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GB 영화 0.16초로 전송’ 10배 빠른 5G용 스위치 개발

    2017.11.30by 김지혜 기자

    LG유플러스는 국산 장비 제조사인 유비쿼스와 기존 LTE장비 보다 46배 이상의 대용량 데이터 트래픽을 10배 빠른 속도로 전송할 수 있는 5G용 장비인 ‘100G(Giga) 스위치’를 국내 최초로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100G 스위치는 5G 무선기지국과 유선 네트워크간 데이터 트래픽을 전달해주는 장비로, 한번에 3.6Tb(테라비트, Terabit)의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패킷 하나를 0.12ms만에 전달할 수 있어 2GB 영화 한편 분량의 트래픽을 0.16초만에 전송 가능하다. 이번에 개발한 스위치는 현재 LTE네트워크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존 스위치 보다 46배 많은 데이터를 10배 빨리 처리하면서도 장비 크기와 소비전력은 기존 장비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

  • 레노버, X86서버 벤치마크 신기록 달성

    2017.11.30by 김지혜 기자

    레노버는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에 기반한 레노버의 X86 서버가 46개의 새로운 벤치마크 신기록을 달성하였다고 밝혔다. 이로써 레노버는 다양한 벤치마크 부문에서 총 88개의 신기록을 보유하게 되면서 계속해서 데이터센터의 성능 혁신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레노버는 데이터센터의 성능, 보안, 안정성 등을 극대화하기 위해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 기반의 서버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하였다. 이와 함께 이번에 실시한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 벤치마크 테스트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데이터 관리, 자바(Java) 성능 분석 등 모든 워크로드를 포괄한다. 이번 테스트에서 레노버는 동일한 벤치마크 테스트를 진행한 다른 기업과 두 배 이상 차이 나는 수치를 기록하였다. 특히, 레노버는 씽크시스템(..

  • 가민, 클래식 워치 장점 더한 하이브리드 스마트워치 출시

    2017.11.30by 김지혜 기자

    가민은 스마트워치와 클래식 워치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스마트워치 ‘비보무브 HR(vivomove HR)’을 출시했다. 비보무브 HR은 기존 ‘비보무브’ 시리즈의 아날로그 감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클래식한 스타일과 우아한 감성을 더해 디자인 측면에서 완벽한 개선을 이뤘다. 뿐만 아니라, 시계로서의 스타일에 좀 더 중점을 뒀던 전 세대 비보무브 대비 각종 스마트 기능이 대거 추가되어 일상생활을 위한 스마트워치로도 손색이 없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비보무브 HR은 손목 심박수 및 스트레스 지수 측정을 비롯해 유산소 운동 성과의 지표가 되는 최대산소섭취량(VO2 Max), 체력 연령 등의 고급 피트니스 모니터링 기능을 대거 탑재했다.

  • 화웨이, 연말까지 전국에 서비스센터 67개로 확대

    2017.11.30by 김지혜 기자

    화웨이 컨슈머 비즈니스 그룹이 전국의 서비스센터를 올해 말까지 총 67개점으로 확대한다. 이로써 직영 서비스센터 1곳을 포함 국내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다각화해 국내 고객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보다 강화할 예정이다. 화웨이 서비스센터는 현재 ▲서울 지역 내 무료 퀵서비스 ▲전국 1만여 곳의 GS25 편의점 무료 배송 ▲1:1 카카오톡 상담서비스(@화웨이코리아디바이스) ▲핫라인상담서비스(080-808-8888)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배송수리 서비스의 경우, 고객이 서비스센터에 직접 방문할 필요 없이 포스트 박스(post box)가 설치된 전국의 GS25 편의점에서 직접 수리 접수하고, 수리 후에는 원하는 배송지로 무료 배송을 지원하는데, 서울 지역일 경우 퀵서비스까지 이용 가능하다.

