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9.19by 이수민 기자
로옴이 고효율이 요구되는 서버용 전원 및 태양광 인버터, 전동차의 충전 스테이션 등에 적합한 트렌치 게이트 구조의 650/1200V 내압 SiC MOSFET인 SCT3xxx xR 시리즈 6종을 출시했다. SCT3xxx xR 시리즈는 TO-247-4L 패키지를 채용했다. 기존 TO-247N 패키지는 소스 단자가 지닌 인덕턴스 성분으로 인해 게이트 전압이 저하되어, 스위칭 속도가 지연됐다. 반면 TO-247-4L은 파워 소스 단자와 드라이버 소스 단자를 분리할 수 있어 인덕턴스 성분으로 인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턴온 시 손실이 개선됐다. 턴온 손실과 턴오프( 손실을 통틀어, 기존 제품 대비 약 35%의 손실 저감이 가능하다.
2019.09.19by 이수민 기자
IoT 및 범용 R&D, DVT를 담당하는 엔지니어들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가전 시장의 흐름을 따라잡아야 한다. 이에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가 새 CXG X-시리즈 RF 벡터 신호 발생기인 N5166B를 출시했다. N5166B는 대부분의 무선 애플리케이션 테스트가 요구하는 9㎑에서 3/6㎓ 주파수 범위와 최대 120㎒의 RF 변조 대역폭 지원하며, 전자 소자의 기본 파라메트릭 테스트와 수신기의 기능을 검증한다. 키사이트 패스웨이브 신호 생성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설계 검증으로 신뢰성도 높인다.
2019.09.19by 최인영 기자
아나로그디바이스가 자사의 iCoupler 기술에 기반을 둔 절연형 듀얼 드라이브 능력출력 드라이버인 ADuM4122를 공개했다. ADuM4122는 설계자가 고효율 전원 스위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EA에 따르면 전기 모터 구동 시스템은 전 세계 전기 소비의 40%를 차지하기 때문에 모터 효율을 개선하면 경제적, 환경적으로 큰 이점을 누릴 수 있다. ADuM4122는 MOSFET이나 IGBT를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만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켜고 끌 수 있도록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제어하고, 그에 따라 모터 전류 소모를 제어한다.
2019.09.19by 이수민 기자
IBM이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환경에서 고객 개인정보 보호를 지원하는 엔터프라이즈 플랫폼 IBM z15와 리눅스 전용 서버 리눅스원 III를 공개했다. z15는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전 범위에서 데이터 접근 권한을 취소할 수 있는 데이터 프라이버시 패스포트 기능을 탑재해 기업의 정책에 따라 데이터 접근 권한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또 인스턴트 리커버리 기능으로 가동 중단 시간을 최소화했다. 한편, IBM은 개발자들이 z/OS 애플리케이션을 오픈시프트 상에서 개발할 수 있도록 IBM Z 및 리눅스원에서 레드햇 오픈시프트를 제공하고 있다.
2019.09.19by 이수민 기자
온세미컨덕터가 1:1 화면비에 30만 화소의 해상도를 제공하는 ARX3A0 디지털 이미지 센서를 선보였다. ARX3A0는 최대 초당 360프레임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글로벌 셔터처럼 작동하지만 크기, 성능, 감도 면에서 BSI 롤링 셔터 센서의 특성도 갖고 있다. 또 소형의 정사각형 형태에 높은 프레임 레이트로 소형 보조 보안 카메라뿐 아니라 머신 비전(Machine Vision), AI, AR/VR 애플리케이션 등 최신 기술에 적합하다.
2019.09.18by 이수민 기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STM32를 바탕으로 산업용 임베디드 프로세서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ST의 STM32 MCU 제품군은 Arm Cortex-M 코어에 기반을 둔 1,000개 이상의 32비트 MCU로 이루어졌다. 2008년 첫 출시 후, 지금까지 누적 출하량만 40억 개를 넘었다. ST는 올 5월, 글로벌 IR 행사에서 산업용 시장을 핵심 타깃으로 삼았다고 밝혔다. 이는 향후 기존 MCU 스펙 확장이 아니라 에지 AI 등과 같은, 산업계에서 원하는 기능을 강화하는 제품과 솔루션을 출시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2019.09.18by 이수민 기자
박막은 반도체 회로 간의 구분과 연결, 보호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반도체 품질은 박막을 최대한 얇고 균일하게 형성할수록 향상된다. 그러나 두께가 1마이크로미터 이하로 얇기 때문에 이를 구현하는 것은 기술적 난이도가 높아 박막 형성 상태를 수시로 측정하고 확인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이에 생기원이 화학기상증착 장비 내부에서 웨이퍼 위에 박막이 형성되는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는 화학증착소재 실시간 증착막 측정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2019.09.17by 이수민 기자
핀테크가 대중화되면서 금융계는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의 효율적 처리라는 과제에 직면하게 됐다. 금융계는 데이터의 원활한 움직임을 보장하기 위해 서버 증설, 데이터 센터 설립 같은 인프라 증설을 도모하고 있다. 하지만 무어의 법칙이 생명력을 잃어가면서 프로세서의 성능은 전보다 획기적으로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금융계는 나날이 발전하는 AI, 머신 러닝, 딥 러닝 기술을 금융 업무에 접목하는 방법에 고심하고 있다. 금융계는 알고리즘을 전개하고 신경망을 구축하는데 GPU보다 더 적합한 FPGA에 주목하고 있다. 가령 JP모건은 금융 거래에 AI 추론을 활용하고 있는데, FPGA는 구조 상 GPU보다 추론 분야에서 우위에 있다.
2019.09.16by 이수민 기자
SEMI의 최신 전 세계 팹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에 새롭게 건설을 시작하는 팹에 대한 투자는 올해보다 약 120억 달러 증가한 5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2019년 말까지 380억 달러 규모로 15개의 새로운 팹이 건설될 것으로 보이며, 2020년에는 18개의 신규 팹이 건설될 것으로 예상된다. 18개의 팹 중 10개의 팹은 건설 투자 가능성이 높으며 약 350억 달러 이상의 규모이다. 8개의 팹은 건설 투자 가능성은 다소 낮으며 약 140억 달러 규모이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