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 2021 '메타버스' 스마트국토엑스포 온라인 참가

    2021.07.20by 명세환 기자

    올해 13회째를 맞는 스마트국토엑스포 행사가 ‘또 하나의 대한민국, 디지털 트윈국토가 미래를 디자인하다’를 주제로 오는 21일부터 23일까지 3일간 메타버스 기반 온라인 플랫폼에서 개최된다. KT는 여기서 지오마스터 모빌리티 플랫폼, 원내비 내비게이션, AI 인포테인먼트, 제주도 차세대 교통 시스템, 무인 비행체 교통관리까지 다섯 가지 서비스와 사업을 소개한다.

  • ​마우저, 맥심의 차량용 DP 백라이트 드라이버 공급

    2021.07.20by 명세환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MAX25530 자동차용 4채널 백라이트 드라이버 제품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MAX25530은 I2C 제어식 4채널 150mA LED 백라이트 드라이버와 4 출력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 바이어스 전원을 40핀 단일 칩에 통합, 자동차용 대시보드, 중앙 정보표시, 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 설계를 위한 설치 면적을 줄인다.

  • 기계연, AI 안전진단 맹활약

    2021.07.19by 배종인 기자

    한국기계연구원이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및 AI 기반 고장 예측기술 사용화를 통해 국방, 공공,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설비 및 구조물 상태를 감시하고, 고장을 사전에 진단·예방하는 등 맹활약을 펼치고 있다.

  • 재료硏, 초미세 불량 AI로 찾는다

    2021.07.19by 배종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재료연구원(KIMS, 원장 이정환) 재료인공지능·빅데이터연구실 강성훈 박사 연구팀은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사람이 쉽게 분별하기 어려운 제품 표면의 초미세 불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 ABB·HSD 엔진, 해상용 엔진 성능 최적화 ‘맞손’

    2021.07.19by 배종인 기자

    ABB가 한국 종합엔진 제조사 HSD 엔진 선박용 중·저속 엔진을 운영하는 선주사에게 ABB 진단 및 자문 소프트웨어인 테코마 엑스퍼트(Tekomar XPERT)를 제공한다.

  • 삼성, AI·반도체 소자 등 2021년 지원 과제 12개 선정

    2021.07.19by 배종인 기자

    삼성전자가 AI, 반도체 소자 등 2021년 연구지원 과제 12개를 선정하고 약 152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한다.

  • [차이나 브리핑] 中 3대 클라우드, 자체 칩 개발한다

    2021.07.19by 이수민 기자

    e4ds 뉴스 중화권 ICT 소식 정리 - 2021년 7월 19일 [차이나 브리핑] : ◇“클라우드 전용 칩 만든다” 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 인재 유치 활발 ◇다후아 자회사 립모터, 사전 IPO 통해 45억 위안 확보 ◇화웨이, 5G 700MHz 기지국 시장에서 점유율 60% ◇최근 10년간 中 AI 업계 3조 위안 투자받았다 등

  • 네덜란드 정부, ASML EUV 장비 對中 수출 보류 "왜?"

    2021.07.19by 이수민 기자

    세계 2위 반도체 장비 기업 ASML이 네덜란드 정부의 허가 보류로 EUV 장비의 대(對)중국 수출이 제한을 받고 있다. 이번 허가 보류는 조 바이든 대통령의 美 행정부가 국가 안보를 이유로 네덜란드 정부에 판매 제한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미국은 네덜란드 정부에 “EUV 장비의 대중국 수출 제한은 중국과의 무역 마찰을 일으킬 뿐이지만, 미국과의 동맹 관계는 더욱 굳건히 하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지속해서 보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 "모바일 알파고 나올까" KAIST, 고효율 AI 반도체 개발

    2021.07.16by 이수민 기자

    KAIST 유회준 교수팀이 구글의 알파고에 활용됐던 심층 강화학습(DRL)을 높은 성능과 전력효율로 처리할 수 있는 반도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DRL은 신경망이 복잡하게 얽혀있고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므로 기존에는 대용량 메모리의 고성능 컴퓨터 다수를 병렬 활용해야 구현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모바일 기기 등에서도 DRL이 가능하도록 기존 대비 성능이 우수하고 전력효율이 2.4배 높은 AI 반도체 기술, 옴니DRL을 개발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