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엘리먼트14, AI 프로젝트 가속하는 구글 키트 판매

    2021.03.24by 강정규 기자

    엔지니어 대부분이 프로젝트에 AI를 적용할 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엘리먼트14가 신경망 추론이 가능한 지능형 기기의 개발을 단순화하는 구글 AIY 프로젝트 키트와 코랄 USB 액셀러레이터의 판매를 시작했다.

  • LG전자-키사이트-KAIST, 6G 이통통신 기술 개발 협력

    2021.03.23by 이수민 기자

    6G 기술은, 초당 최대 1Tbps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 만물 지능 인터넷(AIoE)을 가능하게 할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LG전자,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 한국과학기술원은 2025년 표준화와 2029년 상용화가 전망되는 6G 기술의 시장 지배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기술 개발 및 검증 체계 구축 MOU를 체결했다.

  • 마이크로칩, 사이버 위협 막는 타임 서버 솔루션 발표

    2021.03.23by 이수민 기자

    타임 서버는 대체로 사이버 위협에 취약하다. 이에 마이크로칩이 자사의 ‘싱크서버 S600 시리즈’ 타임 서버에 블루스카이 신호 이상 감지 소프트웨어를 추가하는 ‘싱크서버 v4.1 소프트웨어 릴리즈’를 발표했다. 해당 릴리즈를 적용하면 재밍과 스푸핑 탐지 기능을 통해 신호 이상의 신속한 파악이 가능하다.

  • 맥심, 보드 공간 줄인 DC-DC 스텝다운 컨버터 2종 선봬

    2021.03.23by 이수민 기자

    맥심 인터그레이티드가 동기식 인버팅 DC-DC 스텝다운 컨버터, MAX17577과 MAX17578을 출시했다. 신규 컨버터 2종은 레벨 시프팅 회로를 통합해 경쟁 솔루션 대비 부품 비용과 개수를 최대 50% 낮추며, 보드 공간을 72% 줄인다.

  • 무르익은 IoT 플랫폼 기술들, 일상과 업무의 디지털 전환 이끈다

    2021.03.22by 이수민 기자

    인터넷 연결로 자사 제품의 기능을 높이고, 기존에는 없었던 서비스를 창출하여 비즈니스 모델의 다각화를 시도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여기에 첫발을 내디딘 것은 IT 기업들이며, 제조 기업들 역시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 중심에는 IoT 플랫폼이 있다. IoT 플랫폼이란, 각종 센서와 단말기 등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다.

  • 팹 장비 초호황 다시 온다 "22년까지 두 자릿수 성장"

    2021.03.22by 이수민 기자

    SEMI는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기조의 확산으로 전자제품 수요가 급증하면서, 팹 장비에 대한 투자액도 지속해서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신 팹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반도체 산업의 팹 장비 투자액은 2020년 16% 성장했고, 2021년에는 15.5%, 2022년에는 12% 상승할 전망이다.

  • "텔코에서 디지코로" KT, 대내외적 DX 역량 강화 나서

    2021.03.20by 이수민 기자

    텔코에서 디지코로의 전환을 선언한 KT가 기업 내외부적으로 DX 역량을 확장하고 있다. KT는 ABC(AI, Big data, Cloud) 및 네트워크 운영 분야 신규 인력 300명 채용과 함께, ABC 분야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KT 클라우드 오픈 스페이스 개소를 통해 스타트업들의 클라우드 역량 강화에도 나선다.

  • SKT-중진공-KASAD, 제조 中企 디지털 전환 지원한다

    2021.03.19by 이수민 기자

    SKT, 중진공, KASAD 등 3개 기관이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제조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돕기 위한 MOU를 체결했다. 3개 기관은 제조 데이터 활용 및 스마트팩토리 활성화 지원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정책자금과 AI 및 클라우드 기술의 통합 지원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 마이크로칩, 'SW 이중화' 타이밍 그랜드마스터 발표

    2021.03.19by 이수민 기자

    마이크로칩이 정밀 타이밍과 동기화를 상시 보장하는 IEEE 1588 정밀 타이밍 그랜드마스터, ‘타임프로바이더 4100 그랜드마스터 2.2 버전’을 출시했다. 신규 솔루션은 다중 대역 GNSS 수신기를 지원하며, 강화된 보안과 이중화 아키텍처 도입으로 높은 복원력을 제공한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