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3.07by 이수민 기자
자동차 제조업체는 제조 공정에 대한 투자만큼 제품의 신뢰성, 내구성, 안정성, 품질에도 투자해야 한다. 테스트와 평가는 앞으로도 자동차 제조 과정의 핵심 분야로 자리할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 테스트, 개발 엔지니어링 및 품질 엔지니어링을 위한 ‘오토모티브 테스팅 엑스포 코리아 2019’가 올해로 6회째를 맞이했다. 방문객들은 최신 ADAS 테스트, NVH 측정 도구, 테스트 리그, 시뮬레이션 패키지, 내구성 테스트 기술, 충돌 테스트 노하우, 다이나모미터, 배기가스 측정 시스템, 동적 평가 도구는 물론 성능 시험장과 테스트 시설 같은 수많은 서비스 제공자를 만날 수 있다.
2019.03.07by 이수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ICT 규제 샌드박스 사업의 검토 및 지정을 위해 제2차 신기술 및 서비스 심의위원회를 개최했다. 심의위원회는 ‘이동형 VR 체험서비스 트럭’, ‘모바일 기반 폐차 견적 비교 서비스’, ‘스마트 전기자동차 충전콘센트’, ‘개인인명구조용 해상조난 신호기’ 등 총 4건에 대해 실증특례와 임시허가를 부여하기로 심의 및 의결하였다. 과기부는 4월 중 제3차 신기술 및 서비스 심의위원회를 개최하여 추가적인 규제 샌드박스 안건을 심의 및 의결할 계획이다.
2019.03.06by 이수민 기자
5G NR은 인접한 셀룰러 대역에서 작동해야한다. 때로는 와이파이, CBRS, 군용 및 위성 서비스와 같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과 동일한 스펙트럼 내에서도 작동해야 한다. 5G NR은 기존 상업용 무선 인프라뿐만 아니라 군사용, 비군사용 레이더 및 위성 신호와 공존할 필요가 있다. 주파수대역2의 5G NR mmWave 동작 대역은 FSS 지상국 업링크 27.5~29.5㎓ 및 다운링크 37.5~40㎓와 중첩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1차 사용자는 주파수 대역에서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5G NR 디바이스는 환경을 감지하고 그 위치의 정책에 따라 동작을 수정해야 한다.
2019.03.06by 이수민 기자
글로벌 경영컨설팅 기업 아서디리틀이 전 세계 40개국 대상으로 5G 상용화 국가별 리더십 평가 결과를 1일 발표했다. 대한민국은 글로벌 5G 리더십 1위 국가로 선정됐다. 아서디리틀은 5G 상용화 관련 국가별 기술 인프라 및 서비스 현황을 심층 분석했다. 기술 인프라 부문에서는 5G 주파수할당, 설비투자현황 등을 판단했으며, 상용화 현황 부문에서는 5G 시범서비스 현황 및 성공 수준, GDP 대비 R&D 투자율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2019.03.06by 이수민 기자
서울 세명컴퓨터고등학교에서 국내 첫 P-테크 학교인 '서울 뉴칼라 스쿨'이 개교하고 신입생 52명이 입학식을 가졌다. 고교 3년, 전문가 2년의 5년제 통합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서울 뉴칼라 스쿨의 AI 소프트웨어과에 입학한 학생들은 2개 반으로 나뉘어 세명컴고에서 3년간 공부한 후, 경기과학기술대학교에서 2년 동안 수업을 받는다. 졸업 후 고교 졸업장과 2년제 전문학사 학위가 수여된다. IBM은 학교와 함께 전문교과 과정 커리큘럼을 지원하고, 전문가 특강, 유급 인턴십 제도 그리고 IBM 직원들을 통해 업무 경험 공유, 전문 영역 코칭, 학생들의 커리어에 대한 멘토링을 제공할 예정이다.
2019.03.06by 이수민 기자
인피니언은 자동차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세이프티 MCU를 사용할 때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 자일링스 및 자이론과 협력한다고 밝혔다. 자이론의 logiHSSL IP 코어를 사용하면 인피니언 HSSL을 통해서 인피니언 AURIX TC2xx, TC3xx MCU와 자일링스의 SoC, MPSoC, FPGA 디바이스 사이에 고속 통신이 가능하다. 이 직렬 링크는 최대 84%의 순수 페이로드 데이터 레이트로 최대 320Mbaud에 이르는 보 레이트를 지원한다.
2019.03.06by 이수민 기자
KT는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8개 주요 도시에 모바일 에지 컴퓨팅 기술을 적용한 5G 에지 통신센터 구축을 완료했다. 기존 무선 데이터 처리 방식에서는 전국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데이터 트래픽이 모두 수도권의 중앙통신센터로 전송되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조였기 때문에 지연이 생길 수밖에 없었다. KT는 이런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5G 에지 통신 센터에 데이터 처리 장치를 구축, 사용자의 단말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사용자가 인접한 에지 통신센터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지역에서 사용하는 사용자의 데이터 트래픽이 수도권 통신센터까지 전송되지 않고도 해당 지역에서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의 지연이 감소된다.
2019.03.06by 이수민 기자
삼성전자가 28㎚ FD-SOI 공정 기반 eMRAM 솔루션 제품을 출하했다. FD-SOI 공정은 실리콘 웨이퍼 위에 절연막을 씌워 누설 전류를 줄일 수 있는 공정이다. MRAM은 비휘발성이면서도 DRAM 수준으로 속도가 빠르다는 특성을 가지는 메모리 반도체다. 이 두 기술이 합쳐져 전력을 적게 소모하면서 속도도 매우 빠르고, 소형화가 쉬우면서도 가격까지 저렴한 차세대 내장 메모리가 만들어졌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는 SoC에 이 제품을 결합해 파운드리 분야 기술 리더십을 강화했다.
2019.03.06by 이수민 기자
SK텔레콤이 갤럭시 S10의 출시와 함께 1.2Gbps LTE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는 국제전기통신연합에서 정의한 LTE 최대속도인 1Gbps를 웃돈다. SK텔레콤은 2018년 2월에 1Gbps LTE 시대를 개막한데 이어 또 한 번 LTE 속도를 끌어올렸다. 1.2Gbps 속도는 HD급 2GB 영화 한 편을 13초 만에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정도다. 2011년 초기 LTE 속도에 비해 16배 이상 빨라진 속도다. SK텔레콤은 갤럭시 S10 출시와 함께 서울, 부산, 울산, 광주, 대전 등 5개 도시의 트래픽 밀집 지역에서 최고 1.15Gbps 서비스를 시작한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