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 한승용 교수 연구팀, 뇌 미세혈관 촬영 가능한 MRI 자석 기술 개발 성공

    2019.06.16by 이수민 기자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한승용 교수 연구팀이 미국 국립 고자기장연구소와 공동으로 무절연 고온 초전도 자석을 이용해 직류 자기장 세계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한승용 교수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직류 자기장 45.5 테슬라를 기록하며, 지난 20여 년간 넘지 못했던 직류 자기장 세계 최고 기록인 44.8 테슬라를 경신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새로운 무절연 고온 초전도 자석 기술을 통해 기존 한계를 뛰어넘는 초고자기장을 보다 안전하게 발생시키는 한편, 기존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수준으로 초소형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KT, 에릭슨·노키아와 5G 장비개발협력

    2019.06.15by 이수민 기자

    KT가 에릭슨, 노키아와 5G 장비 개발과 28㎓ mmWave 주파수 대역 활용 분야에서 상호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KT는 13일, 스웨덴 시스타 에릭슨 연구소에서 에릭슨과 함께 개발한 5G TDD(Time Division Duplex) 4T4R RU(Remote Unit) 장비의 기술 시연을 진행하고, 4T4R 기지국을 KT 5G 상용망에 적용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KT는 12일, 핀란드 에스푸 노키아 본사에서 미팅을 열고, 28㎓ mmWave 대역에서의 5G 상용화 장비 검증과 mmWave와 연관된 기술적 난제 극복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양사는 공동 태스크포스를 발족하고 본격적인 기술적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 마우저, 5G 시대 맞이해 '노이즈 저감 및 전력 소모에 효율적인 전원 설계' 세미나 개최

    2019.06.14by 이수민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오는 2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퍼런스룸 327호에서 2019 마우저 전원 설계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 마우저는 아나로그디바이스, 바이코, TE 커넥티비티와 함께 최신 전력 관리 솔루션을 비롯하여 전원 설계용 제품 및 부품을 소개하고 관련 시장과 기술의 최신 동향과 제품 선택 가이드, 개발 툴 활용법, 설계 기법 등을 설명한다. 올해 세미나의 주제는 ‘노이즈 저감 및 전력 소모에 효율적인 전원 설계 세미나’로 5G 기술의 미래 전망 분석과 함께 향후 동향 및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신제품 설계를 위한 최신 기법들이 소개된다.

  • ​맥심, 마이크로 스피커 효율 극대화한 DSM 스마트 증폭기 'MAX98390' 출시

    2019.06.14by 이수민 기자

    기기들이 소형화되면서 많은 제품들이 마이크로 스피커를 사용하고 있다. 스피커가 작아지면 음량이나 음압 레벨이 낮아지고 공진 주파수는 증가해 저음대역이 약해진다. 맥심 인터그레이티드는 마이크로 스피커의 사운드를 더 크고 풍부하게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DSM 알고리즘을 통합한 스마트 증폭기 MAX98390을 출시했다. MAX98390은 1~3W 초전력 정격의 소형 스피커를 최대 5.1W까지 높은 전력으로 안전하게 구동시킨다. 기존 5V 증폭기보다 최대 2.5배 더 큰 음량과 2옥타브 더 낮은 저음을 전달함으로써 오디오 성능을 극대화한다.

  • TI, CAN FD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통합한 자동차용 시스템 기반 칩 제품 출시

    2019.06.14by 이수민 기자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CAN FD 컨트롤러와 트랜시버를 통합한 자동차용 시스템 기반 칩 제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TCAN4550-Q1은 차량 내 네트워크의 높은 대역폭과 데이터 전송 속도의 유연성에 대한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어떠한 마이크로컨트롤러의 SPI 버스 전송방식에서도 하드웨어 변경을 최소화해서, CAN FD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버스 포트 수를 확장할 수 있다. 이번에 공개되는 TCAN4550-Q1 SBC를 통해 엔지니어들은 차체 제어 및 조명, ADAS, 자동차 게이트웨이 디자인을 기존 마이크로컨트롤러 기반 아키텍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CAN FD으로 간편하게 업그레이드 또는 확장할 수 있다.

