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0.30by 편집부
마이크로소프트와 동남아시아 굴지의 온-디맨드 운송, 모바일 결제 및 O2O(online-to-offline) 서비스 플랫폼 Grab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제휴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보유한 세계적 수준의 머신 러닝과 기타 인공 지능(AI) 역량을 이용해 동남아시아 지역의 디지털 서비스와 이동성 제공을 변혁시킬 목적으로 진행된다.
2018.10.30by 편집부
Smiths Detection은 오늘, 유통 파트너 동곡기정과 공동으로 한국공항공사로부터 7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수주했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HI-SCAN 6040 CTiX, iLane.evo 및 IONSCAN 600뿐만 아니라 Smiths Detection의 Checkpoint Management Software 및 Checkpoint Evo Plus를 각각 5대씩 제주국제공항에 공급하게 됐다.
2018.10.30by 편집부
화웨이가 2018 화웨이 커넥트(HUAWEI CONNECT 2018)에서 IoT 클라우드 서비스 2.0을 공식 출시하고, "IoT 기반시설을 제공하고, 에코시스템을 구축한다."는 자사의 IoT 전략을 발표했다. 화웨이는 확장된 연결, 클라우드 서비스 및 AI를 통해 더욱 강력한 산업용 IoT를 구축하고, 산업 디지털화를 지원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2018.10.30by 편집부
Vivo가 이달 22~24일 홍콩에서 열린 퀄컴 4G/5G 회담에서 5G 개발과 5G가 새로운 스마트 리빙 시대를 지원하는 방식에 관한 자사의 비전과 통찰을 공유했다. 사흘간 열린 퀄컴 4G/5G 회담에는 세계 굴지의 모바일 산업 리더들이 다수 참석했다.
2018.10.30by 편집부
구전 조명박람회는 중국조명산업협회와 중국의 조명수도 구전이 공동 후원하고, Guzhen Lighting Expo Co., Ltd.가 주최하며, 중산 시 인민정부(Zhongshan Municipal People's Government)가 이를 후원한다. 이번 전시회는 세계에 기여하기 위해 대만구(Greater Bay Area)의 비용 효율적인 조명 구매 플랫폼을 구축하면서 전 산업 체인의 가장 훌륭한 전시품을 다룬다.
2018.10.29by 편집부
HENGTONG의 자회사 PEACE Cable International Network Co., Ltd.는 오늘, 자사와 Huawei Marine Networks Co. Ltd.와의 공동 PEACE Cable 프로젝트가 케이블 및 소재 제조 단계로 접어들었다고 발표했다. 12,000km에 달하는 PEACE Cable 시스템은 아시아, 아프리카 및 유럽을 연결하고, 2020년 1분기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2018.10.29by 이수민 기자
자율주행차 기술에서 가장 앞서 나가는 기업은 구글에서 분사한 웨이모다. 글로벌 기업들의 자율주행 특허 경쟁력 점수에서 웨이모는 2815점으로 도요타를 제치고 선두에 올랐다 자율주행 특허 기술 세계 50대 기업 중에 한국 기업으로는 현대자동차가 유일하게 포함됐다. 현대차는 보유 특허건수 기준으론 세계 10위에 해당했지만 고급 특허 확보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으로 평가됐다.
2018.10.29by 이수민 기자
텍사스 인스트루먼트가 산업용 및 의료용 애플리케이션의 설계를 대폭 간소화하는 새로운 온도 센서 제품군을 출시했다. TMP117은 단일 칩 온도 센서 제품으로서 플래티넘 저항 온도계에 맞먹는 성능을 제공하며, 설계 복잡성과 전력 소모를 크게 줄인다. TMP117M은 의료용 디지털 온도 센서 제품으로서 의료용 체온계 등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2018.10.29by 이수민 기자
삼성전자가 17일 열린 삼성 테크 데이 2018에서 CPU의 개입 없이 데이터 상에서 고성능 가속 컴퓨팅을 수행할 수 있는 자일링스 FPGA 기반 SSD 솔루션 스마트SSD를 공개했다. 스마트SSD는 압축, 데이터 중복 제거 및 암호화와 같은 스토리지 서비스를 가속화하는 것은 물론, 실제 스토리지 구성요소와 더 밀접하게 가속화함으로써 상당한 혜택을 얻을 수 있는 머신 러닝 추론 및 빅 데이터 분석과 같은 컴퓨팅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