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chip _ Nov 25
  • "데이터 기반한 진보된 매칭 기술로 일자리가 인재 찾아낼 것"

    2017.07.20by 신윤오 기자

    "미래에는 진보한 IT 환경과 인공지능를 바탕으로 기계와 인간 간에 좀 더 긴밀하고 몰입적인 관계가 형성될 것이다."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 회장 겸 CEO 마이클 델)가 발표한 ‘2030년, 인간과 기계의 파트너십(Realizing 2030, The Next Era of Human-Machine Partnerships)’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에는 모든 기업과 공공기관이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기술주도형 조직으로 탈바꿈할 것이며, 인간은 AI 등 각종 기술을 조율하고 관장하는 ‘디지털 오케스트라의 지휘자(Digital Conductors)’로 변모할 전망이다. 또한 데이터에 기반한 진보된 매칭 기술로 사람이 일자리를 찾는 것이 아니라, 일자리가 인재를 찾아낼 것이며, 사..

  • ETRI, 이제 달리는 지하철에서 동영상 막힘없이 본다

    2017.07.20by 김지혜 기자

    ?이제 달리는 지하철에서도 빠른 속도로 최대 550여명이 동영상을 볼 수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지난달 29일, 서울교통공사와 함께 서울지하철 8호선에서 모바일 핫스팟 네트워크(MHN) 기술을 활용해 최대 1.25Gbps 속도의 데이터 전송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와이파이 방식으로 사용되던 와이브로 기반보다 약 100배 빠르고 LTE 기반보다 30배 빠르다.

  • NI, 무선 디바이스 테스트 위한 시스템 업데이트

    2017.07.20by 김지혜 기자

    내쇼날인스트루먼트(NI)는 무선 디바이스의 다중 사이트 자동화 테스트를 위한 NI의 솔루션인 무선 테스트 시스템(WTS)을 업데이트했다고 발표했다. WTS의 최신 버전 1.3에는 IEEE 802.11ax 표준안(초안 1.1)에 기반한 새로운 연결 디바이스의 효율적인 병렬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DUT(Device Under Test) 제어 기능과 함께 8x8 다중 채널 설정 및 사용자 정의 802.11ax 테스트 단계의 지원이 포함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WTS 1.3 버전은 블루투스 5(Bluetooth 5)와 Zigbee 및 Z-Wave와 같은 저전력 사물 인터넷(IoT) 표준의 병렬 테스트를 개선한다. 새로운 802.11ax 표준안에는 복잡한 환경에서 사용자별로 더 높은 평균 데이터 스..

  • 뒤처진 국내 드론 산업, 세계 5위까지 끌어올릴 방법은

    2017.07.20by 김지혜 기자

    지난 18일, 드론 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지원 근거 마련의 일환으로 항공안전법과 항공사업법의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이로 인해 그동안 금지됐던 드론의 상용 목적 야간 시간대 및 가시거리 밖 비행이 가능해진다. 올해 전세계 드론 시장 규모가 60억 달러(약 6조 8천697억원)에 달하고, 2020년까지 112억 달러(약 12조 8천 288억원)이상의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가운데 중국은 소형 드론 시장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비해 국내의 드론 산업화는 뒤쳐지고 있는 상황이다. 국토교통부는 한국교통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함께 ‘드론산업발전기본계획’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해 공청회를 개최했다.

  • 노르딕, 블루투스 메쉬 개발 손쉽게 해주는 SW 개발킷 발표

    2017.07.19by 김자영 기자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엔지니어들이 블루투스 메쉬를 개발할 수 있도록 ‘메쉬용 nRF5 SDK(nRF5 SDK for Mesh)’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SDK는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가 블루투스 메쉬 1.0을 공식 채택한 것과 동시에 발표되었다. 메쉬용 nRF5 SDK는 노르딕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노르딕의 첫 번째 블루투스 메쉬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을 포함하고 있다. SDK는 nRF51 및 nRF52 시리즈 SoC를 비롯해 S110, S130, S132 및 블루투스 4.0-호환 SoftDevices(노르딕의 블루투스 저에너지 스택)와 호환된다. 이미 노르딕의 nRF52 개발 키트를 보유하고 있는 개발자들은 메쉬용 nRF5 SDK를 이용해 블루투스 메쉬 ..

  • 실리콘랩스, IoT 제품 출시 앞당기는 블루투스 메시 솔루션 출시

    2017.07.19by 김자영 기자

    실리콘랩스는 개발자가 사물인터넷 용 메시 네트워크 디바이스 설계를 간소화하고 시장 진입 시간을 앞당길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블루투스 메시 규격의 포괄적인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스위트를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블루투스 메시 솔루션은 실리콘랩스의 검증된 메시 네트워킹 전문성을 기반으로, 실리콘랩스의 무선 SoC 디바이스와 인증된 모듈을 지원하는 개발 툴, 소프트웨어 스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실리콘랩스의 특허 받은 네트워크 분석 툴과 스마트폰용 블루투스 메시 스택의 조합을 통해, IoT 개발자들은 기존 무선 개발 툴 및 기술을 이용할 때보다 최대 6개월까지 제품 출시 기간을 앞당길 수 있게 되었다.

  • LG전자,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날' 개최

    2017.07.19by 김자영 기자

    LG전자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최신 기술과 개발 노하우를 공유했다. LG전자는 19일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서초R&D캠퍼스에서 ‘2017 LG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날(SEED: Software Engineers’ Energizing Day)’ 행사를 열었다. 이번 행사에는 CTO(Chief Technology Officer; 최고기술책임자)부문 및 각 사업본부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500여 명이 참석했다.

  • 테스콤, 국내 전자 계측기 베트남 시장 진출한다

    2017.07.19by 김자영 기자

    누비콤은 10일 테스콤과 대리점 계약 체결을 맺고, 베트남 현지 법인을 통해 테스콤이 생산하는 전자계측기들을 독자 수출하게 되었다. 테스콤이 베트남 진출을 위해 누비콤을 선택한 이유는 세계적 전자계측기 제조업체가 베트남에 직접 진출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누비콤이 보여 온 행보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

  • [Tech tip!] 유선 센서를 무선으로 바꾸는 손쉬운 방법

    2017.07.19by 김지혜 기자

    건물 자동화를 위해서는 주변 환경 요인 변화에 신경써야 한다.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센서를 사용하는데 센서를 추가하게 되면 전력과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방대한 케이블과 배선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무선 센서가 탑재된 사물인터넷(IoT) 기기는 이러한 배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여전히 배선이 필요하며, 주변광 센서와 도어와 윈도우 센서가 그 경우다. 기존의 유선 애플리케이션을 무선으로 구현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상업용 건물에 사용되는 주변광 센서는 특정 공간의 빛의 세기를 감지하여 일정한 작업 공간에서 전체 주변광의 균형을 맞춘다. 일반적으로 광 센서는 센서로 제어되는 조명에 선으로 연결된다. 무선 솔루션을 구현하려면 조명을 무선 커넥티비티를 통해..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