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06by 권신혁 기자
청년 인구 유출과 국가 인구 감소로 지방 소멸 위기가 현실화하고 있다. 국내 제 2의 도시인 부산마저도 인구 유출로 청년 인구가 줄어들며 ‘노인과 바다’라는 오명을 얻은 상황 속에서 지역 산업이 지역 성장과 인구 유출 억제 및 인구 유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도체 산업이 위치한 지역에서는 인구 유입 증가와 고용창출 효과, 세수 유입 증가, 정책 지원 등의 긍정적인 요인들이 도시 성장을 촉진했다. 반도체 중심이 되고 있는 일본 규슈 사례와 한국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리는 용인-화성-평택 등의 사례는 반도체-지역 성장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4.08.05by 배종인 기자
인천 청라의 전기차 화재처럼 순식간에 대형 화재로 번지는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에서 화재 발생 예방 또는 대피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이라도 벌기 위해서 BMS 이외에 추가적인 압력센서의 채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024.08.01by 권신혁 기자
AI 기술 도입은 도축 자동화 로봇 시스템에서부터 무인 방제 로봇, 식물공장, 수직농장, 농업용 모빌리티, AI 농산물 선별기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농기계·장비·시스템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다.
2024.08.01by 김예지 기자
삼성전자는 AI 칩 수요 강세에 힘입어 2분기에도 출하량 1위를 지켰으나, 애플과 샤오미가 뒤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생성형 AI를 탑재한 스마트폰 수요 상승이 관측되는 가운데, 업계 전문가들은 AI폰 보편화에 따라 개인 맞춤형으로 서비스가 고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2024.08.01by 성유창 기자
쿠러그(KHLUG)는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의 IT 동아리로 세상 모든 IT 기술 및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 및 개발 활동을 한다. 본지는 쿠러그의 내정담당자를 맡고 있는 박정식 학생에게 쿠러그의 활동과 목적 등에 대해 물었다.
2024.07.26by 권신혁 기자
국내외·중소·IDM·팹리스 가릴 것 없이 반도체 기업들이 AI 솔루션 업체들에 러브콜을 보내면서 인수합병·파트너십 등 융합 협력 생태계가 강화되고 있다.
2024.07.26by 권신혁 기자
생성형 AI가 촉발한 AI 인프라 확충 추세로 인해 GPU, AI 가속기, 고용량 SSD와 HBM 등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많은 연산량으로 전력소모가 높은 AI 서버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데이터센터 운용비용 절감과 RE100 이행에 대한 압박이 높아지면서 저전력·그린 에너지 기반 반도체가 뜨고 있다. 최근에는 서버단 AI 모델 경량화·최적화 솔루션 활용을 모색할 정도로 전력 효율에 진심전력으로 대응하는 모습이 포착되고 있다.
2024.07.25by 성유창 기자
DEFAULT는 한양대학교 ERICA 캠퍼스 전자공학부의 전공학회로 전자공학도의 기초와 응용 지식을 위한 스터디를 진행하고, 창의·혁신적 사고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및 임베디드 경진대회에 참가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한다. 본지는 DEFAULT 임원을 맡고 있는 김주희 학생에게 DEFAULT의 활동과 목적 등에 대해 물었다.
2024.07.25by 성유창 기자
전공 관련 스터디와 대외활동 참가와 더불어 다양한 친목활동을 통해 대학생활의 낭만도 즐기는 학회다. 본지는 한배움지기의 회장인 민경준 학생에게 한배움지기의 활동과 목적 등에 대해 물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