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by 배종인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가 최근 발표한 ‘Optimizing Efficiency as Data Centers Shift to 48V Power’에 따르면 48V 아키텍처와 폴리머 커패시터를 중심으로 한 고효율 전력 관리 솔루션이 데이터센터의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5.10.14by 배종인 기자
저전력 무선 연결 기술의 글로벌 리더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가 사텔리오트(Sateliot), 게이트하우스 샛콤(Gatehouse Satcom)과 협력해 LEO(저궤도) 위성 기반 IoT 연결에 성공하며 NTN(Non-Terrestrial Network) 통신 분야에서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이번 성공은 노르딕의 nRF9151 셀룰러 IoT 모듈과 사텔리오트의 위성망, 그리고 nRF 클라우드 플랫폼 간의 C2C(Chip-to-Cloud) 통신을 실현한 것으로, 지구상의 원격지까지 IoT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했다.
2025.10.14by 배종인 기자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Microchip Technology)가 업계 최초로 3나노미터(3㎚) 공정 기반의 PCIe Gen 6 스위치 제품군 ‘Switchtec™ Gen 6’을 발표했다. 이 제품은 초저지연·고대역폭·고급 보안 기능을 갖춘 팬아웃 스위치로, 클라우드 및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의 성능과 확장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다.
2025.10.14by 배종인 기자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가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린 오픈 컴퓨트 서밋(OCP)에서 AI 데이터센터를 위한 새로운 전력 관리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AI 연산 수요 증가에 대응해 12V부터 48V, 800VDC까지 확장 가능한 전력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2025.10.14by 배종인 기자
델 테크놀로지스(Dell)가 초고성능 데스크톱 AI 시스템 ‘델 프로 맥스 위드 GB10(Dell Pro Max with GB10)’을 공식 발표했다. 이 제품은 엔비디아의 최신 그레이스 블랙웰(GRACE 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GB10 슈퍼칩을 탑재해, 클라우드 연결 없이도 최대 2,000억 개 매개변수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로컬 환경에서 직접 개발·추론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2025.10.14by 배종인 기자
AI 컴퓨팅 기술의 선두주자 엔비디아(NVIDIA)가 차세대 AI 플랫폼 ‘블랙웰(Blackwell)’을 통해 새롭게 발표된 인퍼런스MAX v1 벤치마크에서 최고 성능과 효율성을 보였다고 밝혔다. 엔비디아 GB200 NVL72 시스템에 500만달러를 투자하면 7,500만달러의 토큰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15배의 ROI를 기록했다.
2025.10.14by 배종인 기자
차량 네트워크 및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의 글로벌 기업 벡터코리아(지사장 장지환, Vector)가 시높시스(Synopsys)와의 협력을 통해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개발을 위한 가상 ECU(vECU) 기반 통합 솔루션을 발표했다. 벡터의 ‘MICROSAR Classic’과 시높시스의 ‘Synopsys Silver’를 통합 제공함으로써, 실제 하드웨어 없이도 초기 개발 단계부터 ECU를 생성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했다.
2025.10.14by 배종인 기자
글로벌 커넥티비티 클라우드 기업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가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와의 전략적 통합을 발표하며, 하이브리드 및 멀티클라우드 환경에서 고객 애플리케이션과 AI 워크로드의 성능과 보안을 획기적으로 강화한다.
2025.10.14by 배종인 기자
산업용 컴퓨팅과 자동화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는 가운데, AMD가 차세대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갖춘 새로운 임베디드 프로세서 ‘Ryzen™ Embedded 9000 시리즈’를 발표하며, 산업용 PC, 자동화 시스템, 머신 비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성능과 안정성을 동시에 제공하며, 산업 현장의 까다로운 요구를 충족시켰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