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잘 휘는 ‘유기반도체’ 실적용 가능성 열렸다

    2022.08.30by 배종인 기자

    가볍고 잘 휘어지는 ‘유기 반도체’를 실제 반도체 소자에 응용할 가능성이 열렸다. 실리콘 같은 ‘무기 반도체’에 못 미치던 성능을 보완한 새로운 ‘2차원 유기 반도체 소재’가 합성된 덕분이다.

  • LG 씽큐, 국내 IoT 제품 연동 확장

    2022.08.30by 김예지 기자

    LG전자가 애플 홈킷, 아카라에 이어 국내 IoT 브랜드 헤이홈(Hejhome)의 다양한 기기를 LG 씽큐 앱과 연동해 편리한 고객 경험을 제공한다.

  • 정밀지도 시장, 2025년 4,153억

    2022.08.29by 성유창 기자

    2019년 796억원에 불과했던 국내 정밀지도 시장규모가 2025년 4,153억원으로 전망되며 연평균성장률 31.7%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 산업부, “美 반도체 지원법 업계 부담 최소화 노력”

    2022.08.29by 배종인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미국 반도체 지원법으로 인한 ‘가드레일’ 조항에 따른 우리나라 반도체 업계 부담이 최소화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인텔, 플렉스 GPU 지능형 비주얼 클라우드 요구사항 충족

    2022.08.29by 배종인 기자

    인텔이 최대 5배 높은 미디어 트랜스코드 처리 성능 및 최대 68개의 클라우드 게임 동시 스트림이 지원 가능한 데이터센터용 GPU를 선보였다.

  • 수소차 셀프 충전 등 수소산업분야 19개 규제 개선

    2022.08.29by 성유창 기자

    운전자 편의성 및 수소충전소 운영 경쟁력 확대를 위한 수소차 셀프충전 필요성이 제기되어 산업부가 본격적으로 규제 개선에 나섰다.

  • 전기연, 대용량 리튬금속전지 상용화 ‘한걸음’

    2022.08.29by 배종인 기자

    한국전기연구원(KERI, 원장 직무대행 김남균) 김병곤 박사팀이 대용량 리튬금속전기의 출력, 안정성을 높이고, 상용화 가능성을 열었다.

  • 크레스프리, AI 도시 안전 서비스 공개

    2022.08.29by 김예지 기자

    크레스프리가 ‘월드 스마트 시티 엑스포(WSCE) 2022’에서 CCTV 비전 AI 도시 안전 서비스를 선보여 시민의 안전을 보장한다.

  • 마이크론, 차세대 DDR5 서버용 D램 출시

    2022.08.29by 권신혁 기자

    D램 세대교체가 본격화되고 있다. 국내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DDR5 D램을 생산하며 차세대 시장 선점에 나선 가운데 강력한 경쟁자인 마이크론이 차세대 서버용 D램을 DDR5 규격으로 출시하며 기술력을 과시했다. DDR5는 전세대인 DDR4 대비 △더 큰 대역폭과 빠른 전송속도 △낮은 소비 전력 △최대 용량 증가 등의 장점을 가져 시장의 주목을 받는 차세대 D램 규격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