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2.10by 이수민 기자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IDEX 바이오메트릭스와 생체인식 카드 기술 확대를 위해 공동 협력에 나선다. 양사는 IDEX의 생체인식 기술을 인피니언의 보안칩 탑재 플랫폼에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인피니언의 듀얼 인터페이스 16비트 보안 컨트롤러에서 실행되는 시스템 온 카드 데모를 개발할 예정이다. 인피니언의 보안칩은 300ms 미만의 비접촉 결제 트랜잭션을 지원하며, 배터리 없이 지원되는 비접촉식 시스템에 최적화된 전력 소모 특성으로 생체인식을 구현하는 데 이점을 제공한다.
2018.12.10by 이수민 기자
KT가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주관하는 5G 네트워크 기반의 국내 최초 자율주행 실험도시 K-City를 공동으로 구축하고 자율주행 원격관제 시스템 5G 리모트콕핏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K-City는 레벨3 수준 자율주행차 조기 상용화를 위해 경기도 화성시 한국교통안전연구원 내 36만㎡ 부지에 설립된 5G 자율주행 기술 검증 테스트베드이다.
2018.12.10by 이수민 기자
삼성전자가 10일부터 서울, 대전, 광주, 구미 등 전국 4곳에서 ‘삼성 청년 소프트웨어 아카데미’를 개소하며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작한다.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를 통해 IT 생태계 저변을 확대하고 청년 취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설립한 삼성 청년 소프트웨어 아카데미는 8월 8일 발표한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방안’의 후속 조치 중 하나이다.
2018.12.10by 이수민 기자
SK텔레콤은 현대건설기계, 트림블과 5G 스마트 건설 솔루션 개발 및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3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토목 및 건설 현장에 5G와 ICT 기술을 적용해 건설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5G 스마트 건설 솔루션을 개발한다. 3사는 견적, 측량, 설계, 계획, 시공, 검측 등 공사 전반에 AI 솔루션을 적용해 공사 현장 운영 관리 효율성도 극대화할 계획이다.
2018.12.10by 이수민 기자
LG전자가 인도 델리 최대 쇼핑센터인 엠비언스몰에 대형 올레드 사이니지를 설치했다. LG전자는 55인치 올레드 사이니지 63장을 활용해 가로 5m, 높이 8m 크기의 조형물을 완성했다. 2~3층 높이에 설치된 올레드 사이니지는 어느 방향에서 보더라도 잘 보이도록 설계됐다. 이번 조형물은 백라이트가 없어 스스로 빛을 내는 올레드 사이니지의 강점을 부각했다.
2018.12.10by 이수민 기자
삼성전자는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쇼오두 영화관에 가로 14m, 세로 7.2m 크기의 대형 오닉스 스크린을 최초로 도입하고 개관 축하 행사를 가졌다. 쇼오두 영화관은 1937년에 북경에 개관해 최초의 컬러 영화를 상영한 것으로 유명한 중국의 대표 영화관으로 세계 최대 크기 오닉스 스크린을 적용한 상영관을 영화뿐만 아니라 게임대회, 콘서트, 문화 공연 등을 즐길 수 있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2018.12.10by 이수민 기자
도시바가 N300 NAS 하드드라이브(HDD) 및 X300 퍼포먼스 HDD 시리즈에 12TB와 14TB 모델을 추가했다. 12/14TB 모델은 7200rpm에서 구동하며 256MB 버퍼 메모리를 탑재했다. N300 NAS 및 X300 HDD는 모터 샤프트가 플래터 양쪽을 고정해 진동을 최소화하는 스테이블 플래터 기술을 적용했다.
2018.12.10by 이수민 기자
로옴이 저전력 특징을 유지하고 신뢰성을 높인 1700V 정격 Full SiC 파워 모듈 BSM250D17P2E004를 출시했다. 로옴의 새로운 파워 모듈은 새로운 코팅 재료와 새로운 공법을 도입함으로써 절연 파괴를 방지하여 누설 전류를 억제하는데 성공했다. HV-H3TRB 테스트에서 1000시간을 초과해도 절연 파괴를 일으키지 않아 고온 고습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1700V의 고내압을 취급할 수 있다.
2018.12.10by 이수민 기자
2018년이 끝날 무렵에는 중남미에서 4G가 3G를 누르고 주류 기술이 될 전망이다. GSMA가 발표한 ‘모바일 경제: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 지역 2018’ 보고서에 따르면, 4G 네트워크가 올해 연말까지 중남미 지역 연결에서 가장 큰 점유율(38%)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3년 전 8%에 비해 크게 오른 수치다. 4G는 2025년까지 전체 연결의 2/3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때까지 브라질과 멕시코 등 주요 시장에 우선적으로 5G 네트워크가 배치되어 역내 전체 연결 중 8%를 점유할 것으로 보인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