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chip _ Nov 25
  • 마우저, 사이프레스 EZ-BT 메시 평가 키트 공급

    2019.05.27by 이수민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사이프레스 세미컨덕터의 EZ-BT 메시 평가 키트를 공급한다. 평가 키트는 배터리 전원식 또는 USB 전력 공급식 키트로, CYBT-213043-02 EZ-BT WICED 모듈의 블루투스 SIG 메시 네트워킹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평가 보드 4개가 포함되어 엔지니어는 키트 1개만 이용해서 메시 네트워크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보드마다 인증이 완료된 CYBT-213043-02 EZ-BT 모듈, 서미스터, 조도 센서, PIR 동작 센서, 동전형 배터리 홀더, 마이크로 USB 커넥터, 보드 실장형 프로그래머, USB-UART 브리지가 포함되어 있다.

  • ADI, 5월 신제품 2종 공개… 초저노이즈 주파수 합성기 ADF41513, 그리고 PMU ADP1031

    2019.05.27by 이수민 기자

    ADI가 5월의 신제품 2종을 공개했다. ADF41513은 무선 리시버와 트랜스미터의 상향/하향 변환 영역에서 26.5GHz의 높은 주파수의 국부 발진기 구현에 사용할 수 있는 초저노이즈 주파수 합성기다. 이 제품은 시험 및 계측장비, 무선 인프라, 마이크로파 P2P 및 멀티포인트 RF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ADP1031은 절연형 플라이백 DC/DC 레귤레이터와 인버팅 DC/DC 레귤레이터, 벅 DC/DC 레귤레이터를 결합하여 3개의 절연형 파워 레일을 제공하는 고성능 절연형 마이크로 PMU이다. 이와 함께 ADP1031은 낮은 발열과 작은 솔루션 크기가 요구되는 채널 대 채널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4개의 고속 SPI 절연 채널과 3개의 범용 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주요 애플리케이션에는 산업 ..

  • 실리콘랩스, 프렌즈 오브 휴 프로그램 에코시스템 파트너에 스마트 조명 스위치 개발 역량 지원

    2019.05.27by 이수민 기자

    지그비는 스마트 조명을 위한 선도적인 IoT 기술로서, 아마존, 베스트바이, 홈 디포, 베드 배쓰 앤 비욘드 같은 유명 소매점에서 팔린 모든 스마트 LED 전구의 80%에 사용 중이다. 실리콘랩스와 시그니파이는 프렌즈 오브 휴 프로그램 에코시스템 파트너들이 필립스 휴 시스템을 위한 스마트 조명 스위치를 개발할 수 있도록 협력키로 했다. 실리콘랩스는 지그비 클러스터 라이브러리, 소프트웨어 툴, 레퍼런스 애플리케이션 및 기술 전문성을 제공함으로써 프렌즈 오브 휴 프로그램 참여 기업들이 필립스 휴 스마트 조명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는 조명 스위치 제품을 보다 신속하게 설계 및 제작하도록 지원한다.

  • Arm, 공간 관리 IoT 솔루션 '스페이스 애널리틱스' 발표

    2019.05.27by 이수민 기자

    상업용 빌딩 관리자들은 단위 면적당 수익을 극대화하고 입주자들에게 최대의 편의를 제공해야 하며, IoT는 공간 점유, 자원 동향, 트래픽 패턴 등 공간 활용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Arm이 Arm 펠리언 스마트 스페이스 솔루션에 속하는 스페이스 애널리틱스를 발표했다. 스페이스 애널리틱스는 호텔, 공유 오피스, 상업용 빌딩의 관리자들을 위한 솔루션으로, 빌딩 공간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SKT-서울시, 5G와 AI로 완전자율주행 시대 연다

    2019.05.26by 이수민 기자

    SK텔레콤 최일규 B2B사업단장과 서울시 고홍석 도시교통실장이 자율주행 시대를 위한 정밀도로지도 기술 개발 및 실증 협약을 체결했다. 양측은 시내버스·택시 1700대에 5G ADAS를 장착해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 실증 사업 구간의 HD맵 실시간 업데이트 기술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를 바탕으로 도로시설물 관리시스템과 교통안전서비스 개발 등에도 나설 계획이다. 이번 협약으로 서울은 대중교통 분야에 5G 기술을 적용하는 세계 첫 도시가 될 예정이다.

  • ETRI, 8K보다 250배 더 선명한 홀로그램 개발

    2019.05.26by 이수민 기자

    홀로그램 표현에는 주로 액정을 이용한 공간 광변조 기술이 쓰인다. 액정에 전압을 걸어 빛의 위상을 바꿔 영상을 만드는 방식이다. 이때 홀로그램 영상의 화질과 시야각을 높이기 위해서는 액정에 쓰이는 소자의 픽셀사이의 간격을 줄이는 것이 관건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픽셀의 크기와 픽셀 간격을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대폭 줄여 30도 시야각을 갖고 화질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픽셀 구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를 통해 세계에서 가장 작은 1㎛ 픽셀 피치소자를 적용, 72K 해상도를 구현하는 패널개발이 가능할 전망이다.

  • 과기부, 5G 통신정책 협의회 논의 결과 공개

    2019.05.25by 이수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4일, ‘5G 통신정책 협의’에서 논의된 주요 결과를 밝혔다. 망 중립성 원칙과 관련해서는 기존 원칙을 유지하되 5G 발전을 저해하지 않는 방향을 견지해야 하며, 현 시점에서 5G 네트워크 슬라이싱이 관리형 서비스로 인정되는지 여부를 일률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시기상조로 판단했다. 통신사가 특정 서비스를 사용할 때 데이터 요금을 면제해주는 제로 레이팅과 관련, 사전규제보다는 해외사례처럼 불공정 경쟁과 이용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사후규제를 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전기통신사업법상 금지행위 규정을 보다 구체화할지 여부는 현황을 모니터링하여 그 필요성을 논의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 ​KT, 5G 시대 IoT 단말 보안 '융합보안실증센터'로 강화

    2019.05.25by 이수민 기자

    초연결이 가능한 5G 시대에는 스마트홈,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등의 구현을 위해 각종 센서를 비롯한 수많은 IoT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동작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IoT 단말은 해킹, DDoS 공격 등의 수많은 보안 위협에 노출되기 때문에 단말 자체의 보안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KT는 이런 보안 위협으로부터 사전에 보안성이 검증된 IoT 단말을 제공하기 위해 KT 과천타워에 융합보안실증센터를 열었다. 융합보안실증센터에서는 중소기업 제품을 포함한 유·무선 IoT 단말의 설계 및 출시 이전 단계에서부터 철저한 보안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 스마트팩토리 도입 중소기업 '생산성' 평균 30% 향상

    2019.05.25by 이수민 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스마트팩토리 보급사업 성과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한 중소기업은 평균적으로 생산성 30% 증가, 품질 43.5% 향상, 원가 15.9% 감소, 납기 준수율 15.5% 증가하는 등 경쟁력이 높아졌다. 또한, 매출이 증가하면서 고용도 평균 3명이 증가하였고, 산업재해는 18.3% 감소하는 등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