  • 슈나이더 일렉트릭, 일렉트릭 쿨링 솔루션 공개

    2017.11.30by 김지혜 기자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쿨링 솔루션인 에코플레어 인다이렉트 에어 이코노마이저(Ecoflair Indirect Air Economizer)를 공개했다. 이 솔루션은 기존의 냉수식, 냉매 기술에 비해 데이터 센터의 쿨링 비용을 60%까지 절감해준다. Ecoflair는 옥상 또는 지상에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쿨링 장치를 데이터센터 내부에서 시설 외부로 옮길 수 있게 함으로써 IT 장비를 위한 여유 공간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Ecoflair는 250kW, 500kW의 두가지 모듈로 제공되며 유연한 설계가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 KT-이지스, AI기반 영상보안과 에너지 빌딩통합관리 협력

    2017.11.30by 김지혜 기자

    KT는 서울 광화문 KT사옥에서 KT estate, 이지스자산운용, 코어밸류와 함께 전국 70여 이지스 운용/관리 빌딩에 ‘인공지능(AI)기반 영상보안 및 에너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지스는 국내 70여개, 해외 23개 빌딩의 매입/운용/매각을 관리하며 세계 부동산 시장에서 급부상 중인 국내 1위 자산운용사다. 이번 협약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고 있는 KT가 부동산 전문기업들과 ICT 기술을 접목한 미래형 스마트 빌딩을 구현해 부동산 시장의 판을 바꾸기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KT는 이지스가 운영/관리하는 국내 26개 빌딩에 지능형 건물에너지 절감 서비스 ‘기가 에너지 매니저(GiGA energy manager)’를 적용 완료했다. 또한 26개 빌딩 중 서울 명동의 ..

  • 튠, 모바일 앱 광고 부정행위 시스템 해결 위해 구글과 협력

    2017.11.30by 김지혜 기자

    튠이 클릭 주입(click injection)이라고 알려진 모바일 앱 광고 부정행위를 안드로이드 시스템상에서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구글과 협력한다고 밝혔다. 클릭 주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봇이나 멀웨어가 실제 앱 설치에 대한 광고 기여도 인정과 이에 대한 마케팅 비용을 훔치는 것으로, 사용자가 앱을 내려받은 후 앱을 최초로 여는 과정에서 봇이나 악성코드가 가짜 광고 클릭을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2017년 전 세계의 모든 유료 미디어 광고 중 1390억 달러가 모바일 앱 설치 광고에 투자될 것으로 미국의 경우 총 75억 달러가 모바일 앱 설치 광고를 위해 투자될 것으로 예상된다. 튠은 클릭 주입이 모든 모바일 앱 설치 부정행위의 30~4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전..

  • 라임라이트 네트웍스, ‘클라우드 보안 강화 방안’ 세미나 개최

    2017.11.30by 김지혜 기자

    라임라이트 네트웍스기업 및 공공 기관의 CxO 및 주요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한 ‘클라우드 보안 강화 방안’ 세미나를 개최하고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반의 지능형 공격 탐지 및 예측으로 오탐률을 최소화하는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 및 ‘디도스 방어 솔루션’을 소개했다고 밝혔다. 라임라이트 네트웍스 코리아는 11월 28일(화)에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 5층 메이플룸에서 기업 및 공공 기관의 CxO 및 주요 관리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성공적인 디지털 비즈니스혁신을 위한 클라우드 보안 정복하기’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현재 기업들은 비즈니스 혁신을 위해 클라우드를 도입하고 있지만 이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보안 강화가 필수적이다. 이에 빠르게 위협 요소를 탐지하고 파악할 수 있는 넓..

  • Arm “IoT 디바이스 보안과 데이터 관리 게이트웨이 솔루션으로 한다”

    2017.11.29by 김지혜 기자

    사물인터넷(IoT)의 확산으로 커넥티드 디바이스의 보안에 대한 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다. IoT는 통합된 규격이 없어 관리가 어렵다. 연결이 끊어지거나 해킹될 위험성도 있다. 이런 네트워크 연결과 보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ARM은 범용 산업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ARM은 2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에서 ‘ARM 테크 심포지아 2017’을 개최하고 IoT 게이트웨이를 통해 디바이스를 탑재, 제어, 관리 할 수 있는 Mbed Cloud의 기능을 확장했다고 밝혔다. ARM 클라이언트 컴퓨팅 사업부 난단 나얌팔리 사업부장은 “지난 2년동안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를 해킹하거나 보안카메라를 해킹하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며 “이제 IoT 설계에 있어 보안은 선택이 아니라 의무”라고 강조..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