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14by 편집부
키사(Keyssa)가 혁신적인 ‘키스 커넥티비티(Kiss Connectivity)’ 기술이 레노버가 최근 공개한 새로운 ‘모토 Z(Moto Z)’ 및 ‘모토 Z 포스(Moto Z Force)’ 스마트폰에 탑재됐다고 발표했다. ?‘키스 커넥티비티’는 기계식 커넥터없이 최고 6Gbps의 고속으로 기기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혁신적인 저전력 비접촉식 기술이다. 레노버는 키사의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폰을 완벽한 PC로 전환할 수 있다.
2016.06.14by 편집부
마이크론 MX200의 후속 제품인 마이크론 MX300이 드디어 그 모습을 드러냈다. 단일용량이자 단일 품목으로는 최고의 사양을 지닌 마이크론 MX300은 현존하는 SSD 제품 가운데 프리미엄이라는 수식어가 가장 잘 어울릴만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에 마이크론 크루셜(Crucial) SSD의 공식 한국 유통사인 대원CTS(대표이사 정명천, http://www.dwcts.co.kr)가 14일, 마이크론 SSD의 명성을 이어갈 차기 모델 마이크론 크루셜 MX300(이하 마이크론 MX300)을 정식 론칭한다고 밝혔다.
2016.06.14by 편집부
안리쓰는 자사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eCall 적합성 테스트 항목의 98%에 달하는 커버리지(EN16454으로 정의)를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새로운 버전의 eCall tester는 높은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고 안정적인 eCall 모듈의 개발 및 생산을 도울 수 있을 예정이다. eCall은 EU 위원회 프로젝트로 자동차 사고 피해자를 위한 신속한 응급 지원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사고 발생 시 IVS(차량 내 시스템)가 충돌을 감지하고 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공공 안전 응답 포인트)로 자동 또는 수동 응급 통화를 실시하여 사고 위치, 현재 시간, 차량 내 탑승자 수, 차량 모델 등에 대한 정보를 MSD(Minimum Set of ..
2016.06.14by 편집부
키사이트코리아(대표이사 사장 윤덕권)는 키사이트코리아 서비스 센터가 KOLAS 교정연구소로 인정받게 되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키사이트코리아 서비스 센터가 현장에서의 KOLAS 교정능력을 포함해, 고품질의 KOLAS 교정 서비스 업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2016.06.14by 편집부
내쇼날인스트루먼트(ni.com/korea, 이하 NI)는 아시아 지역의 랩뷰(LabVIEW) 챔피언을 선정하기 위해 랩뷰(LabVIEW) 코딩 컨테스트를 6월 14일부터 개최한다고 밝혔다. 랩뷰(LabVIEW)를 사용하는 엔지니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한 본 컨테스트는 한국, 중국, 대만에서 동시 개최된다. 최종 우승자에게는 전세계 약 3,200명의 엔지니어와 과학자들이 참가하는 축제인 미국 NIWEEK 2017 컨퍼런스 참가권(항공권, 숙박비, 참가비)이 제공된다.
2016.06.14by 편집부
텔릿(대표 데릭 상)은 13일 한국 법인 설립 10주년 맞아 글로벌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국내 중소 기술업체들과 공유하고, 통신 사업자들과의 협력을 확대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 인터넷이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전략 투자를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로 한국 지사 설립 10주년을 맞이한 텔릿은 아태지역 본사로서 중국, 일본, 인도, 호주, 대만, 동남아시아 지역의 영업 및 마케팅을 총괄하고 있으며, 국내 직원은 설립 초기 25명에서 현재 130여명으로 확대됐다.
2016.06.14by 편집부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설계자들이 휴대전화용 무선 시스템(cellular radio systems)에서 하드웨어 크기를 줄이고 바이어스 전력 소비량 (bias power consumption)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전력(최대 44W) SPDT(single-pole double-throw) 실리콘 스위치를 발표했다.
2016.06.14by 신윤오 기자
바야흐로 웨어러블 기기의 전성시대입니다. 웨어러블(Wearable)이라는 단어도 익숙합니다. IT기기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스마트워치를 한번쯤 갖고 싶어합니다. IT 관련 전시회에 가보면 전시된 스마트워치를 손목에 차보고 요리조리 조작하느라 바쁩니다. 스마트밴드를 하고 다니는 사람도 심심치 않게 보게 됩니다. 웨어러블 스마트기기는 이제 더 이상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진행형의 활동적인 트렌드가 되었습니다.
2016.06.14by 김수지 기자
한국IDC(대표 홍유숙)가 최근 발간한 ‘국내 기업용 모바일 보안 소프트웨어 전망 보고서 2016-2020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기업용 모바일 보안 소프트웨어 시장은 약 140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또한 이 시장은 향후 5년간 연평균 12.2%로 성장해 오는 2020년 250억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스마트워크 환경이 보편화 됨에 따라 기업들이 보다 강력한 보안 정책을 바탕으로 전사적 모바일 업무 지원을 위한 다양한 모바일 보안 솔루션을 검토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PC, 스마트폰, 태블릿은 물론 최근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까지 연결되어 스마트 기기의 통제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관리해야 할 영역도 커지고 있는 상황인 만큼 전사적 차원의 디바이스 관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