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크로칩, 극한환경 칩 스케일 원자시계 SA65 발표

    2021.08.19by 강정규 기자

    군용 플랫폼, 해저 측량 시스템 및 원격 감지 애플리케이션은 성공적인 임무 수행을 위해 정밀 타이밍을 요구한다. 칩 스케일 원자시계는 GNSS 없이도 안정적이고 정확한 타이밍을 보장한다. 마이크로칩은 극한환경용 ‘SA65’를 출시했다. 환경 내구성을 높인 임베디드 타이밍 솔루션으로, 이전 세대 ‘SA.45s’ 대비 온도 범위가 넓고 주파수 안정성이 높으며, 낮은 온도에서 예열이 33% 더 빠르다.

  • ​[차이나 브리핑] 바이두, 자동차 로봇 콘셉트카 공개

    2021.08.19by 이춘영 외신

    e4ds 뉴스 중화권 ICT 소식 정리 - 2021년 8월 19일 [차이나 브리핑] : ◇바이두, 자동차 로봇 ‘아폴로’ 콘셉트 발표 ◇애플, 팬데믹 상황 때문에 중국에서 에어팟 3 양산 계획 ◇바이두, 자체 개발한 7nm AI 칩 ‘쿤룬 2’ 양산 시작 ◇상하이시 정부, CATL 신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 등

  • 맥심, AI 컴퓨팅 위한 다중 위상 전력 칩셋 2종 출시

    2021.08.19by 강정규 기자

    초대형 데이터센터 설계자들은 급증하는 AI 애플리케이션과 딥러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자 피크 전력 및 발열 증가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고심하고 있다. 맥심 인터그레이티드는 고성능 고출력 AI 시스템 설계자가 전력 비용과 발열을 줄인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도록 MAX16602 AI 코어 듀얼 출력 전압 레귤레이터와 MAX20790 스마트 파워 스테이지 IC를 출시했다.

  • LG전자, 100m 거리 "6G THz" 통신 신호 전송 성공

    2021.08.19by 이수민 기자

    2029년 상용화가 예상되는 6G 이동통신은 5G 대비 더 빠른 무선 전송속도, 저지연, 고신뢰 통신 지원이 가능하다. 사람, 사물, 공간 등이 긴밀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된 만물 지능 인터넷(AIoE)을 가능하게 할 수단으로 여겨져 글로벌 기업들이 앞다퉈 R&D에 뛰어들고 있다. LG전자는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와 실외에서 6G THz 대역으로 100m 이상 떨어진 곳에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 상반기 순항한 DB하이텍 "증설 아직, 가용량 최대화"

    2021.08.19by 이수민 기자

    DB하이텍이 2021년 2분기에 매출 2,747억 원, 영업이익 814억 원으로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동기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3%, 6% 증가하였으며, 영업이익률은 30%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매출 5,184억 원, 영업이익 1,420억 원을 기록했으며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1% 증가했다.

  • SK하이닉스, 소비자용 2TB SSD 출시

    2021.08.19by 배종인 기자

    SK하이닉스는 소비자용 SSD ‘골드(Gold) P31’ 라인업에 2TB(테라바이트) 용량의 제품을 추가해 국내와 미국에 동시 출시했다.

  • AI 기반 자율주행 R&D 본격화, 낙수효과 일어나려면

    2021.08.18by 이수민 기자

    자율주행 기술 국내 특허출원이 연평균 9.3% 늘고 있다. 자율주행 AI 기술 국내 출원도 연평균 50% 이상 늘었다. 자율주행 기술은 자율주행차는 물론 무인 이동체 전체에 활용될 여지가 충분하나, 이들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에 대한 법규는 아직도 미정비된 상태로 남아있어 개선이 시급하다.

  • ‘하이 니켈계 끝판왕’ 나왔다…Ni 98% 양극재

    2021.08.18by 배종인 기자

    전기차 배터리 가격의 40%는 비싼 코발트가 들어간 양극재가 차지한다. 가격을 낮추려면 코발트를 적게 쓰면서도 용량은 커야 하는데, UNIST 교원창업기업에서 최적의 대안을 제시했다. ‘하이-니켈계 끝판왕’으로 기대되는 ‘Ni98 NCMA (NiCoMnAl) 단결정 소재’다.

  • 우유 짜기도 디지털·로봇 자동화

    2021.08.18by 배종인 기자

    3D 카메라를 이용해 사람 없이 우유를 짜는 로봇착유기가 국산화 돼 고령화되고 있는 국내 낙농 산업에서도 디지털 자동화 보급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