  • LG유플러스, 5G 이노베이션 랩에 구글 룸 추가

    2019.06.13by 이수민 기자

    LG유플러스가 U+ 5G 이노베이션 랩이 약 2개월 동안 210여개의 기업이 이용하는 등 5G 생태계 활성화와 대중소기업간 상생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고 밝혔다. 또한 10일에 추가로 이노베이션 랩에 ‘구글 룸’을 추가했다고 덧붙였다. 지난 4월 3일 개관한 이노베이션 랩은 개관 첫 달인 지난 4월에 100 개에 달하는 중소기업이 이용한 데 이어 5월에는 이용 기업 수가 110개를 넘어섰다. 6월 들어서도 첫째 주에만 30여개 기업이 방문해 기술 개발과 서비스 테스트를 진행하는 등 이용 기업이 꾸준하게 증가했다. 이노베이션 랩에서는 5G 서비스 개발 및 테스트에 필수적인 5G 네트워크는 물론 기지국 장비, 각종 디바이스를 제공 받아 중소기업들이 아이디어만 있으면 이곳에서 손쉽게 기술 개발 및 테스트, 상용화..

  • ​웨스턴디지털 오토모티브 스토리지, 르네사스 오토모티브 SoC와의 호환성 검증 마쳐

    2019.06.13by 이수민 기자

    오토모티브 스토리지 솔루션에는 고해상도 그래픽 및 이미지 처리, 비디오 센싱 등의 최신 기능 지원은 물론, 극한의 온습도와 강한 진동을 수반하는 환경에서도 장기간 작동할 수 있는 높은 내구성과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웨스턴디지털은 자사의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iNAND e.MMC 5.1 임베디드 플래시 드라이브 스토리지 솔루션이 르네사스 R-Car 오토모티브 SoC에 대한 호환성 검증을 마쳤다고 밝혔다. 웨스턴디지털은 이번 검증을 통해 고성능, 신뢰성, 극한의 작동 온도 범위가 요구되는 오토모티브 애플리케이션을 한층 폭넓게 지원할 예정이다.

  • 상용화 단계 접어든 차세대 3종 메모리 'MRAM, PCRAM, ReRAM'의 특징과 전망

    2019.06.13by 이수민 기자

    MRAM, PCRAM, ReRAM 3종의 새로운 메모리가 수십 년 연구 끝에 상용화 단계로 접어들면서 반도체와 컴퓨팅 산업에 호재가 되고 있다. 이 3가지 메모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소재가 필요하며, 공정 기술 및 제조 분야 혁신을 필요로 한다. 이상적인 반도체 메모리는 빠른 읽기 속도, 빠른 쓰기 속도, 랜덤 액세스, 저비용, 3D 확장성, 저전력, 비휘발성, 높은 내구성, 높은 온도 허용오차, 멀티 비트 저장을 위한 멀티 스테이트와 같은 특징들을 모두 제공해야 한다. 현재 어떤 메모리도 이를 모두 제공하지 않는다. 그리고 MRAM, PCRAM, ReRAM과 같은 신종 메모리는 이를 보완할 주요 후보다.

  • 키사이트, 차세대 통합형 네트워크 분석기 출시

    2019.06.13by 이수민 기자

    고속 디지털, 무선, 항공우주 및 방위, 오토모티브 기업들은 성능을 개선하고 최종 제품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휴대전화, 위성 통신, 5G 기지국과 같은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통합된 방식의 능동 및 수동 컴포넌트를 필요로 한다. 이에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가 차세대 네트워크 분석기를 출시했다. 새로운 E5080B와 P50xxA 시리즈, M980xA 시리즈 네트워크 분석기는 업계 최고의 동적 범위, 트레이스 노이즈, 온도 안정성으로 신뢰성과 반복성을 제공한다. 또한 광범위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도 제공해 엔지니어들이 종합적인 디바이스 특성화를 일관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