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우저, 2024년 2Q 1만개 이상 신제품 추가 공급

    2024.07.18by 배종인 기자

    글로벌 공인 유통기업인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가 2024년 2분기에 즉시 선적이 가능한 1만개 이상의 제품을 추가로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5월에만 5,000개 이상의 제품을 추가하며, 고객이 설계에서 공급망에 이르기까지 제품 출시 기간을 단축하고 경쟁 우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왔다.

  • 에프앤에스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양산 수출

    2024.07.18by 배종인 기자

    고성능 반도체 유리기판 제조 기업 에프앤에스전자(FNS전자, 대표 최병철, 신재호)가 반도체 유리기판 양산 후 앱솔릭스(Absolics)에 수출하며, 유리기판 글로벌 선도에 본격 나섰다.

  • [권신혁의 혁신포커스] 국내 주요 EMC 연구실 탐구...4랩 4색 특성 확연

    2024.07.18by 권신혁 기자

    모든 전자제품의 주요 기반 기술로 EMI/EMC가 필수이며, 최근 자동차의 전동화와 각종 IT 디바이스의 소형화, 5G·6G 통신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등으로 전자파 환경에서의 노이즈가 증가하면서 EMI/EMC 필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 SKT, ‘불법 드론 대응’ 통신·AI 통합 모듈 개발

    2024.07.18by 김예지 기자

    SKT가 원자력발전소나 공항 등 국가 주요 기반시설을 위협하는 불법 드론 지능형 대응 시스템을 위한 통신·AI 통합 모듈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현재 SKT는 시제품 제작 및 검증을 끝내고 체계 종합 실증을 위한 연동시험을 진행 중이다. SKT는 19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리는 ‘무인이동체 산업엑스포 2024’ 다부처지원 R&D 성과 전시관에 시제품 모듈을 전시한다.

  • 세일포인트, ‘세일포인트 커넥티비티’ 발표...아이덴티티 보안 제품군 연결성 강화

    2024.07.18by 김예지 기자

    세일포인트 테크놀로지가 자사 아이덴티티 보안 플랫폼‘아틀라스(Atlas)에‘세일포인트 커넥티비티(SailPoint Connectivity)’ 기능의 대대적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이를 통해 아이덴티티 보안 시스템과 핵심 애플리케이션의 연결, 확장 및 통합을 돕는다.

  • ETRI, AI CCTV로 ‘마이너리티 리포트’ 실현 첫 발

    2024.07.18by 배종인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CCTV 영상, 범죄통계정보, 측위정보 등을 분석해 범죄징후를 사전에 감지하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자뷰(Dejaview)’ 기술 개발을 완료했다.

  • 초고속 양자 컴퓨터 핵심 기술 성공

    2024.07.18by 배종인 기자

    UNIST(총장 박종래) 물리학과 손창희 교수와 강원대학교(총장 정재연) 반도체 물리학과 김흥식 교수 공동연구팀은 코발트 기반 벌집구조 산화물에서 양자 요동을 증가시키는 데 성공했다. 양자 스핀 액체 구현 가능성을 세계 최초로 확인한 것이다.

  • KETI, 도전재 바꿔 전고체전지 고출력 성공

    2024.07.18by 배종인 기자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원장 신희동)이 전고체전지의 양극 내 활물질 함량 증가 시 발생하는 전극 특성 저하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해결하는 도전재 제어 기술을 개발했다.

  • AI 개발 ‘공개 데이터’ 사용시, 정당성·필요성·이익형량 세 요건 충족해야

    2024.07.18by 배종인 기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는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수적인 공개 데이터가 현행 개인정보 규율체계 내에서 적법하고 안전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 개발·서비스를 위한 공개된 개인정보 처리 안내서’를 마련해 공개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