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8.24by 이수민 기자
국내 스마트팜 기술은 주로 재배환경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유리온실 및 비닐하우스를 중심으로 개발돼 왔으며 재배환경이 자연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노지에서는 여러 환경적 제약으로 인해 기술개발이 쉽지 않았다. 이에 KT와 경농이 노지작물과원 스마트팜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KT와 경농은 스마트팜 도입 확산을 위해서는 국내 농경지의 절반에 달하는 노지에서의 스마트팜 기술 개발이 필수적임을 공감해 사업 협력에 나섰다. KT는 경농의 물관리 솔루션을 KT 스마트팜 제어 솔루션과 결합하여 밭, 과수원 등 농지 유형에 따라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노지작물과원 스마트팜 패키지 개발을 맡는다.
2019.08.24by 이수민 기자
하니웰 센싱 & IoT 사업부가 미세압력 센서인 MPR 시리즈 쇼트 포트 타입을 출시했다. MPR 시리즈는 초소형 압전저항 실리콘 압력센서로서 풀스케일 스팬 및 온도 범위에서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디지털 출력을 제공하여 IoT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ASIC를 사용하므로 특정 온도 범위의 센서 오프셋, 감도, 온도 효과, 비선형성에 대해 보정 및 온도 보상이 가능하다. 오차범위가 ±2mm로, 수위 측정 정확도가 향상에 따라 액체 레벨 측정용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여 커피메이커, 세탁기, 식기세척기, 음료수 자동판매기 등 가전제품에 최적화됐다.
2019.08.24by 이수민 기자
2020년 전 세계 5G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 매출액은 2019년 22억 달러에서 89% 상승한 4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가트너는 2019년 5G NR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통신사업자의 무선 인프라 매출 총액의 6%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수치는 2020년에 12%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5G 서비스는 2019년과 2020년에 여러 주요 도시에서 출시될 예정이다. 미국과 한국을 시작으로, 스위스, 핀란드, 영국 등의 몇몇 유럽 국가에서는 이미 5G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캐나다, 프랑스, 독일, 홍콩, 스페인, 스웨덴, 카타르, UAE의 통신사업자들은 2020년까지 5G 네트워크 구축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2019.08.23by 이수민 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시스템반도체 분야 중소벤처기업의 기회와 육성방안을 주제로 제1회 중소벤처기업 미래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에는 박재근 반도체디스플레이학회장, 김수환 서울대 교수를 포함해 중소 팹리스 기업(캔버스바이오, 엠데이터싱크, 큐버모티브), 반도체 전문 VC(L&S캐피탈), 반도체 장비기업(주성ENG)과 대학생 등이 참여했다. 참여자들은 시스템반도체 기술 환경과 시장 전망, 중소 팹리스 기업이 직면한 현실적인 어려움과, 벤처투자 활성화 방안과 바람직한 기업관계에 관한 토론을 진행했다.
2019.08.23by 최인영 기자
LS전선이 네팔의 전국 광통신망 구축 1차 사업을 수주했다. LS전선은 네팔 국영 통신사 네팔텔레콤과 수백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고, 동부 지역 일대에 광통신망을 구축한다. 구축 지역에는 히말라야 산맥의 칸첸중가산 기슭까지 포함되는 등 고산 지역에서도 초고속 인터넷과 대용량의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해 진다. 네팔 정부는 수도 등 일부 도시 외에는 전반적으로 열악한 통신 인프라를 개선하기 위해 2022년까지 약 2000억원을 투입해 전국에 광통신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자연환경에 맞춤 설계한 제품과 시공 능력을 강조한 LS전선은 가격 경쟁력을 내세운 중국과 인도 업체들을 제치고 계약을 따냈다.
2019.08.23by 이수민 기자
최근 자동차 시장에서 LCD의 판넬화와 판넬의 대형화가 동시에 이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 LCD 백라이트 LED의 점등 수 및 밝기에 대한 요구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LED 드라이버에는 다채널화를 비롯하여, 조광의 고도화 및 LED 플리커 현상 방지 등이 요구되고 있다. 로옴은 이에 오토모티브 LCD 백라이트용 LED 드라이버 IC BD81A76EFV-M을 개발했다. BD81A76EFV-M은 12인치 클래스의 LCD 판넬에 대응 가능한 6채널 출력(120mA/ch)의 오토모티브 LCD 백라이트용 LED 드라이버 IC다.
2019.08.23by 이수민 기자
한국레노버가 씽크패드 P73, P53, P53s, P43s로 구성된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P시리즈를 출시했다. P시리즈는 다양한 업계의 업무뿐만 아니라 전문적으로 일에 종사하는 사용자 모두가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제품이다. 4가지 제품 모두 1시간 고속 충전할 시 11시간 이상 사용 가능하며 심플하면서 높은 보안 기능을 탑재했다. FIDO 지문인식기, 해킹에 안전하며 필요한 상황에만 이용할 수 있는 씽크셔터 프라이버시 커버 및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dTPM 2.0을 기본 제공하며, 물리적 제품 도난 방지를 위한 켄싱턴 락까지 갖췄다.
2019.08.23by 명세환 기자
EOAT 로봇팔의 엣지단에 붙는 ARM Tooling 제품을 개발하는 온로봇이 2018년 6월 출범이후 처음으로 국내에 지사를 설립하여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유니버셜로봇의 창업 CEO가 설립한 회사인만큼 더욱 주목 받는 기업은 온로봇은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필요로하는 여러 그리퍼들을 만들어 제공하는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지능적인 로봇팔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정밀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도움을 줄수 있다.
2019.08.22by 이수민 기자
네이버 비즈니스 플랫폼이 플랫폼 에퀴닉스를 도입하여 글로벌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 NBP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확장하기 위해 에퀴닉스와 협력하고 있으며, 그 결과 안정적인 무중단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 2017년 4월에 첫 선을 보인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현재 전 세계 고객들에게 124개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에퀴닉스의 인프라를 사용한 이후부터 NBP의 평균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량은 20배 증가했다. NBP와 NBP의 고객은 에퀴닉스 인터넷 익스체인지를 통해 전 세계 어디에서나 1,800개 이상의 네트워크 에코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다. 특히 에퀴닉스 클라우드 익스체인지 패브릭은 전 세계 최대 CSP를 비롯해 1,600개 이상의 제공업체와 온디맨드 연결 지원을 돕는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