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자 기술·산업 육성 특별법 "6월 10일부터 시행"

    2021.06.09by 이수민 기자

    양자 기술 경쟁력 강화와 양자 산업 활성화를 지원하는 개정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이 8일, 국무회의를 거쳐 10일부터 시행된다. 양자 정보통신은 양자의 물리적 특성인 중첩성, 불확정성, 얽힘, 비가역성 등을 통신, 센서, 컴퓨터 등 정보통신기술에 응용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는 혁신기술이다.

  • 서울시, 5G C-ITS 실증사업 마무리, 이달 말 상용화

    2021.06.09by 이수민 기자

    SK텔레콤이 서울 시내 차량과 보행자, 교통 인프라 등 모든 것을 5G로 연결하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 C-ITS 실증사업을 이달 말 마무리 짓고 상용화에 돌입할 계획이라 밝혔다. 서울시와 SKT는 C-ITS를 통해 확보한 정보를 민간 내비게이션 제공업체에 5G로 제공하고, 이들 업체는 자사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해당 정보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플랫폼은 오는 2022년 내 완성될 예정이다.

  • 콩가텍, 소형 AI 비전 시스템 개발 '스타터 세트' 발표

    2021.06.09by 이수민 기자

    콩가텍 코리아가 AI 기반 스마트 임베디드 비전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스타터 세트를 출시했다. 이 SMARC COM 기반 스타터 세트는 NXP 반도체의 i.MX 8M Plus 프로세서가 탑재됐다. 딥러닝 기반 AI, 최대 2.3 TOPS 성능의 스타터 세트는 Arm 신경망, 오픈소스 머신러닝 플랫폼인 텐서플로 라이트 등의 추론 엔진 및 라이브러리를 구동할 수 있다.

  • 재료연, 국제협력 R&D 애로해결 큰 역할

    2021.06.09by 배종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재료연구원이 창원시와 협력해 지난 2017년 9월 개소한 ‘한독소재센터’가 지역 기업들의 핵심 애로기술 해결에 큰 역할을 해내고 있다.

  • 삼성전자, 8나노 RF 공정 기술 개발

    2021.06.09by 배종인 기자

    삼성전자가 8나노 RF 파운드리로 멀티채널, 멀티 안테나를 지원하는 5G 통신용 RF 칩을 원칩 솔루션으로 제공해 서브 6GHz부터 밀리미터파(mmWave)까지 5G 통신 반도체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

  • 기계연, 머신러닝으로 의료장비 정확도 향상

    2021.06.09by 배종인 기자

    기계연 신뢰성평가연구실 박종원 실장 연구팀은 초음파 영상 진단 장비에 기계류 부품과 장비의 신뢰성 진단을 위해 활용해 온 빅데이터 딥러닝 기술을 적용해, ‘머신러닝을 활용한 영상 진단 기술’을 개발하고, GPU(그래픽처리장치)를 이용해 정확도 80% 수준의 진단에 성공했다.

  • 나노융합2020사업, 투자比 490% 성과…韓 소부장 경쟁력 공헌

    2021.06.09by 배종인 기자

    나노융합2020사업(사업단장 박종구)이 2012년부터 2020년까지 1,437억원을 투자해 투자액 대비 490%인 사업화 매출 7,050억원을 기록하며, 우리나라 소부장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 [차이나 브리핑] TSMC, '퀄컴' 삼성 4nm에 뺏겨 등

    2021.06.09by 이수민 기자

    e4ds 뉴스 중화권 ICT 소식 정리 - 2021년 6월 9일 [차이나 브리핑] : ◇TSMC, 큰 고객 놓쳤나 “퀄컴 차기 4nm, 삼성 제조” ◇中 기가디바이스, 자체 개발 DDR4 메모리 발표 ◇수능 문제 유출, 5G 탓인가? ◇올도큐브, 화웨이 훙멍 OS 탑재 제품 출시 가능성 시사 등

  • 마이크로칩, 방사선 내성 강화 '우주용 MOSFET' 공개

    2021.06.09by 이수민 기자

    우주 애플리케이션의 전원 공급장치는 극심한 입자 상호 작용과 태양 및 전자기 활동을 극복하기 위해 강화된 방사선 기술이 필요하다. 마이크로칩은 9일, 상용 항공우주 및 우주 방위 애플리케이션용 인증을 획득한 250V, 0.21Ω 온저항의 방사선 내성 강화 MOSFET, M6 MRH25N12U3를 출시했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