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chip _ Nov 25
  • 포티넷, 자사 솔루션으로 DCIPS 부문 ‘추천’ 등급 획득

    2018.03.29by 김학준 기자

    포티넷코리아는 오늘, 자사의 포티게이트 IPS 3000D 및 IPS 7060E이 NSS랩이 실시한 ‘데이터센터 침입방지시스템(이하 DCIPS)’ 테스트에서 ‘추천’ 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IPS 3000D는 DCIPS에 대한 NSS 랩의 보안 가치 맵에서 업계 최고의 보안 효과 및 보호 용량(Mbps)당 가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데이터시트에서 보장하는 성능보다 빠른 IPS 처리량을 나타냈다. 또한, 익스플로잇을 98.73% 차단했으며 우회 기법을 100 % 무력화했다. 어떤 규모에서도 최신 데이터 센터를 효과적으로 보호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에서 데이터 수집, 처리, 배포는 중요하다. IoT, 소비자 및 사용자 기반 애플리케이션, 빅데이터의 성장은 실시간 정보에 대한 요구사항..

  • 스트라타시스, 적층 기술 솔루션 통한 제조업의 미래 방향성 제시

    2018.03.29by 김학준 기자

    스트라타시스는 ‘제18회 심토스 2018’에 참가해 자사의 래피드 프로토타이핑 및 적층제조 솔루션을 선보인다. 세계적으로 제조업 분야의 3D 프린팅 기술 적용 범위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스트타시스가 주도하고 있는 다양한 미래 제조 기술들이 전시될 예정이다. 참관객들은 제품 개발 전 주기에 걸쳐 유연성, 타임-투-마켓 단축, 비용 절감 등 혁신적 혜택을 제공하는 다양한 스트라타시스 프로토타이핑 솔루션을 경험할 수 있다. 자사가 보유한 세계 최초/업계 유일의 ‘풀컬러-멀티소재’ 3D 프린팅 솔루션인 J750 3D 프린터는 사용자가 풀컬러 그라디언트를 광범위한 물성의 재료와 조합할 수 있어 후처리 과정 없이도 제품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한 대의 장비로 광범위한 분야에 대응할 수 있는 탁월한 활용성을 ..

  • 마우저, 먼 거리에서도 음성 명령 수신 가능한 마이크 제공

    2018.03.29by 김학준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인피니언의 IM69D120 및 IM69D130 XENSIV MEMS 마이크로폰을 공급한다. IM69D120 및 IM69D130은 고성능, 저소음 마이크로폰으로써, 고품질 오디오 캡처,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ANC(능동적 잡음 소거)와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오디오 패턴 감지 같은 기능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마우저가 공급하는 인피니언의 XENSIV 마이크로폰은 낮은 자기 잡음과 넓은 다이나믹 레인지, 적은 왜곡, 높은 음향 과부하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인피니언의 듀얼 백플레이트 MEMS 기술이 적용되어 다이나믹 레인지 최대 105dB 내에서 출력 신호의 선형성을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듀얼 백플레이트 MEMS 기술은 소형 대칭 마이크로폰 설계를 기초로 적용되었으..

  • element14, 신제품 Rohde & Schwarz RTC1000 및 RTM3000 출시

    2018.03.29by 김학준 기자

    엘리먼트14가 Rohde & Schwarz의 고급 및 저가형 오실로스코프 2종을 출시한다. 이 제품은 합리적인 가격으로 전문가 수준의 기능을 원하는 임베디드 제품 개발자에서 서비스 담당자 및 관련 교육 종사자에 이르는 다양한 사용자에게 이상적인 제품이다. 또한 노이즈가 적으며 높은 정확성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최신 및 고성능의 기술로 개발되어 더욱 정확한 결과를 구할 수 있는 다기능 오실로스코프이다. 다양한 업그레이드 옵션을 지원하므로 후속 제품이 출시된 후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 엔비디아, 딥 러닝 컴퓨팅 플랫폼의 성능 6개월 만에 10배 향상

