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1.02by 명세환 기자
로옴은 이러한 복잡한 설계환경의 극복을 위해 USBPD 와 무선충전 IC 의 입력 구분 제어가 가능한 충전 제어 IC BD99954 를 출시하였다. 로옴의 배터리 충전 IC BD99954는 기존 두가지 충전 입력을 위해 필요한 트랜지스터 2 PCS, 저항기 4 PCS 를 BD99954 2 PCS 로 대치하였으며, 기존의 충전시스템을 위해 필요하던 FET구동 입력 제어 마이컴이 없이도 충전 전환이 가능하도록 설계 하였다.
2017.12.29by 김지혜 기자
SK텔레콤이 신용카드 크기에 더 가벼워진 휴대용 모바일 라우터 ‘포켓파이Z’를 출시한다. 휴대용 모바일 라우터는 스마트폰 데이터 요금제를 이용하면서 추가로 데이터를여유롭게 쓰고 싶은 이용자로부터 두루 인기를 얻고 있다. 주요 가입 연령층도 20대부터 40대까지 폭넓다. ‘포켓파이Z’는 이용자에 친숙한 스마트폰 디자인을 채용했고, 가로 105mm, 세로 57mm 크기에 76g 무게로 지금까지 출시된 포켓파이 제품 가운데 가장 가볍다. 제품 외관을 보호하는 하드케이스를 기본 구성품으로 제공한다.
2017.12.28by 김지혜 기자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방식을 ‘콤보1’으로 통일화한다. 국제표준(IEC)에는 콤보1, 콤보2, 차데오, GB/T, A.C.3상 5가지 급속 충전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전기자동차 제조사별로 차데모, A.C.3상, 콤보1을 혼용해 사용하고 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국내외 전기자동차 제작사, 충전기 제조사, 충전사업자 드으 이해관계자 협의와 위탁연구를 수행하고 산업표준심의회 심의를 통해 국내는 ‘콤보1’으로 통일하기로 결정했다.
2017.12.28by 김지혜 기자
전자부품연구원(KETI)는 민관합동스마트공장추진단(KOSF)과 티유브이슈드 코리아와 함꼐,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스마트공장 시험/인증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스마트공장은 ‘14년부터 정부가 보급/확산에 공을 들여왔다. 현재 5,000여 개지만, 2022년까지 2만개로 늘릴 계획이다. 현재 특정 공정을 중심으로 생산이력을 추적관리하거나, 부분 자동화에 머무는 수준을, 맞춤형 유연생산이 가능한 고도화된 스마트공장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산업 활성화의 시발점은 시험인증이다. 스마트공장을 구현하는 각종 장비, 네트워크, 에너지, 보안 등 다양한 제품 간의 상호 연동이나 호환성 테스트 결과가, 관련기업이 시장에 순조롭게 진출할 수 있는 출사표로 역할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7.12.28by 김지혜 기자
와디즈는 올 한해 1,700여건 진행된 와디즈 펀딩을 통해 나타난 2017년 대체투자 트렌드를 발표했다. 올 한해 와디즈는 총 1,721건 (리워드형 1,640건, 투자형 81건)의 펀딩을 성사시켜 약 17만 명의 일반투자자들로부터 총 약 280억 원(리워드형 약 130억 원, 투자형 약 150억 원)의 금액을 모집했다. 펀딩 성공 수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투자형 펀딩이 66%, 리워드형 펀딩은 68% 성장한 수치다.
2017.12.28by 김지혜 기자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연말 연시 프로모션을 가장한 피싱 공격으로부터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팁 8가지를 소개했다. 팔로알토 네트웍스가 제안하는 피싱 공격 대응 전략의 8가지 팁은 다음과 같다.
2017.12.28by 김지혜 기자
LG전자가 프리미엄 음질을 앞세운 스피커로 글로벌 오디오 시장을 공략한다. LG전자는 CES 2018에서 사운드바, 포터블 스피커, AI 오디오 등 2018년형 오디오 제품군을 공개한다. 신제품 중 주요모델에는 영국 하이엔드 오디오 브랜드인 메리디안 오디오(Meridian Audio, 이하 메리디안)와 공동 개발한 고음질 음향기술을 적용했다. 이 제품들은 LG전자의 독자적인 오디오 기술에 메리디안의 뛰어난 신호 처리 기술과 고도화된 튜닝 기술이 더해져 최적의 사운드를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2017.12.28by 김지혜 기자
다쏘시스템은 컨설팅 전문 기업 엑센츄어와 협업해 글로벌 종합건설기업 부이그건설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부이그건설은 각 건설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부터 최종단계까지 원활한 중압 집중형 관리를 통해 기업 효율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부이그건설이 앞서 도입한 빌딩 인포메이션 모델링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방법론, 기술 통합 프레임워크, 건설 운영 부문 엔드 투 엔드 효율성 혁신 프로세스의 일환이며, 회사의 산업 운영 부문 확장 및 공급 체인 파트너와의 원활한 협업을 지원한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