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 4F² VG 플랫폼·3D D램으로 한계 돌파

    2025.06.10by 배종인 기자

    SK하이닉스(대표이사 곽노정) 차선용 미래기술연구원장(CTO)이 일본 교토에서 열린 IEEE VLSI 심포지엄 2025에서 차세대 D램 기술 로드맵을 공식 발표하며 미래 반도체 기술 혁신 방향성을 제시했다.

  • 한자연, 자율주행·차량용 반도체 전주기 지원 거점 마련

    2025.06.09by 배종인 기자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이 자율주행차와 차량용 반도체 산업의 기술 자립 및 전주기 지원 거점 마련을 위해 충남 아산시 배방읍 KTX 천안아산역 인근 부지에서 ‘자율주행·차량용 반도체 종합지원센터’를 착공했다.

  • 마우저, 아두이노 ‘포르텐타 프로토 키트 VE’ 공급

    2025.06.09by 배종인 기자

    글로벌 공인 전자부품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가 아두이노(Arduino)사의 첨단 프로토타이핑 솔루션 ‘포르텐타 프로토 키트 VE(Portenta Proto Kit VE)’를 국내에 단독 공급하며, 전자부품 및 산업 자동화 시장에서 제품 개발 속도를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두이노 #포르텐타프로토키트VE #산업자동화 #환경감지 #머신비전 #IoT프로토타이핑

  • 마우저, 로보틱스 혁신 위한 온라인 리소스 센터 개설

    2025.06.09by 배종인 기자

    최신 전자부품 및 산업 자동화 제품의 글로벌 공인 유통기업인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가 엔지니어와 개발자를 위한 포괄적인 온라인 로보틱스 리소스 센터를 공식 오픈하고, 전 세계 고객들이 로보틱스의 혁신적인 기술 정보를 신속하게 습득하도록 지원한다.

  • 한국레노버, 한화이글스와 마케팅 파트너십…‘레노버 브랜드데이’ 대전서 성황리 개최

    2025.06.09by 배종인 기자

    한국레노버가 프로야구 구단 한화이글스와 공식 마케팅 파트너십을 체결한 가운데, 지난 5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레노버 브랜드데이’ 행사를 성황리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레노버의 최신 혁신 기술과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야구를 사랑하는 관람객들과의 활발한 소통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크게 높였다.

  • 열전발전 산업화 한 획, 평가 기준부터 실증까지 절차 확립

    2025.06.09by 배종인 기자

    산업 현장의 고온가스 배출 환경을 실제로 재현한 국내 유일의 테스트베드를 활용해, 한국전기연구원(KERI)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박수동 박사팀이 산업부의 지원을 받아, 국내 기업들이 자체 개발·보유한 열전발전 소자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기준 체계를 확립하고, 이에 필요한 기초 엔지니어링 데이터를 마련하는 데 성공했다.

  • 구글 클라우드, 클라우드 WAN으로 국내외 AI 전환 가속화 지원

    2025.06.09by 배종인 기자

    구글 클라우드가 LG CNS와 손잡고 ‘클라우드 WAN’을 활용해 LG 그룹 계열사와 LG CNS 엔터프라이즈 고객들의 AI 트랜스포메이션(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 바이코, 초소형 액티브 서스펜션 전력모듈로 중급 차량 적용 문 열었다

    2025.06.09by 배종인 기자

    혁신적인 고밀도 전력 모듈을 제공하는 바이코(Vicor)가 800V 고전압을 48V로 변환하는 고정 비율 DC-DC 컨버터 모듈(BCM6135)을 소형 액티브 서스펜션 시스템의 핵심 부품으로 공급하며, 기존 고급 차량에만 국한됐던 액티브 서스펜션 기능을 중급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해, 주행 안전성 및 승차감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 [배종인의 모빌리티 그랑프리] SDV 개발 도구 선택 기준, ‘통합·확장’

    2025.06.09by 배종인 기자

    자율주행, 커넥티드카, 안전 및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차량 내 다양한 기능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개발, 검증, 관리할 수 있는 SDV(Software Defined Vehicle) 개발 도구(SDK, Software Development Kit)의 중요성이 커지며, SDV 개발도구 선택시 △통합 환경 제공 △표준 준수 및 호환성 △OTA 업데이트 및 실시간 검증 △확장성과 사용자 맞춤형 기능 등 개발 환경에 적합한 요건들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