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19by 권신혁 기자
“반도체 계약학과는 최후의 수단이어야 한다. 다양한 전공 아우르는 반도체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 반도체 산업에 필요한 인력 양성을 위해 각계각층의 전문가들이 모여 머리를 맞댔다. 팹리스 생태계 인력에서부터 소부장, 패키징, 지역균형 발전 등 다양한 아젠다가 거론되며 반도체 생태계의 기반이 되는 인재 육성 정책 실현에 한마음 한 뜻으로 동참했다.
2022.07.19by 배종인 기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자사의 차량용 MCU인 스텔라 제품군이 다수의 ECU 통합과 높은 컴퓨팅 능력으로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에 최적합하다며 현재 가장 높은 수준의 샘플 제공이 가능하고, 차량 테스트도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2022.07.19by 김예지 기자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는 엔지니어들이 저속 오토모티브 직렬 버스 프로토콜을 검증 및 디버깅하고, CAN/CAN FD(Flexible Data Rate) 및 CAN XL(Controller Area Network eXtra Long)을 포함한 시스템의 개발과 문제 해결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CAN XL과 관련된 오실로스코프 기반 오토모티브 프로토콜 트리거·디코드 솔루션(D9010AUTP)을 발표했다.
2022.07.19by 배종인 기자
삼성전자 비스포크 제트 봇 AI에 미니언즈2 인기 캐릭터가 적용돼 개봉을 앞둔 미니언즈2와 비스포크 제트 봇 AI간 마케팅에 있어 시너지 향상이 기대된다.
2022.07.19by 권신혁 기자
공급망 안정을 포함한 경제안보가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른 가운데 EU와 미국의 반도체 지원법 등 각국이 핵심 산업에 대한 현금 지원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정부 당국도 국가전략기술 분야에서 외국인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현금 지원책 강화를 밝혀 외국계 기업 유치에 힘을 싣는 모습이다.
2022.07.19by 강정규 기자
우리나라가 5G, 클라우드 컴퓨팅, 양자암호통신기술 등 5건에서 제안한 국제표준안이 채택되고, 연구반 의장단을 총 11석 확보하는 등 미래 네트워크 분야에서 국제표준화를 선도하고 있다.
2022.07.19by 강정규 기자
정부가 우주경제 시대 우리나라 위성항법시스템 개발을 위해 2035년까지 총 3조7,235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한다.
2022.07.19by 배종인 기자
한국레노버(대표 김윤호)가 여름방학 홈러닝을 겨냥해 엔트리급 모델부터 고사양 고성능 모델까지 다양한 ‘아이디어패드’ 신제품을 선보였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