    2018.03.29by 김학준 기자

    엔비디아는 GTC 2018에서 자사의 딥 러닝 컴퓨팅 플랫폼에 대한 성능 개선 사항을 연이어 공개하며 딥 러닝 워크로드 면에서 6개월 만에 이전 세대 대비 10배의 성능 개선을 이뤄냈다고 발표했다. 엔비디아 플랫폼의 핵심 개선 사항은 데이터센터 GPU인 엔비디아 테슬라 V100의 메모리 2배 확충과 획기적인 GPU 인터커넥트 패브릭인 엔비디아 NV스위치를 포함하며 NV스위치를 활용해 최대 16개의 테슬라 V100 GPU가 초당 2.4테라바이트라는 기록적인 속도에서 동시에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소프트웨어 스택의 업데이트 및 최적화 소식을 함께 발표했다. 엔비디아는 엔비디아 DGX-2출시로 딥 러닝 컴퓨팅 분야에 2페타플롭의 연산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첫 단일 서버를 선보였다. D..

  • 화웨이, 포르쉐 디자인 화웨이 메이트 RS 공개

    2018.03.29by 김지혜 기자

    화웨이 컨슈머 비즈니스 그룹과 포르쉐 디자인(Porsche Design)이 3월 27일(현지 시각)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그랑 팔레(Grand Palais)에서 열린 언팩 행사를 통해 정교하고 뛰어난 성능의 스마트폰 포르쉐 디자인 화웨이 메이트 RS(PORSCHE DESIGN HUAWEI Mate Race Sport)를 공개했다. 포르쉐 디자인 화웨이 메이트 RS는 화면 내장형 지문 센서(in-screen fingerprint sensor)를 포함한 세계 최초의 듀얼 지문 디자인,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스마트폰 프로세서인 기린 970(Kirin 970) 탑재 및 40MP 이미지 캡처 기능의 라이카(Leica) 트리플 카메라를 통해 모바일 기술의 미래..

  • 테라데이타, 딥 러닝 및 AI 성과 가속화 한다

    2018.03.29by 김학준 기자

    테라데이타는 ‘씽크빅 애널리틱스 컨설팅 그룹’이 엔비디아 서비스 딜리버리 파트너 프로그램에 합류했다고 밝혔다. 프로그램 ‘씽크빅 애널리틱스’는 엔비디아와 협력하여 기업용 딥 러닝을 최적화하고 시장 진출 전략을 조율함으로써 고객들이 AI 전략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엔비디아는 AI컴퓨팅 기술 분야의 선두 주자이자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그래픽반도체칩 제조사로 엔비디아 GPU는 딥 러닝, 인공지능, 가속 분석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고 있다. 테라데이타가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밴슨 본과 글로벌 대기업 26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7년 서베이에 의하면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AI를 구현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AI 전문 IT 인프라와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는 점이었다. 이번 파트너십..

  • 엔비디아, 자율로봇의 개발을 가속화 할 아이작 SDK 공개

    2018.03.29by 김지혜 기자

    엔비디아는 로봇 애플리케이션의 구축을 위한 아이작(Isaac) 플랫폼의 확대를 발표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로봇의 개발 및 배치를 가속화해 나가고자 하는 움직임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엔비디아의 창립자 겸 CEO인 젠슨 황(Jensen Huang)은 GPU 테크놀로지 컨퍼런스(GPU Technology Conference)에서 라이브러리, 드라이버, API 및 기타 다양한 도구들을 하나로 집약시킨 아이작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SDK를 통해 제조업체 및 연구진, 스타트업과 개발자들은 감지, 탐색 및 조종을 위한 차세대 로봇에 보다 편리하게 AI를 적용하게 되며, 수백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해당 SDK에서는 로봇 아키텍처 내부에서 통신을 관리하고 데이터를 전달하도..

  • 슈나이더 일렉트릭,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 '2018 오토메이션 월드' 참가

    2018.03.29by 김지혜 기자

    슈나이더 일렉트릭 소프트웨어 코리아가 ‘2018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에 참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주최로 진행되는 본 전시는 국내 최대 규모의 스마트 공장 및 자동 제어 전문 행사로,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소프트웨어는 제조업의 미래를 구상할 수 있는 스마트 공장 구축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였다. 산업용 소프트웨어 통합 관리 시스템인 시스템 플랫폼(System Platform)과 함께 클라우드, 빅데이터 분석, 감시 및 모바일 모니터링의 기술을 소개했다. 이밖에도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함께 참가하여 5대 공정 작업 중 하나인 조립부문도 전시됐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