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25by 이수민 기자
뉴타닉스가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인덱스 보고서를 통해 한국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시장에 대한 통찰력을 공유했다. 뉴타닉스 ECI 보고서 결과에 따르면, 한국 기업들은 전 세계 평균 대비 2배가량 높은 비율로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하고 있다. 전 세계 평균의 2배, 아태지역 평균보다 60% 앞선 수치다. 단일 퍼블릭 클라우드 사용량 및 도입 부문에서도 20%라는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전 세계 평균과 아태지역 평균은 각각 14%, 15%였다.
2019.01.25by 이수민 기자
PTC가 LG디스플레이에 증강현실 개발 플랫폼 뷰포리아를 공급했다. LG디스플레이는 PTC 뷰포리아를 기반으로 증강현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LGD AR을 출시했다. LGD AR 앱은 소비자들이 OLED를 손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제작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OLED 제품을 실제 공간에 가상 배치해보고, 3D 모델링을 통해 OLED의 특장점을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2019.01.25by 이수민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아나로그디바이스의 ADIS1647x 정밀 산업용 관성 측정 장비를 공급한다. ADI의 MEMS IMU 제품군에 새롭게 추가된 ADIS1647x IMU는 IIoT 및 IoT 애플리케이션, 무인 항공기, 스마트 농업,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내비게이션 성능과 안정성을 개선한다. 이 장치는 성장 중인 VR 및 AR 시장에서 개발되는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다.
2019.01.25by 이수민 기자
LG전자가 본격적인 5G 스마트폰 시대의 개막을 앞두고 고객들이 원하는 5G 전용 스마트폰을 주제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자 가운데 74%가 5G 서비스에 대한 기대를 보였다. 특히 응답자의 70%는 고화질 영상, 라이브 방송 등을 끊김없이 시청하는 멀티미디어 활용성, 우수한 화질과 사운드, 연결성을 기반으로 하는 다자간 컨퍼런스, 원격진료, 원격운전 등이 가능한 5G 전용 스마트폰을 기대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번 설문은 프리미엄 폰 수요가 높은 한국과 미국에서 스마트폰 사용자 1천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2019.01.25by 이수민 기자
IBM 기업가치 연구소가 NRF와 조사한 유통 및 소비재 업계에서의 AI 혁명 보고서에 따르면 유통 기업의 85%, 소비재 기업의 79%가 2021년까지 유통공급망에 지능형 자동화를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IBM은 유통 및 소비재 기업을 위한 AI 기반 자동화 솔루션인 IBM 오더 매니지먼트와 IBM 메트로펄스를 선보였다. 사람과 프로세스, 자동화, AI가 융합된 이 솔루션들은 사람의 능력을 보강해 실수를 줄이고, 디지털 운영과 고객 경험을 혁신할 수 있는 지능형 자동화 기술이다.
2019.01.24by 이수민 기자
자일링스는 최근 발표된 바이두의 에지 가속 컴퓨팅 솔루션 ‘에지보드’에 자일링스의 기술이 채택되었다고 밝혔다. 에지보드는 실시간 프로세서와 프로그래머블 로직을 통합한 자일링스의 징크 울트라스케일 MPSoC에 기반하고 있으며, 개발자들이 혁신적인 AI 제품을 신속하게 구현 및 출시할 수 있도록 탁월한 시스템 성능과 유연성, 확장성을 제공한다.
2019.01.24by 이수민 기자
가트너에 따르면 AI를 도입한 기업의 수가 지난 4년 간 270% 증가했으며, 작년 한 해 동안만 3배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AI 역량이 크게 성숙하면서 기업들이 관련 기술 구현에 더 큰 의지를 보여 이러한 대대적인 성장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또 모든 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AI를 활용하고 있지만, 극심한 전문 인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음이 드러났다.
2019.01.23by 류아연 외신
[미주 주간 IT 이슈] [1]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폰’ 지원 종료 시동, [2] 구글, 전세계 검색엔진 90% 차지, [3] 넷플릭스, 인프라스트럭처 ‘아마존웹서비스’로 넘긴다, [4] NHL-SAP, 애플과 코칭앱 개발, [5] “기업의 37%, AI를 일부 형식으로 구현”
2019.01.23by 이수민 기자
자이스는2.5/3D 및 팬아웃 웨이퍼 레벨 패키지 등 첨단 반도체 패키지의 불량분석을 위한 고해상 3D 엑스레이 이미지 처리 솔루션 3종을 발표했다. 서브 마이크론 및 나노 패키지 FA 작업에 사용되는 세 가지 신제품은 엑스레디아 600 시리즈 버사, 엑스레디아 800 울트라 엑스레이 현미경, 그리고 새로운 엑스레디아 콘텍스트 마이크로CT다. 자이스는 기존 제품군에 이 제품들을 추가함으로써 반도체 업계를 위한 방대한 3D 엑스레이 이미지 처리 기술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게 됐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