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유플러스, 음성으로 제어하는 5G 드론 시연… 실시간 FHD 영상전송도 가능해

    2019.10.22by 이수민 기자

    LG유플러스가 배곧신도시에서 AI 음성인식과 실시간 FHD 영상 전송 기술을 탑재한 5G U+스마트드론을 공개 시연했다. 시흥경찰서 관계자는 시연에서 최대 고도 50m, 시속 36km로 이동하는 드론을 스마트폰 앱 음성명령으로 제어했다. 드론의 카메라를 통한 고화질 실시간 영상 전송 기술도 공개됐다. 5G 기반 조이스틱으로 카메라를 좌우상하로 실시간 조작하고, 줌인아웃 기능을 통해 지상에 있는 명함 크기의 글자까지 보여줬다. 이번 시연은 유시스, 셀바스AI, 유비벨록스모바일과 함께 진행했다.

  • 멀티프로토콜 지원하는 노르딕 'nRF52833' SoC 출시

    2019.10.22by 이수민 기자

    노르딕 세미컨덕터가 nRF52 시리즈의 5번째 제품인 nRF52833 멀티프로토콜 SoC를 발표했다. nRF52833은 블루투스 LE, 스레드, 지그비를 비롯하여 독자적인 2.4GHz 무선 연결을 지원한다. FPU와 64MHz 32비트 Arm Cortex-M4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40~105℃의 온도 범위에서 동작 인증을 획득했다. 512KB의 플래시 용량, 128KB의 RAM 메모리를 갖추고 있어 멀티프로토콜 기능도 지원한다. 블루투스 LE와 메시/스레드/지그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스마트폰과 조명 메시 네트워크의 상호 작용은 물론, 프로비저닝 및 커미셔닝을 가능하게 한다. 전문 조명 및 자산추적, 스마트홈 제품, 첨단 웨어러블 및 게이밍 솔루션을 비롯한 다양한 상업용 및 산업용 무선 애..

  • 바이코, 2년마다 "전력밀도 25% UP, 전력손실 25% DOWN" 전원 솔루션 출시한다

    2019.10.21by 이수민 기자

    갈수록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크기가 커지면서 들어가는 전력도 늘어나고 있다. 고성능 전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이유다. 바이코는 기로에 선 전력 반도체를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사의 사업 전략과 비전을 발표했다. 정기천 한국지사 대표는 바이코를 전력 배전망의 변환 및 조절에 전문성을 갖추고서 고성능 고밀도의 전력 모듈을 제작하고 있으며, 전력 분배 아키텍처, 변환 토폴로지 및 패키징 기술에 강점을 갖고 있다고 소개했다.

  • 지금 주목해야 할 스마트팩토리 센서기술은?

    2019.10.21by 이수민 기자

    독일 정부가 독일 제조업의 부흥을 위해 정의한 인더스트리 4.0은 모듈 공정, 가변·유연 설비, 자율·분산 제어, 무선 통신, 실시간 위치 추적을 통해 무겁고 경직된 인더스트리 3.0과 달리 다품종 대량생산을 추구한다. 인더스트리 4.0 실현을 위해 스마트팩토리 각 장비에 탑재되는 센서들은 보드 형태에서 센싱 소자와 지능형 알고리즘을 탑재한 센서 SoC를 통합한 MEMS로 변모하는 추세다.

  • [인터뷰] "이젠 가전기기 필수요소" BLDC 모터 효율적 활용 위해선 가변속 드라이브 구현해야

    2019.10.21by 이수민 기자

    최근 모터 애플리케이션에서 에너지 효율, 수명, 소음 및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BLDC 모터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다. BLDC 모터는 기존에 쓰이던 AC 모터와 달리 내부에 브러시와 정류자가 없어 이로 인한 마모가 없어 수명이 길다. 기계적 마찰이 없어 저소음 구동도 가능하다. 아울러 보다 높은 RPM으로 구동할 수 있는데다 구조상 기계적 마찰로 인한 분진이 없고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호되어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다. BLDC 모터는 필요에 따라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선 가변속 드라이브가 필요하다.

  • 생기원, 전도성 고분자로 플렉시블 투명전극 제작 성공

    2019.10.21by 이수민 기자

    각종 IT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는 빛은 그대로 투과시키면서 전기를 잘 통하게 하는 투명전극이 들어간다. 박막 형태의 이 투명전극 소재로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이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지만, 전기 전도도가 높은 반면 휘거나 굽혔을 때 쉽게 깨지는 단점이 있다. 생기원은 전도성 고분자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ITO 전극 수준만큼 전기 전도도를 높일 수 있는 공정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생기원 나노광융합기술그룹 윤창훈 박사 연구팀은 PEDOT:PSS 투명전극에 1064nm 파장대의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면 전도도가 약 1,000배가량 높아지는 물리적 현상을 발견하고 이를 공정에 적용했다.

  • 온세미컨덕터, 헝가리 AI모티브와 센서 융합 자율주행 플랫폼 프로토타입 개발한다

    2019.10.17by 이수민 기자

    온세미컨덕터는 헝가리의 자율주행차량 기업인 AI모티브와 공동으로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센서 융합 플랫폼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 양사는 온세미컨덕터의 HD 카메라와 레이더 센서, 프리프로세서 칩셋과 AI모티브의 고급 AI 기반 인지 알고리즘, 하드웨어 가속화 및 시뮬레이션 기술을 결합해 일련의 하드웨어 플랫폼 데모를 공동 개발한다.

  • 모터 드라이버 'STSPIN' 적용된 '클릭 보드' 4종 출시

    2019.10.17by 이수민 기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파트너인 마이크로일렉트로니카와 협업하여 클릭 보드 4종을 개발했다. 클릭 보드 4종은 STM32 기반 설계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일렉트로니카의 시제품 보드 및 마이크로버스 소켓이 탑재된 시스템에도 STSPIN 모터 드라이버를 적용할 수 있다. STSPIN IC는 첨단 제어 기능과 출력단 보호, 비소산 과전류 보호 등 안전 기능을 초소형 풋프린트에 통합하여 모터 제어를 간소화한다.

  • 맥심, ASIL-D 준수하는 전기차 배터리 모니터용 IC 'MAX17853' 출시

    2019.10.17by 이수민 기자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안전성 준수를 위해 시스템에 중복 부품을 추가하는 경우가 있다. 맥심 인터그레이티드는 칩 하나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용 ASIL-D 규격에 맞게 구현할 수 있는 배터리 모니터링용 IC MAX17853을 출시했다. MAX17853은 중대형 셀 전압과 온도, 통신 관련 ASIL-D 규격 준수로 시스템 안정성을 구현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