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by 배종인 기자
글로벌 반도체 전문기업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첨단 메타표면 광학 기술의 선두주자인 메타렌즈(Metalenz)와 새로운 기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며 광학 및 센싱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2025.07.22by 배종인 기자
텔레다인 르크로이(Teledyne Lecroy)는 지난 7월7일부터 10일까지 평창 알펜시아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25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에 참가해 DC 노이즈 리플 측정, 모터 드라이버 분석, 더블 펄스 테스트를 위한 고정밀 파워 솔루션 3종을 소개했다. 이 제품들은 고전압 환경에서도 낮은 신호의 선명한 측정이 가능하고, 왜곡 없이 순수한 DC 성분과 본래의 노이즈만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2025.07.22by 배종인 기자
한국내쇼날인스트루먼트(National Instruments, NI)의 국내 총판대리점인 누비콤(Nubicom)은 지난 7월7일부터 10일까지 평창 알펜시아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25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에 참가해 CDEC 시스템 및 시스템링크(SystemLink) 플랫폼 기반 고정밀·실시간 전력 모니터링 솔루션을 공개했다.
2025.07.22by 배종인 기자
글로벌 테스트 및 측정 장비 전문 기업 텍트로닉스(Tektronix)가 ‘2025 전력전자학술대회’에 참가해 차세대 전력전자 시스템 검증을 위한 첨단 솔루션을 선보이며 큰 주목을 받았다. 특히 전력반도체, 모터 제어, 태양광 인버터, 전력 관리 IC(PMIC)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텍트로닉스 솔루션의 우수성을 강조하며 업계 관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2025.07.21by 배종인 기자
권진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온디바이스 AI 연구본부 연구원은 지난 16일 한국컨퍼런스센터 대강당에서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회장 이창열, 이하 KESSIA) 주최로 개최된 ‘2025 임베디드 AI 트렌드 포럼’에서 ‘사족로봇 가이드독 사례로 살펴보는 온디바이스AI 최적화 기술’에 대해 발표하며, 로봇과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융합한 피지컬 AI 기술의 실제 사례에 대해 발표했다.
2025.07.21by 배종인 기자
이해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AI 정책연구실 선임연구원은 지난 16일 한국컨퍼런스센터 대강당에서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회장 이창열, 이하 KESSIA) 주최로 개최된 ‘2025 임베디드 AI 트렌드 포럼’에서 ‘Physical AI 개발 동향 및 관련 정책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하며, 피지컬 AI는 산업 경쟁력과 국가 안전을 좌우하는 차세대 기술로 선제적 대처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2025.07.21by 배종인 기자
글로벌 계측 및 자동화 전문기업 NI(National Instruments)와 국내 총판 대리점 누비콤이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학장 이동주)과 산학연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MOU를 통해 △공동연구 기반 조성 및 성과 공유 △인적 교류를 통한 전문인력 양성 △산업기술의 확산 및 실습 환경 강화를 진행하기로 했다. 또한 NI는 공주대에 약 28억원 상당의 LabVIEW 아카데믹 볼륨 라이센스(100copy, 2년 구독)를 무상 제공하고, 향후 하드웨어 구매 시 할인 혜택도 협의할 계획이다.
2025.07.18by 배종인 기자
ADALM2000 교육용 키트를 활용한 콜피츠 오실레이터 실습에 대해 아나로그디바이스(Analog Devices, Inc.)의 안토니우 미클라우스(Antoniu Miclaus)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가 이야기 한다.
2025.07.18by 배종인 기자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회장 이창열, 이하 KESSIA)는 16일 한국컨퍼런스센터 대강당에서 ‘Physical AI 기반 지능형 로봇 및 모빌리티 최신 임베디드 기술 동향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인사말을 맡은 이창열 KESSIA 회장(MDS테크 대표이사)은 “임베디드 산업은 AI 기술과 물리적 시스템 융합이라는 거대한 전환점을 앞두고 있다. 급변하는 산업 환경 속 AI 기술이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고, 미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가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