC, AVNU, OPC-UA@TSN 워킹 그룹과 같은 다양한 TSN 관련 분야에서 많은 회사들과 협력하고 있으며 TSN 개발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성에도 참여하고 있다.
2019.10.22by 이수민 기자
유블럭스가 미터 수준의 위치 제공이 가능한 M9 글로벌 위치 추적 기술 플랫폼을 공개했다. M9 기술 플랫폼이 내장된 UBX-M9140 GNSS 칩과 M9 기술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첫 번째 모듈인 NEO-M9N은 GPS, GLONASS. BeiDou, Galileo 신호의 동시 수신이 가능하다. 자동차, 텔레매틱스 및 UAV 애플리케이션 시장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된 M9 기술 플랫폼은 낮은 지연속도와 최대 25Hz의 위치 업데이트 속도를 제공한다. RF 간섭 및 전파방해에 대한 특수 필터링 및 스푸핑 탐지 기능도 갖추고 있어 공격을 빠르게 보고하고 사용자 시스템이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발전된 탐지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2019.10.22by 이수민 기자
EDA툴은 팹리스에 필수적 도구지만 1종 당 1~2억 원으로 가격이 비싸 중소 팹리스 및 창업기업에게는 상당한 부담이다. 팹리스 별로 약 10여종의 EDA툴을 사용하는데, 반도체 개발비용 중 EDA툴 및 시제품 제작 등에 약 80%가 소요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팹리스에 대한 EDA툴 공동 활용 지원을 위해 추경 예산 46억 원을 편성했다. 사용료는 개별적으로 구매하는 비용의 약 1% 수준으로 책정했으며, 특히 창업 3년 이내의 스타트업에게는 약 0.1% 수준으로 책정하고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우대할 예정이다.
2019.10.22by 이수민 기자
SK하이닉스가 3세대 10나노급(1z) 미세공정을 적용한 16Gbit DDR4 D램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3세대 제품은 2세대(1y) 제품 대비 생산성이 약 27% 향상됐으며, EUV 노광 공정 없이도 생산 가능해 원가 경쟁력도 높였다. 이전 세대 생산 공정에는 사용하지 않던 신규 물질을 적용해 정전용량도 높인 것은 물론 설계 기술도 새로 도입해 동작 안정성도 높였다. SK하이닉스는 LPDDR5와 HBM3 등 다양한 응용처에 걸쳐 3세대 10나노급 미세공정 기술을 확대 적용해나갈 계획이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